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 연역 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exttaken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Nexttaken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배경==
19세기 윌리엄 휴얼은 17세기 [[프랜시스 베이컨]]에 의해 제기되어 연구의 방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던제기된 귀납을 보완하기 위해 가설 연역 방법을 도입하였다. 그는 그의 저서인 History of the Inductive Sciences(1837)와<ref>윌리엄 휴얼 (1837) ''History of the Inductive Sciences''</ref> The Philosophy of the Inductive Sciences, Founded Upon Their History (1840)<ref>윌리엄 휴얼 (1840), ''Philosophy of the Inductive Sciences''</ref>에서 과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는지를 서술하면서, 관찰을 통해 얻은 지식으로 과학적 개념을 이끌어내는 귀납적인 방식을 언급하며, 이를 바탕으로 연역적으로 전개된 가설의 검증을 통해 자연법칙이나 이론을 이끌어 내는 방식을 추가한 가설 연역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후 가설 연역 방법은 여러 과학 분야에 걸쳐 과학적인 연구의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특징==
가설 연역 방법은 측정 가능한 실험 결과를 통해 반증될 수 있는 가설을 통하여, 이론이나 자연법칙을 이끌어내는 과학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가설 연역 방법은 ''현상 탐구 - 가설 설정 - 결과 예측 - 시험 - 검증 - 법칙 도출''의 과정을 가진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가설을 설정하고 법칙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귀납적인 과정을, 가설로부터 시험을 설계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에서 연역적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가설을 통한 예측과 반대되는 검증 과정은 가설을 반증하는[[반증]]하는 역할을 하며, 새로운 가설의 설계에 도움을 준다. 실험을시험을 통해 입증된 가설은 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받아지고, 더 나아가 하나의 법칙 혹은 이론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가설 연역 방법은 현대까지도 새로이 등장한 여러 가지 과학적 방법들과현대에 함께이르러서까지 실증적인[[실증주의|실증적]]인 지식 탐구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용문|
"가설 연역 방법은 오랜 경험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등장한 과학적 연구의 방법이다." - Brody, Thomas A<ref>{{서적 인용 |저자=Brody, Thomas A|제목=The Philosophy Behind Physics|발행년도=1993|출판사= Springer Verlag|id=ISBN 0-387-55914-0|페이지=p.86|꺾쇠표=예}}</ref>}}
 
그러나, 20세기 [[:en:Carl Gustav Hempel|칼 구스타프 헴펠]]과 [[칼 포퍼]] 등 여러 과학 철학자들에 의하여 제기된 가설 연역 방법의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가설 연역 방법은 귀납적 추론으로부터 오는 검증의 문제를 비롯한 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았다. 검증의 문제는
 
그러나, 가설 연역 방법에서 논의되는 연역적 가설을 입증하는 실험이 반드시 그 가설을 증명한다고 볼 수는 없고, 실험을 통한 검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귀납적 방법 역시 특정 일련의 사건들로부터 일반적인 설명을 도출해 내는 데 논리적인 문제가 있어, 19세기 윌리엄휴얼에 의해 제시된 후, 칼 구스타프 헴펠과 [[칼 포퍼]] 등 여러 과학 철학자들에게 비판 받았다.
 
==적용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