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FAJ-1: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Cwt96bot (토론 | 기여)
잔글 Bot: Fixing redirects
15번째 줄:
}}
 
'''GFAJ-1'''은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에 속하는 막대 모양 [[세균|박테리아]]의 한 [[균주]]<ref group="주">균주(菌株): 동종의 다른 계체와는 몇 가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최종 구분단위.</ref>로, 인이 없고 비소가 많은 환경에서 살 수 있는 [[극한생물|극한]] [[미생물]](Extremophile)이다. [[나사]]의 우주생물학자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의 연구팀이 캘리포니아 주 동쪽의 고염 [[알칼리|알칼리성]] 호수 [[모노 호]]에서 분리하여 2010년 《사이언스》 지에 발표하면서 과학계에 새로운 생물로 보고되었다.<ref name="Science">{{저널 인용 |성=Wolfe-Simon |first=Felisa|저자고리=:en:Felisa Wolfe-Simon |공저자=Blum, Jodi Switzer; Kulp, Thomas R.; Gordon, Gwyneth W.; Hoeft, Shelley E.; Pett-Ridge, Jennifer; Stolz, John F.; Webb, Samuel M.; Weber, Peter K.; [[:en:Paul Davies|Davies, Paul C. W.]]; Anbar, Ariel D.; Oremland, Ronald S. |제목=A bacterium that can grow by using arsenic instead of phosphorus |저널=[[사이언스]]|꺾쇠표=예 |출판일자=2010-12-02|doi=10.1126/science.1197258 |pmid=21127214|url=http://www.ironlisa.com/WolfeSimon_etal_Science2010.pdf|형식=PDF}}</ref> 논문의 저자에 따르면, 이 미생물은 [[인]]이 없는 환경에 놓였을 때 인이 들어갈 자리의 일부를 [[비소]]로 대신하고 계속해서 증식할 수 있다.<ref name=Alla>{{뉴스 인용 |성=Alla |이름=Katsnelson |제목=Arsenic-eating microbe may redefine chemistry of life |작성일자=2010년 12월 2일|url=http://www.nature.com/news/2010/101202/full/news.2010.645.html |작품명=[[:en:Nature News|네이쳐 뉴스]] |확인일자=2010-12-02 |doi=10.1038/news.2010.645}}</ref><ref name='arsenic extremophile'>{{뉴스 인용 |성=Jason |이름=Palmer |제목=Arsenic-loving bacteria may help in hunt for alien life |작성일자=2010년 12월 2일 |url=http://www.bbc.co.uk/news/science-environment-11886943 |작품명=[[:en:BBC News|BBC 뉴스]] |확인일자 = 2010-12-02 |doi=10.1038/news.2010.645}}</ref> 논문 발표 직후, 다른 미생물학자와 생화학자들이 이 가설에 의문을 재기하였으며, 이 박테리아가 신진대사에 인을 대신해서 비소를 사용한다는 주장 역시 과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쟁되고 있다.
 
== 발견 ==
GFAJ-1 박테리아는 [[미국 지질조사국]]에 주재하던 [[나사 우주생물학 연구소]]의 [[지구미생물학]]자 [[펠리사 울프-사이먼]]이 발견하였다.<ref name="nasa">{{웹 인용 |제목=Searching for Alien Life, on Earth |성=Bortman |이름=Henry |출판사=[http://www.astrobio.net/ Astrobiology Magazine (NASA)]|꺾쇠표 = 예 |작성일자=2009-10-05 |확인일자=2010-12-02 |url=http://www.astrobio.net/index.php?option=com_expedition&task=detail&id=3259 }}</ref> GFAJ 는 “Give Felisa a Job.”(펠리사에게 일거리를)에서 따왔다.<ref name="WSJ_Davies">{{뉴스 인용 |출판사=[[월스트리트 저널]] |제목=The 'Give Me a Job' Microbe |저자=Davies, Paul|저자고리=:en:Paul Davies|작성일자=2010년 12월 4일 |url=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748703989004575652940497021092.html |확인일자=2010-12-05}}</ref> 이 생물체는 그녀와 동료들이 캘리포니아 주 [[모노 호]] 바닥의 침전물에서 수집한 셈플에서 분리되어 2009년 초부터 배양되었다.<ref name="Thriving">{{cite news |first=Henry |last=Bortman |title=Thriving on arsenic |date=2 December 2010 |url=http://www.astrobio.net/exclusive/3698/thriving-on-arsenic
|publisher=[http://www.astrobio.net/ Astrobiology Magazine (NASA)] |accessdate=2010-12-04}}</ref> 모노 호는 염분이 매우 높고(약 90&nbsp;g/L) 강한 [[알칼리|알칼리성]]([[pH]] 9.8)이며,<ref name=Oremland2003>{{저널 인용 |제목=The ecology of arsenic |저널=[[사이언스]]|꺾쇠표=예 |성=Oremland |이름=Ronald S. |성2=Stolz |성2=John F. |작성일자=2003년 5월 9일 |권=300 |발행=5621 |쪽=939–944 |doi=10.1126/science.1081903 |pmid=12738852 |url=http://www.niehs.nih.gov/news/events/pastmtg/2006/arsenicland/docs/other/OremlandMcrblTrnsfrmtns.pdf |형식=PDF}}</ref> 세계에서 비소의 자연 농도가 가장 높은 장소 중 하나이다(200&nbsp;μ[[몰 농도|M]]).<ref name="Science"/> 이 발견은 2010년 12월 2일에 널리 발표되었다.<ref name=Alla/>
 
== 분류와 계통 ==
29번째 줄:
| 1={{분기군
|1={{분기군
|1=[[대장균]] 균주 [[대장균 O157:H7O-157|O157:H7]]
|2={{분기군
|1={{분기군
55번째 줄:
}}
 
[[16S 리보솜 RNA|16S rRNA]] 서열에 기반한 [[분자계통학|분자 분석]]은 GFAJ-1이 [[할로모나스과]]의 다른 보통 [[호염균|호염성]] 박테리아와 가까운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논문의 저자들은 이 균주가 [[할로모나스속]]에 놓인 분기도를 제시하면서도,<ref name="SupportingMaterial"/> 명확하게 해당 속에 할당하지는 않았다.<ref name="Science"/><ref name = "Thriving"/> 많은 박테리아가 고농도의 비소에 내성이 있고 비소를 세포 내부로 따로 모아놓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GFAJ-1는 이제 한발 더 나아가, 인이 부족한 환경에서 비소를 자신의 [[신진대사물질대사|대사 물질]] 및 거대분자에 대신 편입하고 생장을 계속할 수 있다고 가정되고 있다.<ref name = "Thriving"/>
 
=== 종/균주 ===
논문에서 GFAJ-1은 할로모나스과의 한 균주로 언급된 것이며 새로운 [[종]]은 아니었다.<ref name="Science"/> 사실 [[국제세균명명규약]](박테리아의 [[분류]]를 결정하는 단체)은 박테리아가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는데 알맞은 특정한 조건을 요구하는 지침을 명시해 두는데, 이를태면 [[16S 리보솜 RNA|16S rRNA]] 서열이 다른 종과 97% 이상 일치할 경우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ref name=Stackebrandt2006>{{저널 인용 |성=Stackebrandt |이름=Erko |성2=Ebers |이름2=Jonas |작성연도=2006 |제목=Taxonomic parameters revisited: tarnished gold standards |저널=Microbiology Today |권=33 |발행=4 |쪽=152~155 |url=http://www.sgm.ac.uk/pubs/micro_today/pdf/110602.pdf |형식=PDF}}</ref>
 
<br/><br/><br/><br/><br/><br/><br/><br/><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