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법가'''(法家)는 [[중국의 역사]]에서 [[춘추전국시대]](770~221 BC)의 [[제자백가]] 가운데에서도 주요 유파 넷 가운데 하나이다. 나머지 셋은 [[공자]]의 [[유가]], [[노자]]의 [[도가]] 그리고 [[묵자]]의 [[묵가]]이다.
 
대표적인 법가 [[사상가]]는 [[상앙]](商鞅){{.cw}}[[신불해]](申不害){{.cw}}[[한비|한비자]](韓非子)이다.<ref name="글로벌-법가">[[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인류 문화의 시작/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전국시대의 제자백가#법가|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법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천하]]를 다스리는 원리에 대해, [[유가]]가 인{{.cw}}의{{.cw}}예와 같은 [[덕치주의]]가 근본이라고 주장하였음에 비해 법가는 보다 엄격한 [[법치주의]]가 근본이라고 주장하였다.<ref name="글로벌-법가"/> 법가는 천하를 다스리는 원리는 [[법]](法)과 [[술]](術)이라고 주장하였다.<ref name="글로벌-법가"/> 여기서 법(法)은 [[군주]]가 정하는 [[규범]]을 뜻하며 [[술]](術)은 [[법]]을 행하는 수단을 뜻한다.<ref name="글로벌-법가"/> 또한 법가는 [[술]](術)의 핵심은 [[명]](名: 군주의 명령)과 [[형]](形: 신하가 이루어낸 실적)의 일치{{.cw}}불일치에 따른 [[시비]]의 판단이라고 보았다.<ref name="글로벌-법가"/> 법가는 [[법]](法:군주가 정하는 규범)의 엄중한 이행을 통해 부국강병을 달성하고 [[전제]]적 [[군주]] 권력의 확립을 꾀하였다.<ref name="글로벌-법가"/>
 
법가 사상은 [[춘추시대]]의 [[패도]]에 부응해서 일어났는데, [[전제]] 지배체제를 지향하는 [[군주]]에게 채용되어 [[진나라]]{{.cw}}[[한나라]]의 중앙집권적 고대 제국의 형성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줌으로써 크게 중용되고 융성하였다.<ref name="글로벌-법가"/><ref name="글로벌-제자백가의 사상">[[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동양의 사상/중국의 사상/제자백가의 사상#제자백가의 사상|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 제자백가의 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그러나 [[전한]] [[전한 무제]] 이후에는 [[유가]](儒家)가 국가의 관학으로 정통시되면서부터는 [[유가]]가 [[중국 사상계]]의 주류가 되고 법가 사상은 독자적인 발전에 있어 방해를 받았다.<ref name="글로벌-법가"/><ref name="글로벌-제자백가의 사상"/>
 
== 한비자의 법가 사상 ==
31번째 줄:
*[[오기]](吳起)
*[[이회 (법가)|이회]](李悝)
 
==주석==
<references/>
 
== 참고 문헌 ==
* {{글로벌|분류=철학}}
 
{{제자백가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