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urburi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Samjeo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ㅅ|저작권 침해}}
{{삭제 신청 이의}}
 
수돗물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 중의 하나이다. 영국의 의학전문지 브리티시메디컬저널에 따르면, 위생적인 수돗물의 공급은 1840년 이래로 가장 중요한 의학적 진보라는 평가를 받았다.<ref> Annabel Ferriman
수돗물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 중의 하나이다. 인간은 물이 없이는 살 수 없었지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다. 물통을 가지고 강이나 우물에서 물을 길어오는 것은 여러 가지로 불편했다. 물은 부피가 커서 대량으로 운송하기도 어렵고, 보관하기도 어려웠다. 또한 위생적인 조치 없이 오래 보관할 수도 없었다. 하나하나의 통에 담아 운반할 수밖에 없었던 물을, 인간의 생활공간 한 가운데로 흐르게 한 것이 수도이다.
, "BMJ readers choose the "Sanitary revolution" as greatest medical advance since 1840" 《British Medical Journal》, 2007, 334</ref>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 역시 이같은 평가를 뒷받침한다. 안전한 식수와 개인 위생 향상을 통해 질병의 위험을 9.1% 낮출 수 있으며, 6.3%의 죽음을 예방할 수 있다.<ref>John Zarocostas
, "Safer drinking water and better sanitation could lower disease burden by 9%, says WHO" 《British Medical Journal》, 2008, 337</ref> 수돗물은 위생적인 물을 효율적으로 시민들에게 공급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물은 부피가 커서 대량으로 운송하기도 어렵고, 보관하기도 어려웠는데, 수도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즉 과거 하나하나의 통에 담아 운반할 수밖에 없었던 물을, 인간의 생활공간 한 가운데로 흐르게 한 것이 수도이다.
 
== 수돗물의 역사 ==
 
=== 로마의 수돗물 ===
 
==== ''수도를 세계 최초로 설계하고 건설한 사람: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
수도라는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하고 설계한 사람은 로마의 재무관(censor)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Appius Claudius Caecus)이다. 그는 기원적 312년 즈음에 1년 반 동안 재무관을 하게 되는데, 재무관은 공익사업을 위하여 로마 국고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그가 설계하고 건설한 대표적인 두 가지가 수도와 고속도로인데, 이 두 가지는 도시의 핵심 기반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ref>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2007, 23</ref>
 
 
==== ''세계 최초의 수도: 아피아 수도'' ====
세계 최초의 수도는 창시자 아피우스의 이름을 따서 ‘아피아 수도(Aqua Appia)’라 불렀다. 아피아 수도는 총 길이가 16.6킬로미터로6킬로미터인데, 이는 잠실에서 지하로출발해서 뚫린한강을 길이가따라가면 16.5킬로미터에국회의사당이 달한다.있는 여의도에 대부분의이르는 수도를정도의 지하에길이이다. 건설한아피아 것이라수도의 특징은 전체 있는데,길이 이는 위생적인대부분이 이유와지하로 군사적인건설되었다는 이유를것이다. 동시에100미터 고려한정도를 것으로제외한 보인다전 구간이 지하이다. 우선이는 지하에적의 건설하는공격으로부터 것이수도를 지상보다보호하고, 수돗물이 오염될 가능성이위생적인 적다물을 공급하기 위한 의도로 추정된다. 즉 지하에 건설됨으로 해서, 동물의 배설물이 들어갈 가능성도 적고, 수온이 높아서상대적으로 낮아서 부패할 가능성도가능성이 줄어든다줄어드는 것이다. 또한 적군이 로마를 공격하거나 포위했을 때에도 물의 공급을 막거나, 물에 독을 푸는 등의 공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ref name="history">[http://www.tapwater.or.kr/html/knowledge/history01.php 수돗물의 역사]</ref>
 
 
==== ''지속적으로 늘어난 로마의 수도'' ====
아피아 수도 이후로 로마는 계속해서 수도를 증설했다. 로마제국 시대에 건설된 로마 수도는 모두 열한 개로 수도관의 총 길이는 578킬로미터에 이른다. 이는 서울-부산간의 거리보다도거리(약 400킬로미터)보다도 더 길다.<ref name="history" />
 
 
 
=== 정수처리를 거쳐 수돗물을 공급하기 시작한 영국과 미국 ===
 
==== ''식수난에 빠진 런던'' ====
16세기 영국은 로마시대 이후 끊겼던 수도가 다시 건설된 곳이다. 런던에서 처음으로 수도 시설이 설치된 건 1582년. 당시 유럽은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도시 의도시의 경우 수도가 필요했다. 템즈강의 물은 수도를 통해 영국 시민들에게 공급되었다.<ref name="history" />
 
==== ''수도회사의 설립'' ====
템즈강의 물은 그냥 마실 정도로 깨끗하지는 않았다. 그러다보니 로마의 수도처럼 멀더라도 깨끗한 수원지에서 물을 가져오는 방법이 논의되었다. 수도 건설에 있어서, 로마와 런던의 차이점이라면, 로마는 정부 재정으로 수도가 건설된 반면, 런던에는 1619년에 수도를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가 설립되었다는 것이다.<ref name="history" />
 
 
====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 공정의 도입'' ====
산업혁명으로 인해 생산 활동이 증대되고, 사람들은 도시로 몰려들게 된다. 이에 따라 하천의 오염이 심각해지는데, 콜레라 등 각종 수인성 전염병이 창궐했다. 영국의 완속사 여과법은 이런 배경하에서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을 목적으로 시작됐다. 1804년 영국의 파슬리(Paisley)에 의해 시작된 완속사 여과법(Slow Sand Filtration)은 영국식 여과법이라고도 불리는데, 물이 자연스럽게 모래 층을 투과하면서 여과되는 방식을 말한다. 이에 반해 급속사 여과법은 1884년 미국의 하이얏(A. Hyatt)이 황산철을 사용하는 응집법을 개발하면서 시작되는데, 미국식 여과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미국 뉴저지주 서머밀에서 처음 채택된 방식이다. 다시 말하면, 이 급속사 여과법은 약품을 투입해서 이물질을 크게 뭉치게 섞은 후, 가라앉게 하고, 여과를 시킨다. 그 후 염소 소독을 하는 방식으로서, 현재 세계 각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ref>[http://www.jincheon.go.kr 수질관련정보]</ref>
 
 
=== 우리나라 근대 상수도 역사 ===
조선 시대에 물과 관련된 생활상은 1912년에 발행된 “조선의 상수도”라는 자료를 통해 추측해 볼 수 있다. 당시 서울의 경우 우물은 9,241개소가 있었는데, 그 중 12%인 1,091개만이 마시기에 적합하고, 나머지는 부적합했다고 한다. 사용 가구별로 보면, 우물을 사용한 가구는 총 3만 8호였는데, 그 중 42.5%인 1만 2,739호가 마시기에 적합한 물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57.5%는 마시기에 부적합한 물을 먹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하천물을 이용하고 있던 가구도 8,107호로 전체 가구 수를 기준으로 보면, 다섯 가구 중 네 가구는 우물물을, 다섯 가구 중 한 가구는 하천물을 마시고 있었다. 우리나라 근대 상수도의 시작은 19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해 12월 9일 미국인 콜브란(C. H. Collbran)과 보스트윅(H. R. Bostwick)은 고종황제로부터 상수도 부설 경영에 관한 특허를 받았다. 그들은 이 특허를 1905년 8월에 영국인이 설립한 대한수도회사(Korea Water Works Co.)로 양도했고, 이 회사가 1906년 8월에 착공하여 1908년 9월 1일에 서울의 뚝도 정수장을 준공하게 된 것이다. 당시 서울 뚝도 정수장의 규모는 침전지 2개, 여과지 5개, 정수지 1개를 갖추고 하루 1만 2,500톤의 위행적인 물을 생산했다. 이 물은 당시 12만 5천 명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계획된 것이었다.<ref>[http://www.kwater.or.kr 물정보관]</ref>
 
 
 
줄 41 ⟶ 55:
 
== 수돗물 생산 및 공급 과정 ==
아래는 일반적인 수돗물 생산 및 공급 과정이다. 우리나라의 수돗물은 주로 지방자치단체나 수자원공사 등에서 생산하는데, 각 공급자들은 대체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만, 세부적인 면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ref> 환경부, 《재밌는 물 이야기》, 2010, 15-16</ref>
 
==== ''취수장'' ====
줄 74 ⟶ 89:
==== ''수도꼭지'' ====
수돗물이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곳이 수도꼭지이다. 각 가정에서는 수도꼭지를 통해 수돗물을 받아서 쓸 수 있다.
 
== 주석 ==
<references/>
 
 
== 참고자료 ==
* 환경부, 《재밌는 물 이야기(》, 2010). 환경부
* http://water.seoul.go.kr
* http://www.kwater.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