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가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Npsp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 역사 ==
 
홍가권의 역사는 명말 청초로 올라간다. 복건성 남소림사의 속가제자였던 [[홍희관]]은 남소림사의 고승인 [[지선선사]]로부터 권법을 전수받는다. 홍희관은 지선선사로부터 전수받은 권법을 자신의 신체에 맞게 개량하였다. 한편 지선선사와 동기인 오매선사는 엄영춘이라는 여성에게 권법을 전수하여 이것이 영춘권의 모태가 되었다. 홍가권과 영춘권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홍가권의 역사는 명말 청초로 올라간다.
복건성 남소림사의 속가제자였던 [[홍희관]]은 남소림사의 고승인 [[지선선사]]로부터 권법을 전수받는다.
홍희관은 지선선사로부터 전수받은 권법을 자신의 신체에 맞게 개량하였다.
(한 편 지선선사와 동기인 오매선사는 엄영춘이라는 여성에게 권법을 전수하여 이것이 영춘권의 모태가 되었다.
홍가권과 영춘권은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때 홍희관은 《[[소림십팔나한복호권]]》(少林十八羅漢伏虎拳)을 개량하여 《[[공자복호권]]》(工字伏虎拳)을
창안하게 되었는데, 투로의 형태는 공(工)자를 띠고 있어 그렇게 명명되었다.
공자복호권은 <<호랑이가 덮치는 기세>>로 투로를 행해야하며, 강맹함과 쾌속함을 추구한다.
 
이때 홍희관은 《[[소림십팔나한복호권]]》(少林十八羅漢伏虎拳)을 개량하여 《[[공자복호권]]》(工字伏虎拳)을 창안하게 되었는데, 투로의 형태는 공(工)자를 띠고 있어 그렇게 명명되었다. 공자복호권은 <<호랑이가 덮치는 기세>>로 투로를 행해야하며, 강맹함과 쾌속함을 추구한다.
어느 날 홍희관은 영춘권사와 격투를 벌이게 되었는데, 이 때 즉흥적으로 호권(虎拳)에 학권(鶴拳)을 결합하여
사용하여 영춘권사를 이겼다. 이에 홍희관은 이 기법의 놀라움을 깨닫고 연구에 매진하여 마침내
홍가권의 명권(名拳)인《[[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을 창안하기에 이른다.
 
어느 날 홍희관은 영춘권사와 격투를 벌이게 되었는데, 이때 즉흥적으로 호권(虎拳)에 학권(鶴拳)을 결합하여 사용하여 영춘권사를 이겼다. 이에 홍희관은 이 기법의 놀라움을 깨닫고 연구에 매진하여 마침내 홍가권의 명권(名拳)인《[[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을 창안하기에 이른다. 그 후 [[채리불권]](蔡李佛拳)등의 등장으로 홍가권의 인기는 많이 사그라졌는데, 이때 《[[황비홍]]》(黃飛鴻)이 나타나 홍가권을 영남 무술 중 제일 무술의 반열에 다시 올려놓아 이전보다 더욱 명성을 높게 하였다.
그 후 [[채리불권]](蔡李佛拳)등의 등장으로 홍가권의 인기는 많이 사그라져들었는데,
이 때 《[[황비홍]]》(黃飛鴻)이 나타나 홍가권을 영남 무술 중 제일 무술의 반열에 다시 올려놓아
이전보다 더욱 명성을 높게 하였다.
 
황비홍은 그의 아버지 [[황기영]](黃驥英)으로부터 가문 대대로 내려온 홍가권을 익혀 15세의 나이에 도장을 운영하였는데, 그의 아버지 황기영은 [[광동십호]](廣東十虎)의 반열에 오른 고수였다. 황비홍은 전수받은 홍가권의 권법들을 다시 한번 개량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고 자신이 만든 새로운 형태를 추가하였다. 또한 황비홍은 [[소화자]]로부터《[[취팔선권]]》(醉八仙拳)을, [[철교삼]](鐵橋三)의 제자인 [[임복성]](林福成)으로부터는 《[[철선권]]》(鐵線拳)과 《[[비타]]》(飛砣)를, [[송휘당]](宋輝鏜)으로부터 《[[무영각]]》(無影脚)을 전수받아 홍가권에 편입시킴으로써 마침내 오늘날 홍가권의 형태를 완성시켰다.
황비홍은 그의 아버지 [[황기영]](黃驥英)으로부터 가문 대대로 내려온 홍가권을 익혀 15세의 나이에
도장을 운영하였는데, 그의 아버지 황기영은 [[광동십호]](廣東十虎)의 반열에 오른 고수였다.
황비홍은 전수받은 홍가권의 권법들을 다시 한번 개량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고 자신이 만든 새로운
형태를 추가하였다.
 
홍가권의 대표적인 특징은 [[일지수]](一指手)인데, 이것은 홍가권이 소림권으로부터 비롯되었기에 소림권과의 차별을 꾀하기 위해 창안해낸 독특한 홍가권만의 고유 수형(手形)이다. 또한 홍가권에는 [[이연걸]]의 [[영화]]에서 나오는 화려한 움직임은 없다. 영화《[[소림 36방]]》(少林三十六房)의 오프닝에서 [[유가휘]]가 실제 홍가권의 한 형태인 [[철선권]](鐵線拳)을 시연하고 있다.
또한 황비홍은 [[소화자]]로부터《[[취팔선권]]》(醉八仙拳)을, [[철교삼]](鐵橋三)의 제자인
[[임복성]](林福成)으로부터는 《[[철선권]]》(鐵線拳)과 《[[비타]]》(飛砣)를, [[송휘당]](宋輝鏜)으로
부터 《[[무영각]]》(無影脚)을 전수받아 홍가권에 편입시킴으로써 마침내 오늘날 홍가권의 형태를 완성시켰다.
 
중국에서의 홍가권 이미지는 역사상의 수퍼히어로들이 이용하는 권법, 혁명 투사들의 권법으로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쇼브라더스]] 영화의 영향(대체로 [[유가량]] 감독의 영화)으로 전세계적으로도 홍가권의 인기와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전란이나 정변을 싫어하는 외국으로 건너간 무술가나 화교의 호위에는 이 홍가권 수행자가 매우 많아, 세계 각지의 [[차이나타운]]에서는 홍가권 도장이 다수 존재하여 권법 수행이나 정월에 행하는 [[사자춤]]의 연무가 중국 문화를 접하는 창구가 되고 있다.
홍가권의 대표적인 특징은 [[일지수]](一指手)인데, 이것은 홍가권이 소림권으로부터 비롯되었기에
소림권과의 차별을 꾀하기 위해 창안해낸 독특한 홍가권만의 고유 수형(手形)이다.
또한 홍가권에는 [[이연걸]]의 [[영화]]에서 나오는 화려한 움직임은 없다.
영화《[[소림 36방]]》(少林三十六房)의 오프닝에서 [[유가휘]]가 실제 홍가권의 한 형태인 [[철선권]](鐵線拳)을 시연하고 있다.
 
현재는 황비홍 제자들의 활약으로 전세계 각지에 홍가권이 보급되고 있는데, 황비홍의 수제자인 [[임세영]](林世英)은 주로 홍콩 쪽에 뿌리내려 홍가권을 보급하였으며, [[임가곤]](林家坤)은 대만에 황비홍의 홍가권을 보급하였다. 한국에서는 현재 대만 홍가권의 장극치로부터 홍가권을 전수받은 [[필서신]](畢庶信) 관장이 인천 차이나타운 근처에서 홍가권을 전수하고 있다.
중국에서의 홍가권 이미지는 역사상의 수퍼히어로들이 이용하는 권법, 혁명 투사들의 권법으로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쇼브라더스]] 영화의 영향(대체로 [[유가량]] 감독의 영화)으로 전세계적으로도 홍가권의 인기와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전란이나 정변을 싫어하는 외국으로 건너간 무술가나 화교의 호위에는 이 홍가권 수행자가 매우 많아, 세계 각지의 [[차이나타운]]에서는 홍가권 도장이 다수 존재하여 권법 수행이나 정월에 행하는 [[사자춤]]의 연무가 중국 문화를 접하는 창구가 되고 있다.
 
현재는 황비홍 제자들의 활약으로 전세계 각지에 홍가권이 보급되고 있는데, 황비홍의 수제자인 [[임세영]](林世英)
은 주로 홍콩 쪽에 뿌리내려 홍가권을 보급하였으며, [[임가곤]](林家坤)은 대만에 황비홍의 홍가권을 보급하였다.
한국에서는 현재 대만 홍가권의 장극치로부터 홍가권을 전수받은 [[필서신]](畢庶信) 관장이 인천 차이나타운 근처
에서 홍가권을 전수하고 있다.
 
==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