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격-절대격 정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ydin188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Aydin188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Ergative alignment.svg|thumb|right|370px|S:자동사의 주어 = O:타동사의 목적어 / A= 타동사의 주어]]
 
'''능격-절대격 언어'''(ergative-absolutive language, 能格-絶對格 言語)는 문법적으로 [[타동사]]의 [[목적어]]와 [[자동사]]의 [[주어]]는 같게, 타동사의 주어가 다르게 구분되는 언어를 말한다. 따라서 이 언어는 [[주격-대격 언어]](nominative-accusative language)에서 자동사와 타동사의 주어를 문법적으로 동등하게, 타동사의 목적어를 다르게 구분하는 것과 다른 문법적 체계를 가진다. 또 S, A, O를 각각 모두 다르게 취급하는 [[3분법 언어]](tripartite language)와도 다른 체계를 갖는다.<ref name="a">Palmer F. R., 이영민 역, 《문법역과 문법관계》, 도서출판 역락, 2000, 18-25쪽.</ref>
 
이 언어에서 타동사의 주어(A)를 '''능격'''(能格), 자동사의 주어-타동사의 목적어(S-O)를 '''절대격'''(絶對格)이라고 한다. 이러한 격 편성, 즉 능격이 나타나는 격 편성이 존재하는 언어는 '능격성을 가진다'고 하는데, 능격성이 나타나는 유형은 크게 형태론적 능격성, 통사론적 능격성, 분열 능격으로 나뉜다.
10번째 줄:
* [[주격-대격 언어]]
* [[3분법 언어]]
* [[비능격]]
 
== 주석 ==
{{reflist}}
 
== 참고 문헌 ==
* Palmer F. R., 이영민 역, 《문법역과 문법관계》, 도서출판 역락, 2000.
 
[[분류:언어유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