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한국의 불교}}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성은 김, 속명은 문아(文雅)이고, [[신라]] 왕족으로서 경주 모량부(牟梁部) 출신인 [[승려]]이다. 3세에 출가했고, 15세에15세(627)에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신라 효소왕|효소왕]] 5년(696)에 84세로 당에서 입적하였다. 《[[해심밀경소]](海深密經疏)》를 후세에 남겼다.
 
[[당나라]]에서 [[법상]](法常){{.cw}}[[승변]](僧辨)에게서 [[유식론]](唯識論)을 배웠으며, 중국어{{.cw}}[[산스크리트어]]에 능통하였고, [[당 태종]]으로부터 도첩(度牒)을 받아 [[원법사]](元法寺)에 기거하며 《[[비담론]]》{{.c}}《[[성실론]]》{{.c}}《[[구사론]]》 등을 공부하고 고금의 장소(章疏)에 통달하였다.<ref name="글로벌-원측">[[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통일신라시대의 사상/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원측|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원측]],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보우경]](寶雨經)》{{.c}}《[[화엄경]]》을 비롯한 여러 [[산스크리트어]] 불경 번역에 참여하였다.<ref name="글로벌-원측"/> [[법상종]]에 속하였는데 당시 [[법상종]]의 정통으로 자처하던 [[규기]](窺基)의 [[자은파]](慈恩派)와는 경전해석상에서 의견을 달리하였다.<ref name="글로벌-원측"/>
 
저술로는 《[[해심밀경소]](海深密經疏)》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가 있다.<ref name="글로벌-원측"/>
 
== 생애 ==
줄 16 ⟶ 22:
현재 중국 [[시안 시]](西安)의 흥교사(興敎寺)에 그의 탑묘가 남아 있으며 탑묘 안에 초상이 새겨져 있다. 후대에 송복(宋復)이 지은 대주서명사고대덕원측법사불사리탑명(大周西明寺故大德圓測法師佛舍利塔銘)이 있다.
 
== 원측의 사상 ==
원측 사상의 요체는 중국의 [[자은종]](慈恩宗)과 달리 자종(自宗)을 고집하거나 타파(他派)를 배척하지 않고 융합하는 것으로서 [[원효]]의 사상과 비슷하다. 당시 중국 불교계는 법상종과[[법상종]]과 [[천태학]] 등 계파에 따라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었는데, 원측은 [[법상종]] 계열이면서도 양자의 융합을 주장하여, [[법상종]] 정통파로부터정통파를 자처하던 [[자은종]]으로부터 이단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 승려 [[엔지]]의 기록에도 나오듯이, 당에 많이 와있던 신라 출신 승려들이 원측의 사상을 계승하여 하나의 계파를 이루어 그의 사상을 계속 이어나갔고, 원측의 제자 [[도증]](道證)은 [[692년]]([[효소왕]] 1)에 신라로 귀국하여 원측의 유식학을[[유식학]]을 신라에[[신라의 불교|신라]]에 전했다.
 
== 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