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5번째 줄:
}}
 
== 이공2공 ==
 
[[대승불교]]의 교의에서 공은 크게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2공'''(二空: 두 가지 공)으로 나뉜다.<ref name="운허-二空(이공)">{{서적 인용|저자=운허 |출판사=동국역경원 |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B4%EA%B3%B5&rowno=2 |장=二空(이공) |꺾쇠표=예|제목=불교 사전|확인일자=2011년 4월 3일}}</ref><ref name="성유식론-이공">{{서적 인용|저자=호법(護法) 등|편집자=현장(玄奘) 한역, 김묘주 번역|장고리=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List=897 |장=성유식론(成唯識論)|제목=대정신수대장경 |꺾쇠표=예|기타=제1권,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출판사=동국역경원 |쪽=2|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인용문=
번역자 김묘주 주석: 두 가지 공[二空]은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이다. 아공(我空)은 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하며, 유정의 심신(心身)에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인격적 실체[我]가 존재하지 않는 이치, 또는 그것을 깨쳐서 아집(我執)이 소멸된 경지를 말한다. 법공(法空)은 법무아(法無我)라고도 하며, 외계 사물은 자기의 마음을 떠나서 독립적으로 실재하지 않는 이치, 또는 그것을 깨쳐서 법집(法執)이 소멸된 경지를 말한다.}}</ref> 2공(二空)을 '''아법2공'''(我法二空)이라고도 하며,{{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103&DTITLE=%A4G%B5L%A7%DA 二無我]". 2012년 10월 17일에 확인}} 아공(我空)은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데 이 때문에 '''인법2공'''(人法二空)이라고도 한다. 이공(二空)의 교의는 초기 [[대승불교]]의 근본적인 교의 또는 사상이 되었다.
 
=== 이치로서의 이공2공 ===
 
;아공(我空):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데,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아집'''(我執)에 대해,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다고 보는 견해 혹은 이치<ref name="성유식론-이공"/>, 또는 이러한 [[깨우침]]을 증득한 상태 또는 경지<ref name="성유식론-이공"/>이다. 아집(我執)은 '''번뇌장'''(煩惱障)이라고도 하는데, 번뇌장은 중생의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여 [[열반]](또는 [[해탈]])을 가로막아 중생으로 하여금 [[윤회]]하게 하는 장애라는 의미이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제1권-조론의이유"/><ref name="운허-煩惱障(번뇌장)">{{서적 인용|저자=운허|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88%EB%87%8C%EC%9E%A5&rowno=1 |장=煩惱障(번뇌장)|제목=앞의 책|확인일자=2011년 4월 3일}}</ref>
70번째 줄:
2공(二空)의 교의 또는 사상은 후대에 아공(我空){{.cw}}법공(法空){{.cw}}구공(俱空)의 [[3공]](三空)의 교의 또는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 경지로서의 이공2공 ===
[[불교]]에서, 수행에 의해 [[깨달음]]을 성취해 간다는 입장에서는 2공(二空)은 실제로 증득될 수 있고 또한 증득되어야 하는 특정한 경지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