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공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1번째 줄:
충숙왕 사망 후에는 영안궁(永安宮)에서 지냈다. [[1339년]](충혜왕 복위 원년) [[고려 충혜왕|충혜왕]]은 그녀를 위해 [[음력 5월]]과 [[음력 7월]]에 각각 영안궁에서 잔치를 베풀었다<ref>戊寅 王宴慶華公主于永安宮. 《고려사》권36〈세가〉권36</ref><ref>甲子 王宴慶華公主于永安宮. 《고려사》권36〈세가〉권36</ref>. 이러한 왕의 잔치에 대해 그녀도 [[음력 8월]]에 답례를 베풀었는데, 이 날 충혜왕은 연회가 파한 후에도 술에 취한 척 하고 나가지 않고 있다가 경화공주를 강간하였다<ref>甲午 慶華公主邀王宴, 及酒罷, 王佯醉不出, 暮入公主臥內, 蒸焉. 《고려사》권36〈세가〉권36</ref>. 당시 충혜왕은 경화공주가 저항을 하자 [[송명리]](宋明理) 등을 시켜 공주를 붙잡고 움직이지 못하게 하였다. 또 충혜왕은 경화공주 외에도 부왕 충숙왕의 제4비인 [[수비 권씨]](壽妃 權氏), 외숙 [[홍융]](洪戎)의 처 황씨(黃氏) 등을 강간하는 등 그 패륜이 이루 말을 할 수 없을 정도였다<ref>[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c007&gunchaId=av026&muncheId=&finId=023&NodeId=&setid=2676244&Pos=4&TotalCount=6&searchUrl=ok 《동사강목》제13하 1339년]</ref>.
 
이 일이 있은 다음날 경화공주는 이 일을 치욕스럽게 느끼고 원나라로 돌아가기 위해 말을 사들이려 했으나, 충혜왕이 [[이엄 (고려의 문신)|이엄]](李儼)과 [[윤계종]](尹繼宗, [[희비 윤씨]]의 아버지) 등에게 명하여 마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여 원나라로 돌아가지 못했다. 그러자 경화공주는 심왕파이던 [[조적 (고려)|조적]](曺頔)에게 자신이 강간당한 일을 고자질하였고, 충혜왕을 몰아낼 절호의 기회로 생각한 조적이 경화공주 편에 서서 군사를 모으는 바람에 연경궁(연경궁의 충혜왕)과 영안궁(일파와 영안궁의 경화공주) 일파 사이에서 전투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적은 이때 충혜왕에게 살해되었다<ref>[http://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2096806&dencrt=j7IliFccu%252BtwzDRZhz5sUZnlFVtz40UoYptS6NXQbHc%253D&query=%EA%B2%BD%ED%99%94%EA%B3%B5%EC%A3%BC 네이버 책 - 《신돈과 그의 시대》, 김창현]</ref>. 얼마 후 이 일을 알게 된 원나라가 사신 두린(頭麟) 등을 고려에 파견하여 경화공주에게 황제가 하사한 술을 올리고 충혜왕의 옥새를 빼앗아 공주에게 넘겼으며<ref>{{뉴스 인용
| 제목 = 아들에게 겁탈당한 몽골 출신 고려왕비는?
| url =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070629000280&ctg1=01&ctg2=&subctg1=01&subctg2=&cid=0101050100000&dataid=200706291411001312
88번째 줄:
 
== 가족 관계 ==
 
* 남편 : [[고려 충숙왕|충숙왕]] (忠肅王, [[1294년]] ~ [[1339년]], 재위 : [[1313년]] ~ [[1330년]]. [[1332년]] ~ [[1339년]]) - [[고려]]의 제27대 [[왕]]
 
== 외부 연결 ==
 
* [http://db.history.go.kr/KOREA/ 국사편찬위원회 고려사 홈페이지]
 
== 출처 및 주석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