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영문판에서는 아문설이 근거가 없다고 나오는데 왜 계속해서 아문설이 근거 있는것처럼 올라오는걸까요.
2번째 줄:
{{다른 뜻 설명|이집트 신화의 [[아문]]을 아멘이라고도 부른다.}}
 
Ge'ez''아멘'''([[히브리어]]: አሜን'''אמן/אָמֵן''' (현대 발음:'''Amen''', 티베리안 발음: '''’Āmēn''',) [[그리스어]]: '''ἀμήν'''[[아라비아어]]: '''آمين''' '''’Āmīn''')은 긍정을 나타내는 낱말이며, "정말로 그렇다"라는 뜻이다. 기독교 성경과 유대교 성경 전반에 걸쳐 등장한다. 이 종교에서 아멘은 기도나 찬송의 마지막을 맺는 구절로 자주 사용되며, [[예배]]를 드릴 때나 기도할 때에 동감을 나타내는 방식으로도 사용된다. 아멘은 또한 "그렇게 될지어다"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기독교에서는 [[찬송]](찬미)의 마지막에 두는 말로 자주 쓰인다.
'''아멘'''([[티베리아 히브리어]]: '''אָמֵן''' '''’Āmēn''', [[히브리어]]: '''אמן''' '''Amen''' [[아라비아어]]: '''آمين''' '''’Āmīn'''
Ge'ez' አሜን '''’Āmēn''')은 긍정을 나타내는 낱말이며, "정말로 그렇다"라는 뜻이다. 기독교 성경과 유대교 성경 전반에 걸쳐 등장한다. 이 종교에서 아멘은 기도나 찬송의 마지막을 맺는 구절로 자주 사용되며, [[예배]]를 드릴 때나 기도할 때에 동감을 나타내는 방식으로도 사용된다. 아멘은 또한 "그렇게 될지어다"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기독교에서는 [[찬송]](찬미)의 마지막에 두는 말로 자주 쓰인다.
 
아멘은 영어권에서는 "에이멘"이라고 발음하기도 한다.영미권의 [[클래식 음악]]이나 정형화된 예식, 기도문에서는 "아멘"(/ɑːˈmɛn/)이라 발음하는 경우가 많으며, 영미권 [[복음주의]] 영어[[개신교]]나 [[복음성가]]에서는 에이멘으로등에서는 "에이멘"(/eɪˈmɛn/)으로 많이 발음한다. 한국어에서도한국어에서는 드물게모든 에이멘이라기독교가 발음하는아멘을 사용하나, 영미권의 음악에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경우 에이멘이라는 발음을 차용하는 경우가 있다.
 
[[ł]]===기원===
{{중립 필요 문단|날짜=2011-10-09}}
두 가설의 배경인 '고대'는 전혀 같은 시대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고대 이집트'가 '고대 유대'보다 더 오래전을 의미한다.
*'''첫 번째 설''' 고대 유대 교회에서는 랍비가 성경의 한 구절을 읽을 때, 성도들이 그 구절을 따라 말함으로써 [[성서]] 교육을 베풀었다. 그러나 점차 구절을 되풀이하여 따라 말하는 것이 귀찮게 되어 성도들은 "아멘!"이라고 말하게 되었다. 이것이 [[유대교]]부터 파생한 [[기독교]]까지 그대로 이어져 목사가 설교의 중요한 구절을 말하거나 신부가 기원의 말을 한 뒤에 성도들이 "아멘"이라고 말하게 되었다는 설이다.
*'''두 번째 설''' 고대 이집트 신인 [[아문]](Amun, 아몬 Amon, 암몬 Ammon, 아멘 Amen 등으로 불림)이 그 유례이다. 본래 바람과 공기의 신이자 '보이지 않는 힘'을 의미하는 신인 [[아문]]은 [[아크나톤]]치하의 유일신 [[아톤|아텐]]([[아톤]])신앙 이후, [[투탕카멘]](''그의 이름도 "아멘(아몬)의 살아있는 이미지"라는 뜻이다.'')치하에서 사제들이 다시 강력한 다신주의, 태양신의 복귀를 꾀하기 위해 [[태양의 신]] [[라 (신화)|라]]와 아몬을 합쳐 [[아문|아문·레]]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후에 [[아문|아문·레]]신앙은 이집트의 영향력을 타고 널리 퍼졌으며, 이것이 유태사회로 흘러들어가 '강한 긍정'을 의미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현재의 기도문 말미의 "아멘"이 되었다는 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