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 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이후 [[남북국 시대]]의 [[신라]]에서는 불교 본연의 자세와 사상에 기반한 불교 연구가 깊어졌으며 중국 및 다른 나라의 불교 사상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지닌 [[일심 사상]]{{.cw}}[[화쟁 사상]]{{.cw}}[[화엄 사상]]{{.cw}}[[유식 사상]]{{.cw}}[[정토 사상]]{{.cw}}[[밀교 (불교)|밀교 사상]] 등이 성립되었다. 이 시대에 성립된 [[통불교]](通佛敎)적 성격은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적인 성격 중 하나가 되었다.<ref name="글로벌-한국의 불교〔서설〕">[[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한국의 종교/한국의 불교/한국의 불교〔서설〕|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의 불교〔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이러한 성격을 지닌 한국의 불교 사상으로는 [[일심 사상]]{{.cw}}[[화쟁 사상]]{{.cw}}[[교관겸수]]{{.cw}}[[정혜쌍수]] 등이 있다.
 
[[원효]]의 [[일심 사상]]과 [[의천]]의 [[교관겸수]]도 [[자심]](自心)을 밝히는 것을 중시하였지만,
[[남북국 시대]] [[신라]] 말기에 [[선종 구산]]을 통해 성립된 후, 이후 고려 시대의 [[오교 양종]]{{.cw}}조선 시대의 [[선교 양종]]{{.cw}}현대의 [[조계종]]으로 이어지는 [[선 (불교)|선종]]의 전통은 특히 그러하여 한국 불교의 특징적 성격 중의 하나인 [[자심]](自心)을 밝히는 것을 중시하는 한국 불교의 특징적 성격 중의전통을 하나를뚜렷이 형성하였다. 이러한 성격을 지닌 한국의 불교 사상으로는 [[일심 사상]]{{.cw}}[[교관겸수]]{{.cw}}[[정혜쌍수]]{{.cw}}[[돈오점수]]{{.cw}}[[돈오돈수]] 등이 있다.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