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위칠십오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이러한 입장에서 [[설일체유부]]는 [[일체법]]을 [[색법]](色法) 11가지, [[심법]](心法) 1가지, [[심소법]](心所法) 46가지,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무위법]](無爲法) [[3무위|3가지]]의 '''5위 75법'''으로 분류하였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8%A4%EC%9C%84%EC%B9%A0%EC%8B%AD%EC%98%A4%EB%B2%95&rowno=1 "五位七十五法(오위칠십오법)"]. 2012년 8월 29일에 확인.}} 이 분류에서 [[3무위|3가지]] [[무위법]](無爲法)을 제외한 나머지 4위(位), 즉 색법(色法){{.cw}}심법(心法){{.cw}}심소법(心所法){{.cw}}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의 총 73가지 법은 모두 [[유위법]](有爲法)이다.<ref name="글로벌-삼세실유법체항유">[[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삼세실유법체항유|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부파불교의 사상 > 삼세실유법체항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위의 75가지 법은 모두 개별적 실체인데, 특히, 마음의 작용에 해당하는 [[심소법]](心所法) 46가지가 개별적 실체로 설정된 것은 [[인식론]]적인 면에서 [[설일체유부]]의 교학의 특징적인 사항이다. 즉,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는 마음의 작용에 해당하는 특정한 개별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예를 들어, 무탐無貪 또는 탐貪)이 다른 여러 필요한 조건이 갖추어진 상황에서 마음에 해당하는 [[심법]](心法: 1가지)과 화합할 때, 비로소 현실속의 특정한 마음 작용(예를 들어, 현실속의 구체적인 무탐無貪 또는 탐貪)이 현실 세계에서 성립된다고 본다.
 
[[깨달음]] 또는 [[열반]]의 성취라는 종교적인 면에서 보면, [[설일체유부]]는 [[무위법]] 3가지 중에 [[택멸]](擇滅)이라는 실체를 설정하고 있다.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열반]]은 "모든 [[유루법]](有漏法: 유위법有爲法이 아님)"에 대해 (수행을 통해) [[택멸]](擇滅)이라는 실체가 성취되어 "모든 [[유루법]]"의 속박력으로부터 벗어날 때 비로소 성취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 8 / 1397]}} 이런 의미에서 [[택멸]](擇滅)은 사실상 [[열반]]과 동의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