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 사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inamik-bot (토론 | 기여)
잔글 r2.6.5) (로봇이 더함: simple:Space Shuttle Columbia disaster
사진 추가
1번째 줄:
[[파일:STS-107Disaster Flightof InsigniaColumbia.svgJPG|right|thumb|180px200px|[[STS-107]]의컬럼비아 미션우주왕복선 기장공중분해 당시 사진]]
[[파일:STS-107 Flight Insignia.svg|right|thumb|200px|[[STS-107]]의 미션 기장]]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사고'''( - 宇宙往復船空中分解事故, {{lang|en|Space Shuttle Columbia disaster}})는,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우주왕복선 컬럼비아 호]]가 [[2003년]] [[2월 1일]] [[STS-107]] 임무를 마치고 귀환하던 중에 [[텍사스 주]] 상공에서 공중분해되어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한 사고이다.
 
== STS-107의 승무원 ==
[[파일:Crew of STS-107, official photo.jpg|right|thumb|250px200px|[[STS-107]]의 승무원]]
* [[릭 허스밴드]] (선장)
: [[1957년]] [[7월 12일]]생. [[텍사스 주]] 출신. [[1994년]] [[12월]]에 우주비행사로 선발된다. [[1999년]]에 [[STS-96]]으로 첫비행. [[미국 공군]] 대령, [[기계공학]] 석사.
줄 38 ⟶ 39:
 
== 사고 원인 ==
[[파일:STS-107 Cockpit Video 3.jpg|right|thumb|180px200px|폭발 전에 촬영된 재진입 중인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컬럼비아호]] 내부. 창문 밖으로 재진입 시 발생하는 대기권의 화염이 보인다.]]
발사시에 외부 연료 탱크로부터 벗겨져 떨어진 단열재의 파편이 충돌한 것 때문에 뚫렸다고 추정되는 좌익 전연의 구멍에 대기권 재돌입 시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어 좌익에서부터 파괴가 시작되어 공중 분해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
 
줄 50 ⟶ 51:
 
== 파편의 회수 ==
[[파일:Columbia debris detected by radar.jpg|right|thumb|180px200px|레이더에 포착된 [[컬럼비아 우주왕복선|컬럼비아]]의 잔해]]
[[2003년]] [[2월 1일]], 파편의 회수가 시작되었다. 사고 발생 수 시간 후, [[조지 W. 부시|부시]] 대통령은 [[텍사스 주]] 동부를 연방 재해지역으로 선포하고 미합중국 연방 긴급사태 관리청(FEMA)과 환경보호국(EPA)의 팀을 파견해 파편을 수색하고, 현지의 경찰관들, 자원봉사자들, 현지의 주민들 등도 수색에 참가했다.
 
줄 56 ⟶ 57:
 
[[2003년]] [[5월 6일]], 마지막으로 회수된 파편이 [[케네디 우주센터]]로 옮겨졌다. 합계로 83,743개, 중량은 38,460 kg 으로, 귀환 시의 컬람비아 호의 중량 101,010 kg 의 약 38% 에 이른다.
[[파일:STS-107-Debris KSC Hangar.jpg|right|thumb|180px200px|[[2003년]] [[3월 27일]], [[케네디 우주센터]]의 격납고 안에 모인 컬럼비아의 파편들]]
사고 며칠 후, 컬럼비아의 소니 사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우주비행사들이 공중 분해 직전에 선내에서 촬영했다고 추정되는 녹화 테이프가 발견되었다. 또, [[2008년]]에는 데이터 복구 회사가 회수된 하드 디스크 내의 실험 데이터를 복구하는 것에 성공, 선내에서 기록되었던 무중력 상태에 있어서의 제논의 점성에 관한 연구논문이 출판된다.
 
줄 78 ⟶ 79:
 
== 사고의 영향 ==
[[파일:MERA-NAVcam-Patch-01-05-04-br.jpg||right|thumb|150px200px|[[화성]] 탐사선 [[스피릿 로버]]에 실린 컬럼비아의 추모패]]
[[STS-114]]에 의한 [[우주왕복선]]의 발사 재개까지 2년 반이 가깝게 걸려, 이후의 미션에서는 랑데부 피치 매뉴버(RPM)와 센서 부착 검사용 연장 붐에 의한 궤도상에서의 타일 손상 검사를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