몽골 문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로봇이 바꿈: zh:胡都木蒙古文; 예쁘게 바꿈
13번째 줄:
}}
 
전통적 '''몽골 문자''' ([[그림파일:Monggol bicig.svg|17px]], {{lang|mn|монгол бичиг}})는 [[몽골어]]를 위해 만들어진 여러 표기 체계들들 중의 하나이다. 약간만 변경된 채로, 이것은 [[몽골어]]와 [[예벤키어]]를 적기 위해 오늘날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내몽골 자치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문자는 [[위구르어]] 필경사인 타타르 통가가 만들었다. 그는 1204년 경에 몽골과 [[나이만]]과의 전쟁에서 몽골인들에게 포로로 붙잡혔고, 그때 [[칭기스 칸]]이 그에게 몽골 언어를 위한 표기 체계를 만들라고 명했다. [[시리아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이며 [[소그드 문자]]를 거친 [[위구르 문자]]를 고쳐서 이 표기 체계를 만들었다. 이것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로쓰기이다. 이것은 왼쪽에서 오른쪽에서 써나가는 몇개 안되는 세로 쓰기 문자들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세로 쓰기 표기 체계들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나가지만, 중세의 위구르 문자과 그 파생 문자들(몽골 문자, 오이라트 문자, 만주 문자 및 부랴트 문자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간다. 이것은 위구르인들이 중국의 표기 체계를 흉내내기 위해 그들의 문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켰기 때문이다.
20번째 줄:
 
== 글자 ==
[[그림파일:Mongol khel.svg|thumb|left|90px|전통 문자로 쓴 ‘몽골’이라는 낱말.]]
 
글자들은 단어 안에서 처음, 중간 혹은 끝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진다. 몇몇 경우에는, 추가적인 그래픽적인 변형들이 있게 되는데, 이것들은 뒤따라오는 글자와 시각적 조화를 얼마나 더 잘 이루는가에 따라 선택된다.
39번째 줄:
! 키릴 문자
|-
| [[Image파일:Mongol a head2.jpg]]
| rowspan="2" | [[Image파일:Mongol a middle 2.jpg]]
| rowspan="2" | [[Image파일:Mongol a tail 1.jpg]][[Image파일:Mongol a tail 2.jpg]]
| rowspan="2" |
| a
47번째 줄:
| rowspan="2" | 보통은 모음 조화에 의한 구별(아래의 q/γ 및 k/g 을 참조)
|-
| [[Image파일:Mongol e head.jpg]]
| e
| Э
|-
| [[Image파일:Mongol i head.jpg]]
| [[Image파일:Mongol i middle1.jpg]]<ref>
자음 뒤에서 로마자로 i라고 나타냄.
</ref>
[[Image파일:Mongol i middle2.jpg]]<ref>
모음 뒤에서, 로마자로 yi라고 나타냄 드물게 ‘naim’(여덟) 또는 ‘Naiman’같은 예외가 있음.
</ref>
| [[Image파일:Mongol i tail2.jpg]]
|
| i, yi
64번째 줄:
| 현재에는 단어 끝에서 흔히 앞 음절에 흡수됨.
|-
| [[Image파일:Mongol o head.jpg]]
| [[Image파일:Mongol o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o tail.jpg]]
|
| o, u
72번째 줄:
| 맥락에 따른 구별.
|-
| [[Image파일:Mongol oe head.jpg]]
| [[Image파일:Mongol o middle.jpg]][[Image파일:Mongol oe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o tail.jpg]][[Image파일:Mongol oe tail.jpg]]
|
| ö, ü
80번째 줄:
| 맥락에 따른 구별.
|-
| [[Image파일:Mongol n head.jpg]]
| [[Image파일:Mongol n middle.jpg]]<ref>
음절 앞 부분에 쓰이는 글자(n-<모음>).
</ref>
[[Image파일:Mongol a middle 2.jpg]]<ref>
음절 뒤 부분에 쓰이는 글자(<모음>-n).
</ref>
| [[Image파일:Mongol a tail 1.jpg]]
|
| n
94번째 줄:
|-
|
| [[Image파일:Mongol mng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ngt tail.jpg]]
|
| ng
| Н, НГ
| 단어의 끝에만 쓰임(복합어의 중간에도 쓰임).<br />
티베트어의 ང 및 산스크리트어의 ङ를 옮겨적음.
|-
| [[Image파일:Mongol b head.jpg]]
| [[Image파일:Mongol mbm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b tail.jpg]]
|
| b
110번째 줄:
|
|-
| [[Image파일:Mongol p head.jpg]]
| [[Image파일:Mongol p middle.jpg‎]]
|
|
| p
| П
| 몽골어 단어들의 처음부분에만 쓰임.<br />
티베트어의 པ를 표기;
|-
| [[Image파일:Mongol q head.jpg]]
| [[Image파일:Mongol q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ga tail.jpg]]
|
| q
127번째 줄:
| [[후설 모음]]들과만 쓰임.
|-
| [[Image파일:Mongol ga head.jpg]]
| [[Image파일:Mongol ga middle.jpg]][[Image파일:Mongol q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ga tail.jpg]] [[Image파일:Mongol ga tail3.jpg]]
|
| γ
| Г
| 후설 모음들과만 쓰임.<br />
모음들 사이에서 오늘날으 장모음(long vowel)으로 발음됨.<ref>
예: ''qa-γ-an'' (대제(大帝), 칸) 은 ''qaan''으로 축약됨. ''tsa-g-aan'' (희다)와 같은 몇 개의 예외들이 있음.<br />
</ref>
|-
| rowspan="2" | [[Image파일:Mongol k head.jpg]]
| rowspan="2" | [[Image파일:Mongol k middle.jpg]]
| rowspan="2" | [[Image파일:Mongol g tail.jpg]]
| rowspan="2" |
| k
| Х
| rowspan="2" | [[전설 모음]]들과만 쓰인다.<br />
오늘날 모음 사이의 g 는 장모음으로 발음된다.<ref>
예: ''de-g-er'' 는 ''deer''로 축약된다. ''ügüi'' (아니오)같은 예외들이 존재한다.<br />
</ref>
|-
152번째 줄:
| Г
|-
| [[Image파일:Mongol m head.jpg]]
| [[Image파일:Mongol m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m tail.jpg]]
|
| m
160번째 줄:
|
|-
| [[Image파일:Mongol l head.jpg]]
| [[Image파일:Mongol l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l tail.jpg]]
|
| l
168번째 줄:
|
|-
| [[Image파일:Mongol s head.jpg]]
| [[Image파일:Mongol s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s tail.jpg]]
|
| s
176번째 줄:
|
|- class="nounderlines"
| [[Image파일:Mongol sh head.jpg]]
| [[Image파일:Mongol sh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sh tail.jpg]]
|
| š
184번째 줄:
| 이 글자의 발음은 바뀌지 않았다.
|-
| [[Image파일:Mongol t head2.jpg]]
| [[Image파일:Mongol t middle.jpg]][[Image파일:Mongol t middle2.jpg]][[Image파일:Mongol t middle3.jpg]]
| [[Image파일:Mongol t tail.jpg]]
|
| t, d
192번째 줄:
| 맥락에 따른 구별.
|-
| [[Image파일:Mongol ac.jpg]]
| [[Image파일:Mongol ac.jpg]]
|
|
200번째 줄:
| 원래는 /tʃ'/ 와 /ts'/사이의 구별이 없었다. 현재는 맥락에 따라 구별된다.
|-
| [[Image파일:Mongol j1 head.jpg]]
| [[Image파일:Mongol j1 middle.jpg]]
|
|
208번째 줄:
| 맥락에 따른 구별, 원래는 흔히 아래의 y와도 바꿔쓸 수 있었다.
|-
| [[Image파일:Mongol y1 head.jpg]]
| [[Image파일:Mongol y1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i tail2.jpg]]
|
| y
216번째 줄:
| 이중 모음들의 일부.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자음이다.
|-
| [[Image파일:Mongol r1 head.jpg]]
| [[Image파일:Mongol r1 middle.jpg]]
| [[Image파일:Mongol r tail2.jpg]]
|
| r
226번째 줄:
</ref>
|-
| [[Image파일:Mongol w head.jpg]]
| [[Image파일:Mongol w middle.jpg]]
|
|
234번째 줄:
| 산스크리트어의 व를 옮겨적는다.
|-
| [[Image파일:Mongol f head.jpg]]
| [[Image파일:Mongol f middle.jpg‎]]
|
|
242번째 줄:
| 중세 몽골어에서는 이 음을 사용하지 않았다.
|-
| [[Image파일:Mongol kk head.jpg]]
| [[Image파일:Mongol kk middle.jpg]]
|
|
250번째 줄:
| 러시아어의 К를 옮겨적는다.
|-
| [[Image파일:Mongol ts.jpg]]
| [[Image파일:Mongol ts.jpg]]
|
|
258번째 줄:
| 티베트어의 /ts'/ ཚ및 산스크리트어의 छ를 옮겨적는다.
|-
| [[Image파일:Mongol dz.jpg]]
| [[Image파일:Mongol dz.jpg]]
|
|
266번째 줄:
| 티베트어의 /dz/ ཛ및 산스크리트어 ज를 옮겨적는다.
|-
| [[Image파일:Mongol h head.jpg]]
| [[Image파일:Mongol h middle.jpg]]
|
|
283번째 줄:
| 로마자:
|- valign="top"
| [[그림파일:Mclassical mimic.jpg]]
| [[그림파일:Wikiclassicalmongol.jpg]]
| align="center" |
{| cellpadding="0px" cellspacing="0px"
|&nbsp;
|-
| [[Image파일:Mongol w head.jpg]] || v
|-
| [[Image파일:Mongol i middle1.jpg]] || i
|-
| [[Image파일:Mongol k middle.jpg]] || k
|-
| [[Image파일:Mongol i middle1.jpg]] || i
|-
| [[Image파일:Mongol p middle.jpg]] || p
|-
| [[Image파일:Mongol a middle 2.jpg]] || e
|-
| [[Image파일:Mongol t middle.jpg]] || d
|-
| [[Image파일:Mongol i middle1.jpg]] || i
|-
| [[Image파일:Mongol y1 middle.jpg]] || y
|-
| [[Image파일:Mongol a tail 1.jpg]] || a
|}
|}
323번째 줄:
== 몽골어의 유니코드 표기 ==
 
[[유니코드]]의 몽골 문자 범위는 U+1800 &ndash; U+18AF이다.<ref>[http://www.unicode.org/charts/PDF/U1800.pdf Unicode block U+1800 &ndash; U+18AF]; Mongolian.</ref> 이것은 몽골 문자, [[토도 문자]], [[시버 문자]] 그리고 [[만주 문자]]를 위한 글자들, 숫자들 그리고 다양한 구둣점을 포함하며, [[산스크리트어]]와 [[티베트 문자]] 위한 확장들도 포함한다.
 
== 주석 ==
342번째 줄:
[[ru:Старомонгольское письмо]]
[[th:อักษรมองโกเลีย]]
[[zh:胡都木蒙古字母]]
[[zh-classical:蒙古文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