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ichetas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문단 묶음 + 동아세계대백과사전
28번째 줄:
== 정치 ==
{{본문|일본의 정치|천황}}
=== 입헌 군주제 ===
일본의 정치 체제는 군주인 [[천황]]과 [[헌법]]이 양립하는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현행 일본국 헌법에서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며 그 지위는 일본 국민들의 [[총의]](總意)에 바탕을 둔다"고 규정되어 있고<ref name="박정의"> 박정의 (2003년), 《일본의 사회와 문화》 </ref>{{Rp|62}}헌법이 정하는 국사(國事)에 관한 행위만을 [[내각]]의 조언과 승인, 책임에 따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 name="박정의"/> {{Rp|62}} 그에 따라 [[일본의 총리|총리]]와 내각의 임원들을 임명하거나 그 신임장에 인증하는 것, 최고재판소 장관을 임명하는 것, 국회를 소집하고 헌법 개정과 법률 및 정령, 조약을 공포하는 것 등으로 일본 천황이 국사에 관여하는 것은 크게 한정되어 있다.<ref name="박정의"/> {{Rp|63}}
 
[[파일:Akihito 090710-1600b.jpg|180픽셀|섬네일|오른쪽|제125대 천황 [[아키히토]]]]
일본의 정치 체제는 군주인 [[천황]]과 [[헌법]]이 양립하는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현행 일본국 헌법에서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며 그 지위는 일본 국민들의 [[총의]](總意)에 바탕을 둔다"고 규정되어 있고<ref name="박정의"> 박정의 (2003년), 《일본의 사회와 문화》 </ref>{{Rp|62}}헌법이 정하는 국사(國事)에 관한 행위만을 [[내각]]의 조언과 승인, 책임에 따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 name="박정의"/> {{Rp|62}} 그에 따라 [[일본의 총리|총리]]와 내각의 임원들을 임명하거나 그 신임장에 인증하는 것, 최고재판소 장관을 임명하는 것, 국회를 소집하고 헌법 개정과 법률 및 정령, 조약을 공포하는 것 등으로 일본 천황이 국사에 관여하는 것은 크게 한정되어 있다.<ref name="박정의"/> {{Rp|63}}<ref name="동아"> [[두산동아|동아출판사]] (1982년 초판, 1992년 제12차 개정</ref> {{Rp|531}} 하지만 천황은 외교의례 상에서 일본의 [[국가 원수]]로 대우받고 있다.<ref name="박정의"/> {{Rp|63}} 현재 일본의 천황은 [[아키히토]]이며, 1989년부터 재위하고 있다.
하지만 천황은 외교의례 상에서 일본의 [[국가 원수]]로 대우받고 있다.<ref name="박정의"/> {{Rp|63}} 현재 일본의 천황은 [[아키히토]]이며, 1989년부터 재위하고 있다.
 
일본의 입법 기관인 [[일본 국회|국회]]는 헌법에서 명시된 "국권의 최고 기관<ref name="동아"/>{{Rp|531}}이자 나라의 유일한 입법 기관으로써, 영국식 의원 내각제를 채용했기 때문에 수상의 지명권, 중의원의 내각 신임과 불신임의 의결권을 가진다.<ref name="동아"/>{{Rp|531}} 국회는 양원제로 [[중의원]] 및 [[참의원 (일본)|참의원]]으로 [[양원제]]로 이루어져 있다.구성되데, 양원은 전 국민의 대표로 선출된 의원으로 조직되어 있다.<ref name="박정의"/> {{Rp|65}} 국회의 권한으로는 내각총리대신의 지명과 내각 불신임의 결의, 법률안 의결, 예산 의결, 조약 승인, 탄핵 재판, 헌법 개정의 발의 등이 있다. 국회는 1955년 이후 1993년부터 1996년까지의 연정 기간을 제외하고 [[자유민주당 (일본)|자민당]]이 계속해서 여당의 자리에 있었으나 2009년 9월 15일 [[민주당 (일본)|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 시작되면서 최초의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 통치 기구 ===
일본의 [[일본의 통치 기구|통치 기구]]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로 나뉘어지는 [[삼권분립]]을 채택하고 있다.
==== 입법부 ====
일본의 입법 기관인 [[일본 국회|국회]]는 헌법에서 명시된 "국권의 최고 기관"이자 나라의 유일한 입법 기관으로써 [[중의원]] 및 [[참의원 (일본)|참의원]]의 [[양원제]]로 이루어져 있다. 양원은 전 국민의 대표로 선출된 의원으로 조직되어 있다.<ref name="박정의"/> {{Rp|65}} 국회의 권한으로는 내각총리대신의 지명과 내각 불신임의 결의, 법률안 의결, 예산 의결, 조약 승인, 탄핵 재판, 헌법 개정의 발의 등이 있다. 국회는 1955년 이후 1993년부터 1996년까지의 연정 기간을 제외하고 [[자유민주당 (일본)|자민당]]이 계속해서 여당의 자리에 있었으나 2009년 9월 15일 [[민주당 (일본)|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이 시작되면서 최초의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 행정부 ====
{{본문|일본의 정치#행정}}
[[파일:Yukio Hatoyama cropped 2 Abhisit Vejjajiva and Yukio Hatoyama 20091108.jpg|180픽셀|섬네일|오른쪽|[[하토야마 유키오]] 현임 내각총리대신]]
행정권은 내각 총리대신을 장으로 하는 [[내각 (일본)|내각]]에 속하며, 내각은 행정권의 행사와 아울러 국회에 책임을 진다. <ref name="글로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세계의 여러 나라/아시아/일 본#일본의 정치|일본의 정치]]〉</ref> 내각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과 이하 내각총리대신이 임명권을 가지는 국무대신으로 조직되어 행정권의 행사에 대하여 공동 책임을 진다.<ref name="동아"/>{{Rp|531}} 내각은 행정 사무 이외에 법률 집행, 외교 관계의 처리, 조약 체결, 예산 작성, 정령(政令) 지정지정을 비롯한 하급 입법 등의 업무를 부담하며수행하며<ref name="동아"/>{{Rp|531}}, 그러한 수행 상의 부담을 나누기 위해 국무대신들을 책임자로 하는 12성(省)을 갖추고 있다.<ref name="동아"/>{{Rp|531}}
 
==== 사법부 ====
일본의 사법 기관으로는 [[일본의 재판소|재판소]]가 있다. 최고재판소와 하급재판소(고등재판소, 지방재판소, 가정재판소, 간이재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재판관은 자신의 양심에 따라 독립된 직권을 행사함에서 헌법과 이하 법률의 구속을 받는다.<ref name="박정의"/> {{Rp|65~66}} 최고재판소의 법관은 내각의 지명을 받아 [[천황]]이 임명한다.
 
==== 정당과 선거 ====
{{본문|일본의 정당|일본의 선거 제도}}
국회의원, [[도도부현]] 및 [[시정촌]]의 각 수장과 의회의원은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만20세 이상의 남녀 전원에게 선거권을 주는 보통 선거제를 채택하고 있다. 피선거권은 참의원 의원 및 도도부현 지사는 만30세, 그 외에는 만25세 이상인 사람에게 주어진다. 보통 양원 의원과 도도부현 지사 및 의회 의원들은 특정한 정당의 당원 또는 그 정당의 추천을 받은 사람들이지만 시정촌의 수장과 의회의원들은 무소속인 경우가 많다.<ref name="박정의"/> {{Rp|68}}
 
한편 일본의 주요 정당은 오랫동안 보수와 진보 진영으로 나뉘어져 있었다.<ref name="박정의"/> {{Rp|68}}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정당은 [[55년 체제]] 이후 2009년까지 총리대신을 배출한 자유민주당이고, 진보 진영의 대표적인 정당은 민주당, [[일본사회당]], [[공명당]], [[일본공산당]]이다.<ref name="박정의"/> {{Rp|68}}
 
==== 입법부외교 ====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일본 외교는 미국에의 의존과 [[반공주의]], 경제중심주의 외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ref name="동아"/>{{Rp|531}} 패전 이후, 1952년까지 주권을 상실하여 외교 자주권을 갖지 못하여 점령 기간 동안 점령국인 미국의 정책을 구현하는 선에서 대외 정책이 실시되어 왔다.<ref name="동아"/>{{Rp|531}} 그 후 1951년의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에서 [[소비에트 연방]] 등 공산주의 국가들의 조인 거부가 이루어진 가운데 미일 강화조약과 안보조약이 체결되고, 중화민국과 중일조약이 조인되어 이들과의 관계를 회복함과 동시에 외교권을 회복하게 된다.<ref name="동아"/>{{Rp|531}} 1955년에는 [[GATT]]에 가맹한 것을 시작으로, 자본주의 경제 정책을 취하는 선진 공업 국가들 중에서 점차 중요한 대외 입지를 차지하게 되었다. 1956년에는 소비에트 연방과 국교를 회복함과 동시에 [[국제연합]]에 가입함으로서 국제 사회에 복귀하게 되고,<ref name="동아"/>{{Rp|532}} 다음 해에 [[기시 노부스케]] 내각은 국제연합 중심주의, 자유주의 국가들과의 협조, 아시아의 일원으로서의 입장 견지라는 외교 3원칙을 발표하였다.<ref name="동아"/>{{Rp|532}} 1965년에는 대한민국과 한일 기본조약을 체결하여 국교를 회복하였으며, 경제의 고도 성장을 거치면서 국제적 지위가 점차 높아지는 반면 동남아시아에서는 반일 운동이 일어나는 등 마찰이 발생하기도 하였다.<ref name="동아"/>{{Rp|532}}
<!--현재의 외교 상황에 대하여 조금 더 가필--->
 
=== 군사 ===
{{본문|자위대}}
[[파일:Two JASDF F-15J take off in formation.JPEG|210픽셀|섬네일|오른쪽|[[항공자위대]] 소속의 [[F-15|F-15J]]가 이륙하고 있다.]]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당시 항복의 조건으로 정식 군대를 해체시켰다.<ref name="박정의"/> {{Rp|83}} 따라서 일본국 헌법에 명시한 내용으로써 전쟁을 포기하고 육해공군의 전력을 가지지 않을 것임을 밝혀왔다.<ref name="동아"/>{{Rp|532}} 그 때문에 패전 후 군비(軍備) 및 교전권(交戰權)이 부인되었으나 아시아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되어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어, 미국의 명령으로 일본의 기초적인 치안 유지를 목적으로 한 경찰예비대를 설치하였으며<ref name="박정의"/> {{Rp|83}}<ref name="동아"/>{{Rp|532}} , 1952년 보안청으로 승격되고, 1954년 방위청이 설치되어, 경찰예비대가 현재의 자위대가 됨으로써, 재무장이사실상 시작되었다군대로 변모하였다.<ref name="동아"/>{{Rp|532}} 이후 일본은 3~5년 단위의 방위력 정비·증강 계획을 추진하여 1987년부터 방위비가 GNP 대비 1%를 초과하기 시작했는데, 1970년대 말 첨단 군사장비의 자급 단계에 도달해 있었다. 이와 함께 극우계에서는 방위 개념의 확대를 기도함으로써, 1980년대 말 최대의 정치 쟁점으로 부각되었다.<ref>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세계의 여러 나라/아시아/일 본#재무장 시기|재무장 시기]]〉</ref>
 
한편으로 1947년 시행된 헌법에 따르면 국가 간의 교전권 포기와 어떠한 전력도 가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명시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자위대가 헌법에 위배된다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헌법을 재해석하여 자위대를 강화했다는 비판도 있다.<ref name="박정의"/> {{Rp|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