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메스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번째 줄:
=== 고대 후기 ===
 
[[파일:Caduceus.svg|right|thumb|<span style="font-size: 9pt">헤르메스주의의 상징인 [[커듀셔스]]([[:en:Caduceus|<span style="color: black">Caduceus</span>]])</span>]]
 
{{참고|헬레니즘 종교|헬레니즘 다신교의 쇠퇴}}
27번째 줄:
[[고대 후기]]에 헤르메스주의(Hermetism<ref>{{언어고리|en|크기=9pt}} van den Broek and Hanegraaff (1998): 반 덴 브로에크와 하네그라프는 "허메티즘(Hermetism{{.cw}}헤르메스학)"과 "허메티시즘(Hermeticism{{.cw}}헤르메스주의)"을 구분하여, 전자를 고대 후기의 전통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후자를 이 고대 후기의 전통이 르네상스 시대에서 부활한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ref>)는 [[나스티시즘]]{{.cw}}[[신플라톤주의]]{{.cw}}[[초기 기독교]]와 동시대에 나란히 출현하였으며,<ref name="van den Broek 1998">{{언어링크|en|크기=9pt}} van den Broek and Hanegraaff (1998), p. vii</ref> 전적인 [[이성]](理性)중심주의 또는 [[주지주의]]와 전적인 교리주의적 [[신앙]]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가졌다는 특징이 있다.<ref name="van den Broek 1998"/>
 
현재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헤르메스주의 전집은 기원후 2세기경에 발생하였던 [[지성|지적]]{{.cw}}[[혼합주의|혼합주의적]] 성격의 비기독교적 사상의 일부가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면서 성립된 것이다. [[고대 후기]]에 속한 다른 비기독교적 문화적 운동의 사례로는 [[나스티시즘]]의 사상과 문헌들, [[신플라톤주의]]의 철학, 《[[칼데아 신탁]]([[:en:Chaldaean Oracles|<span style="color: black">Chaldaean Oracles</span>]])》, 후기 [[오르페우스]] 문학, [[피타고라스 학파|신피타고라스 학파]]의 저작들이 있다.
 
현존하는 원본 [[그리스어]] 헤르메스주의 문헌들에서는 신의 일체성과 신의 선함에 대해 깊이 다루고 있으며, 영혼이 정화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으며, [[우상|상(像)의 숭배]]와 같은 비기독교적 종교적 수행을 옹호하고 있다. 현존하는 많은 [[라틴어]] 번역 문헌들에서 [[연금술]]에 대한 토론이 철학적 은유의 옷을 입은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데, 많은 상실된 [[그리스어]] 원본들에서도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어]] 원본은 상실되었지만 [[라틴어]] 번역본으로 일부 내용이 보존되어 있는 《[[아스클레피오스]]([[:en:Asclepius (disambiguation)|<span style="color: black">Asclepius</span>]])》라는 문헌에는 [[이집트]]에서 [[로마]]의 지배가 끝날 것이며 비기독교적 이집트인들이 다시 권력을 되찾게 되리라는 피의 예언을 담고 있다.
 
헤르메스주의 문헌의 주된 구성 형식은 대화체이다. 예를 들어,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가 혼란에 처해 어찌할 바를 모르는 제자에게 숨겨진 지혜의 일부를 대화를 통해 가르치는 형식이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에 대한 [[플루타르코스]]의 언급은 기원후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테르툴리아누스]]{{.cw}}[[이암블리코스]]{{.cw}}[[포르피리오스]]는 모두 헤르메스주의의 문헌들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ref>{{언어링크|en|크기=9pt}} Stephan A. Hoeller, "On the Trail of the Winged God—Hermes and Hermeticism Throughout the Age", 《Gnosis: A Journal of Western Inner Traditions》 (Vol. 40, Summer 1996).</ref>
35번째 줄:
=== 르네상스 시대 ===
 
헤르메스주의는 수 세기 동안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가 1460년에 레오나르도<ref>이 레오나르도 디 피스토이아(Leonardo di Pistoia)는 [[수사]]였다 [http://www.ritmanlibrary.nl/c/p/lib/coll.html]. 화가인 [[레오나르도 다 피스토이아]]([[:en:Leonardo da Pistoia|<span style="color: black">Leonardo da Pistoia</span>]]: 1502-c.1548)와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화가인 레오나르도는 1460년경에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상태이다.</ref>라는 [[수사 (기독교)|수사]]가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을 이탈리아의 [[피스토이아]]([[:en:Pistoia|<span style="color: black">Pistoia</span>]])로 가져오면서 서양 세상에 재도입되었다. 레오나르도는, 상실된 고대의 저작들을 찾아 [[유럽]]의 [[수도원]]들을 샅샅이 뒤지도록 하기 위해, [[피스토이아]]의 통치자였던 [[코시모 데 메디치]](1389-~1464)가 파견하였던 대리인들 중의 한 명이었다.<ref name="WayOfHermes-p9">{{언어링크|en|크기=9pt}} 《The Way of Hermes》, p. 9</ref>
 
1614년에 [[스위스]]의 고전학자이자 문헌학자였던 [[아이작 카소봉]]([[:en:Isaac Casaubon|<span style="color: black">Isaac Casaubon</span>]]: 1559-1614)은 [[헤르메스주의 문헌]]의 문체를 분석하여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저술인 것으로 간주하는 [[헤르메스주의 문헌|헤르메스주의의 문헌들]]은 [[고대 이집트]] 사제의 작품이 아니며 그 성립 시대가 [[서력기원]] 후라고 주장하였다.<ref name="WayOfHermes-p9"/><ref>{{언어링크|en|크기=9pt}} Tambiah. 《Magic, Science, Religion, and the Scope of Rationality》, pp. 27–28</ref>
 
=== 현대 ===
 
1924-25년에 《헤르메티카(Hermetica)》를 편찬한 [[월터 스콧 (학자)|월터 스콧]]([[:en:Walter Scott (scholar)|<span style="color: black">Walter Scott</span>]]: 1854-1925, 영국 학자)은 헤르메스주의 문헌들의 성립 연대가 기원후 200년 직후라고 보았으며, 반면 [[이집트학]] 학자인 [[윌리엄 피트리]]([[:en:Flinders Petrie|<span style="color: black">Sir William Flinders Petrie</span>]]: 1853-1942)는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라고 보았다.<ref>{{언어링크|en|크기=9pt}} Abel and Hare p. 7</ref>
 
1945년에 발견된 [[나그함마디 문서]]에는 헤르메스주의의 문헌이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이 문헌들에는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와 [[아스클레피오스]] 간의 대화들 중의 일부를 기록한 [[코르푸스 헤르메티쿰]]에 속한 저작과, 헤르메스주의 신비 학교들에 관한 저작으로 [[콥트어]]로 기록된 《[[오그도아드와 엔네아드에 대하여]]([[:en:On the Ogdoad and Ennead|<span style="color: black">On the Ogdoad and Ennead</span>]])》가 들어 있다.<ref>{{언어고리|en|크기=9pt}} 《The Way of Hermes》, pp. 9–10</ref>
 
== 헤르메스주의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