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고'''(三苦)는 [[고고]](苦苦){{.cw}}[[괴고]](壞苦){{.cw}}[[행고]](行苦)의 3가지 [[고통 (불교)|고통]]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080&DTITLE=%A4T%ADW 三苦]".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sfn|서정형|2006|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90525&categoryId=3100 도품행(道品行)의 근거]".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quote=<br>"본각의 이치는 도품[三十七道品] 등을 닦아 이루는 법을 갖추고 있으니, 마치 금을 주조하여 형상을 빚는 것과 같으므로 여여한 이(理)는 모든 법을 갖추었다고 하였다. 이미 여여한 이에 머물러 모든 공덕을 갖추어 일체의 염오를 떠났으므로 세 가지 고통의 바다를 건널 수 있는 것이다. 세 가지 고통이란 고고(苦苦), 괴고(壞苦), 행고(行苦)를 말한다. 고고는 자기의 마음에 거슬리는 경계[苦受]에 의해 심신이 괴로움을 받는 것을 말하고, 괴고는 마음에 맞는 경계[樂受]를 만날 때는 즐거우나 사라질 때 받게 되는 괴로움을 가리키며, 행고는 고락이 아닌 무기(無記)의 경계[捨受]가 인연에 의해 생멸하고 변괴하는 것을 보며 느끼는 괴로움을 말한다."}}
 
[[3고]]는 불교의 주요 교의인 [[고제]](苦諦){{.cw}}[[집제]](集諦){{.cw}}[[멸제]](滅諦){{.cw}}[[도제]](道諦)의 [[4성제]](四聖諦) 중 첫 번째의 [[고제]](苦諦)와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며, 또한 [[색온]](色蘊){{.cw}}[[수온]](受蘊){{.cw}}[[상온]](想蘊){{.cw}}[[행온]](行蘊){{.cw}}[[식온]](識蘊)의 [[5온]](五蘊) 가운데 [[수온]](受蘊), 그리고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수 (마음작용)|수]](受)의 [[마음작용]] 관련된 불교 교의 또는 사상이다.
 
[[3고]] 중 [[행고]](行苦)는 불교의 수행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멸하고 천류하고 변괴하는 [[유위법]]을 [[유위법]]으로 바르게 느끼는 것, 즉 [[행고]](行苦)를 느끼는 [[수 (마음작용)|수]](受)의 [[마음작용]]을 개발하는 것을 '''수염'''(修厭), 즉 '염(厭, {{llang|sa|[[:en:nirvid|<span style="color: black">nirvid</span>]]}})을 닦는 것' 또는 '싫어하는 마음을 닦는 것'이라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8282&DTITLE=%B9%BD 厭]".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세친]]의 《[[구사론]]》에 따르면, [[윤회]]의 근본원인은 [[무명 (불교)|무명]](無明)이지만, [[무명]]을 일으켜 생사를 [[윤회]]하게 하는 실제적인 가장 큰 원인은 전도(顚倒)된 [[수 (마음작용)|수]](受)와 [[상 (마음작용)|상]](想)의 [[마음작용]], 즉 [[수취온]](受取蘊)과 [[상취온]](想取蘊)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05b08 T29n1558_p0005b08 - T29n1558_p0005b17]. 윤회의 가장 큰 원인|quote=<br>"何緣世尊說餘心所總置行蘊。別分受想為二蘊耶。頌曰。<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