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몽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CR7FW(토론)의 편집을 EmausBot의 마지막 버전으로 되돌림
CR7FW (토론 | 기여)
777sms(토론)의 7730555판 편집을 되돌림
68번째 줄:
이리하여 [[1259년]](고종 46년) 음력 3월 박희실(朴希實)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자랄타이와 회견, 왕의 출륙과 입조를 약속하고 [[고려 원종|태자 전(倎)]] 등 40여 명을 몽골에 보내고 강도의 성을 헐게 하여 고려의 강화 태도에 확증을 보이니 28년간의 싸움 끝에 드디어 고려는 굴복하였다. 그해 음력 6월 고종이 죽고 태자가 귀국하여 왕위에 올라 [[고려 원종|원종]](元宗)이 되었는데, 그는 몽골에 태자를 다시 인질로 보내어 성의를 표시하였으나 강화에서 나오지는 않았다.
 
그 후 강도에서는 무신간의 알력이 생겨 한때 왕이 폐위되었으나 다시 복위하였고, 몽골의 초청을 받고 연경(燕京)에 들어갔다가 [[1270년]](원종 11)에 귀국하여 개경에 환도하니 이로부터 고려는 몽골의 간접간섭하에지배하에 들어갔다. 이는 강화에 천도한 지 39년 만의 일이다.
 
== 영향 ==
고려는 강화도의 작은 섬을 안전지대로 삼아 근 40년간 질풍 같은 몽골의 대군을 맞아 항전하는 동안 상하 모든 사람은 민족의식과 애국심이 극히 왕성하였는데,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 무사들의 항거정신은 그 대표적인 것이었으며, 특히 부처의 힘을 빌고자 15년간에 걸쳐 《[[팔만대장경]]》을 완성한 사실은 한국 역사상 주목할 만한 문화의 형성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어떻게 보면 신흥 제국 몽골의 팽창 정세를 정확히 관찰하지 못한 무신정권의 허술한 오판으로 자초한 전란이기도 해서 국내 각지는 적의 침략을 당하여 국토는 황폐해지고 민족의 고난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문화재는 소실되고 정치적으로는 몽골의 간섭을지배를 받아 [[충렬왕]] 이후 [[공민왕]]까지는 부마국속국(鮒馬 : 사위나라)으로 변질되어 자주성을 잃은 왕조가 되었으며, 모든 정치기구와 그 명칭은 제국이자주국이 아닌 왕국으로써의제후국으로써의 관제로 개편당했고, 동·서북면에는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동녕부]](東寧府) 등이 설치되어 국토의 손실을 가져왔다. 한편 여·몽 연합군의 [[원나라의 일본 정벌|일본 정벌]]과 왕실의 내부·심왕당(瀋王黨)의 대두 등은 고려 쇠퇴의 중요한 원인을 만들었다. 문화적으로도 몽골 지배하의 80여 년간은 문물교환·인물교환이 잦아 이른바 몽골풍의 유행을 보게 하여 고려인의 생활양식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동서 문화의 교류에 힘쓴 몽골의 영향을 받아 천문·의학·수학·역법(曆法)·예술·목화·화약·정주학(程朱學) 등이 전래되어 고려 문화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원나라의 상류층 사회에서도 [[고려양]](高麗樣)이 유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