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9번째 줄:
이복 형인 [[조선 광해군|광해군]](光海君) 즉위 후에는 [[사옹원]](司饔院)과 [[종부시]](宗簿寺)의 [[도제조]](都提調)를 맡았다<ref name="guk"></ref>. 그러나 [[1612년]](광해군 4년) 길에서 조정의 대간을 보고도 아무런 예의를 갖추지 않은 채 말에서 내리지 않고 그냥 지나갔다가 탄핵을 받았으나 광해군의 비호 아래 별 일 없이 지나가기도 하였다<ref>《조선왕조실록》광해 59권, 4년(1612 임자 / 명 만력(萬曆) 40년) 11월 1일(신묘) 4번째기사</ref>. 한편 [[1615년]](광해군 7년) [[음력 8월 2일|음력 윤8월 2일]]에는 역모에 몰렸다가 광해군의 비호로 겨우 살아남기도 하였다<ref>《조선왕조실록》광해 94권, 7년(1615 을묘 / 명 만력(萬曆) 43년) 윤8월 2일(병오) 17번째기사</ref>.
 
인성군은 [[조선 선조|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와 그 아들 [[영창대군]](永昌大君)의 폐위 및 사사에도 적극 참여하여참여하면서, 두 사람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였다. [[1613년]](광해군 5년)에는 먼저 영창대군의 사사를 적극적으로 간하면서<ref>《조선왕조실록》광해 68권, 5년(1613 계축 / 명 만력(萬曆) 41년) 7월 25일(신사) 1번째기사</ref>, 영창대군의 죄를 논하는 데에 참석하지 않은 종친들을 파직시킬 것을 간하였다<ref>《조선왕조실록》광해 69권, 5년(1613 계축 / 명 만력(萬曆) 41년) 8월 6일(신묘) 1번째기사</ref>. 또 [[1617년]](광해군 9년)부터는 종실들을 이끌고 인목왕후의 폐출을 앞장서서 간하기 시작하였다<ref>《조선왕조실록》광해 121권, 9년(1617 정사 / 명 만력(萬曆) 45년) 11월 25일(병술) 10번째기사</ref><ref>《조선왕조실록》광해 123권, 10년(1618 무오 / 명 만력(萬曆) 46년) 1월 5일(을축) 1번째기사</ref>.
 
==== 인조 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