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rlIw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lad:Tao Te King
잔글 r2.7.3) (Robot: Modifying sl:Tao Te Čing to sl:Daodedžing; 예쁘게 바꿈
18번째 줄:
도덕경을 상하로 나눈 것은 전한 말기의 유향이었다. 현존하는 완결된 도덕경 주석서로서 가장 오랜 것으로 '하상공'(혹은 '하상장인')이 지은 [[하상공장구]]가 있다. 후한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하상공장구는 당나라 시기까지 가장 유행한 판본으로 양생론적 성향이 강해 초기에는 도교도들에 의해 많이 읽혔으나 이후 당나라 시대까지 가장 많이 읽히는 판본이 되었다. <ref>이석명 역, ''노자 도덕경 하상공장구''(2005). 소명출판. ISBN 89-5626-180-6</ref>
 
왕필은 18세이던 243년에 [[노자왕필주|노자도덕경주]]를 완성하고 이것이 이후 위나라의 재상 [[하안]]에 의해 점차 알려지게 되었다. 당나라때까지만 해도 하상공장구에 비해 덜 읽혔으나 송나라때 이후 유학자들에 의해 주요한 판본으로 자리잡았으며 이 지위는 명청대에 더욱 확고해져서 백서본 출토 이전까지 무려 천년 이상 동서양 도덕경 이해의 근간이 되었다.<ref>임채우 역, ''왕필의 노자''(1998). 예문서원. </ref> 그러나 그 탁월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도덕경을 유가적으로 해석한 부분이 많아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백서본과 왕필본의 차이는 아래와 같다.
# 백서본은 장절구분이 거의 없이 이어 적혀있었으나 왕필본에서는 장절구분이 잘 되어있다. <ref>도덕경 체계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당 현종대인 742년이다. </ref>
# 백서본은 덕경이 도경보다 앞에 있으나 왕필본은 도경이 덕경보다 앞에 있다.
31번째 줄:
* [[이이]] : 《[[순언]](醇言)》 <ref>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i=286898 민족문화대백과의 '순언']</ref>
** 김학목 역. ''율곡 이이의 노자''(2001), 예문서원. ISBN 89-7646-131-2
** 조기영 역. ''순언''(2009), 지만지. ISBN 9788964064917978-89-6406-491-7
* [[박세당]] : 노자주해 <ref>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86811&v=43 민족문화대백과의 '노자주해']</ref>
** 김학목 역. ''박세당의 노자''(1999), 예문서원. ISBN 89-7646-085-5
59번째 줄:
{{토막글|도교}}
{{제자백가 둘러보기}}
 
 
[[분류:도경]]
줄 110 ⟶ 109:
[[sc:Tao Te Ching]]
[[simple:Tao Te Ching]]
[[sl:Tao Te ČingDaodedžing]]
[[sv:Daodejing]]
[[tl:Tao Te 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