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학적 점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 점군 표기법 ==
흔히 쓰이는 점군의 표기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쇤플리스 표기법'''({{lang|en|Schoenflies notation}})이고, 다른 하나는 '''헤르만-모갱 표기법'''({{lang|en|Hermann–Mauguin notation}})이다. 이 밖에도 '''콕세터 표기법'''({{lang|en|Coxeter notation}})이나 '''[[오비폴드]] 표기법'''({{lang|en|orbifold notation}}) 등이 있다.
 
=== 쇤플리스 표기법 ===
'''쇤플리스 표기법'''({{lang|en|Schoenflies notation}})은 독일의 아르투어 모리츠 쇤플리스({{lang|de|Arthur Moritz Schoenflies}})가 도입하였다.<ref>{{책 인용|
url=http://www.iucr.org/__data/assets/pdf_file/0012/750/schoenfl.pdf|이름=P. P.|성=Ewald|제목=Fifty Years of X-Ray Diffraction|쪽=351–353|연도=1962}}</ref> 보통 [[화학]]에서 쓰인다. 쇤플리스 표기법은 아래에 문자나 숫자가 기입된 하나의 문자로 표현한다.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O(Octahedron:팔면체)는 팔면체의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반사조작이 있는 경우 O<sub>h</sub>, 없는 경우 O로 표현된다.
 
* T(Tetrahedron:사면체)는 사면체의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반사조작이 있는 경우 T<sub>d</sub>, 없는 경우 T, 반전조작이 있는경우 T<sub>h</sub>로 표현된다.
 
* C<sub>n</sub>(Cyclic:순환)은 n회 회전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회전축에 수직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C<sub>nh</sub>, 회전축에 평행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C<sub>nv</sub>로 표현된다.
 
* S<sub>n</sub>(Spiegel:독일어로 거울)은 n회 회전반사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O는 [[정육면체]] 또는 [[정팔면체]]의 대칭군이다. [[반사 대칭]]을 포함할 경우에는 O<sub>h</sub>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O로 쓴다. ({{llang|de|Oktaeder}} 정팔면체)
* T는 [[정사면체]]의 대칭군이다. 모든 반사 대칭을 포함할 경우에는 T<sub>d</sub>로, 모든 반사 대칭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반전({{lang|en|inversion}}) 대칭을 포함하는 경우는 T<sub>h</sub>로, 그 어떤 반사 및 반전 대칭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T로 쓴다. ({{llang|de|Tetraeder}} 정사면체)
* C<sub>''n''</sub> (<math>n=1,2,3,4,6</math>)은 [[순환군]]이다. 첨자 <math>n</math>은 <math>2\pi/n</math> [[라디안]] 회전 변환을 포함함을 뜻한다. 여기에 회전축에 수직인 반사 대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C<sub>''n''h</sub>로, 회전축에 평행한 반사 대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C<sub>''n''v</sub>로, 어떤 반사 대칭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C<sub>''n''</sub>으로 쓴다. ({{llang|en|cyclic}} 순환군)
* S<sub>''n''</sub>(Spiegel:독일어로 거울)은 n회 회전반사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llang|de|Spiegel}} 거울)
* D<sub>n</sub>(dihedral)은 n회 회전축과 그 축에 수직한 2회 회전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거기에 더해 n회 회전축에 수직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D<sub>nh</sub>, n회 회전축에 평행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D<sub>nv</sub>로 표현된다.
 
줄 24 ⟶ 21:
 
=== 헤르만-모갱 표기법 ===
'''헤르만-모갱 표기법'''({{lang|en|Hermann–Mauguin notation}})은 [[공간군]]의 표기법이지만, 점군의 표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헤르만-모갱 표기법은 독일의 카를 헤르만({{lang|de|Carl H. Hermann}})과 프랑스의 샤를빅토르 모갱({{lang|fr|Charles-Victor Mauguin}})이 도입하였다. 헤르만-모갱 표기법은 보통 [[결정학]]에서 쓰인다.

이 표기법에 따른 각 점군의 표현은 각각
*1, <u style="text-decoration:overline">1</u>
*2, m, <sup>2</sup>&frasl;<sub>m</sub>
줄 41 ⟶ 40:
! [[점군]] / 결정족
! 쇤플리스
! 헤르만-모긴모갱
! 오비폴드
! orbifold
! 유형
|-----
줄 244 ⟶ 243:
| centrosymmetric
|}
 
== 참고 문헌 ==
{{주석}}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