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ndy Leo (토론 | 기여)
새 문서: '''검무'''(劍舞)는 을 가지고 추는 춤으로 검기무(劍器舞)라고도 한다. 검무의 원초적인 발생은, 원시 부족사회에서 부족과 부족, 마을...
 
Endy Leo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검무의 원초적인 발생은, 원시 부족사회에서 부족과 부족, 마을과 마을끼리 싸워서 승리한 후에 군중들의 환성 속에서 즐겁게 춤을 춘 데서 생겨진 소위 전쟁무용과, 수렵시대에 수렵으로 수획한 동물을 가지고 돌아오면서 즐거움을 표현한 수렵무용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검무는 [[신라]] 시대(서기 667년경)에 황창랑(黃昌郎)이 지은 것이라고 <[[동경잡기]]> <풍속조(風俗條)>와 <[[문헌비고]]>에 기록되어 있다. 신라의 황창랑이란 7세(8세)의 소년이 검무(劍舞)를 빙자하여 백제왕을 척살하고 백제인들에게 피살되었으므로, 신라사람들이 이를 슬피 여겨, '소년의 얼굴을 닮은 가면을 만들어 쓰고 칼춤을 춘 것'이 지금껏 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검무는 [[신라]] 시대(서기 667년경)에 어린 소년 황창랑(黃昌郎)이 지은 것이라고 <[[동경잡기]]> <풍속조(風俗條)>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첨]](李詹)은 동서(東書) <관창조(官昌條)>에 보이는 황창(黃昌)은 반드시 [[관창]]이 잘못 전해진 것이라 했고, 또 [[이유원]](李裕元)의 시에도 관창이 오전(誤傳)되어서 황창랑으로 되었다고 했다. 그래서 한국의 검무는 관창이 지은 것으로 보는 것이 당연하고, 그 춤의 발생연대는 서기 [[667년]]경으로 정하는 것이 옳다. 그리고 그 뒤 신라 백성들이 나라를 위해 죽어간 관창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관창의 가면을 만들어 쓰고 추었다고 했으니까, 처음에는 검무가 가면무로 시작된 것이고, 한편 관창의 죽은 혼을 위무(慰撫)한다고 한 것을 미루어 생각해 보면, 민속적인 행사의 하나인 부락제(部落祭)나 동중(洞中)에서 공동으로 거행되는 당굿에서도 무격(巫覡)들에 의해서 추어졌다고 상상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검무가 서민 속에서 생장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황창무의 전설은 백제 공격전에 참전하여 용감히 싸우다가 백제의 [[계백]] 장군에게 피살된, 신라 [[품일]] 장군(品日將軍)의 아들 [[관창랑]])의 사실(史實)과 관련하여 유래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첨]](李詹)은 동서(東書) <관창조(官昌條)>에 보이는 황창(黃昌)은 반드시 [[관창]]이 잘못 전해진 것이라 했고, 또 [[이유원]](李裕元)의 시에도 관창이 오전(誤傳)되어서 황창랑으로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의 검무는 [[신라]] 시대(서기 667년경)에 어린 소년 황창랑(黃昌郎)이 지은 것이라고 <[[동경잡기]]> <풍속조(風俗條)>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첨]](李詹)은 동서(東書) <관창조(官昌條)>에 보이는 황창(黃昌)은 반드시 [[관창]]이 잘못 전해진 것이라 했고, 또 [[이유원]](李裕元)의 시에도 관창이 오전(誤傳)되어서 황창랑으로 되었다고 했다. 그래서 한국의 검무는 관창이 지은 것으로 보는 것이 당연하고, 그 춤의 발생연대는 서기 [[667년]]경으로 정하는 것이 옳다. 그리고 그 뒤 신라 백성들이 나라를 위해 죽어간 관창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관창의 가면을 만들어 쓰고 추었다고 했으니까, 처음에는 검무가 가면무로 시작된 것이고, 한편 관창의 죽은 혼을 위무(慰撫)한다고 한 것을 미루어 생각해 보면, 민속적인 행사의 하나인 부락제(部落祭)나 동중(洞中)에서 공동으로 거행되는 당굿에서도 무격(巫覡)들에 의해서 추어졌다고 상상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검무가 서민 속에서 생장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삼국사기]]> <열전(列傳)> 제7에 보면, 청년용사 해론(奚論)의 진몰(陣沒)에 대해 "당시의 사람 중 애도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으며, 장가(長歌)를 지어 그의 넋을 위로했다" 하였고, 화랑 [[김흠운]](金歆運)의 전사에 대해서도 "전사를 전해들은 사람들은 양산가(陽山歌)를 지어 상처를 달래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관창의 이야기와 비슷한 바가 있다. 사랑하고 의지하던 자가 죽었을 때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고인의 모습을 가면으로 본뜨거나 혹은 고인의 공적을 연출함은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 쌍방에 위로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고대인들의 무언극적(無言劇的) 무용과 드라마의 한 기원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설화를 종합해 보면, 이 검무가 단순한 전투모의무(戰鬪模擬舞)나 용검술(用劍術)의 묘기를 보이는 등의 검무가 아니고, 가면을 착용하고 좀더 희곡성을 띤 가면동자무검희(假面童子舞劒戱)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검무의 발생시기를 단정할 수 없음과 함께 고려와 조선조의 여러 문헌에 표현된 검무의 모습이 각기 다른 것으로 보아, 신라의 검무(황창무)의 분명한 모습을 밝히기란 어려운 일이라 하겠다.
 
이 춤이 궁중무로 변화된 사실에 있어선 여태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연희되었고, 각 지방 관아에까지도 전파되어서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다. 1300년의 긴 세월을 흘러 내려오는 동안에 처음 발생 때의 살벌하고 잔인한 모습은 찾아볼 수가 없고, 다만 유연하고 미려한 동작으로 추게 되었다.
줄 12 ⟶ 20:
 
[[분류:한국의 무용]]
[[분류:한국의 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