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유두종 바이러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kpk0909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Lkpk0909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직경이 52~55nm인 DNA 바이러스이다. HPV는 피부의 케라틴 세포나 점막을 통하여 감염된다. 지금까지 100여개 이상의 HPV가 발견되었다. 알려진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중 대부분은 사람들에게 어떠한 징후를 나타내지 않지만, 일부의 HPV의 경우, 사람에게 유두종(papilloma)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소수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의 경우, [[자궁경부암]], 고환암과 같은 암을 발생시킨다.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6(HPV 16)과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18(HPV 18)의 경우 전 세계 자궁경부암 환자의 70%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br />
 
[[파일:EM of pap virus, 2C basal tissue grafted to mouse.jpg|섬네일|왼쪽가운데|유두종 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파일:Papilloma Virus (HPV) EM.jpg|섬네일|가운데|유두종 바이러스의 투사전지현미경사진]]
 
[[파일:Papilloma 2009 G1.jpg|섬네일|오른쪽가운데|유두종]]
 
<br />
 
<big><big><big>HPV의 구조</big></big></big>
 
<br />
 
HPV의 [[DNA]]는 8000개의 염기쌍을 포함하고 있고 지질막이 아니라 오량체의 캡시드 단백질에 둘러싸여 존재한다. 캡시드 단백질은 2개의 구조 단백질인 L1과 L2로 이루어 졌고 이 단백질은 바이러스 복제 사이클의 후기에서 발현된다. 모든 HPV의 [[게놈]]에서는 8개의 ORF가 존재하고 각 ORF는 3가지의 기능적 부위로 구분된다. 바이러스의 복제에 필요한 유전자인 E1-E7 , 비리온(virion)을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을 발현하는 유전자 L1-L2, 마지막으로 바이러스의 복제와 전사를 조절하는 LCR로 구성된다.
 
[[파일:Bovine Papillomavirus Capsid.png|섬네일|왼쪽가운데|소의 유두종바이러스의 구조]]
 
[[파일:HPV-16 genome organization.png|섬네일|오른쪽가운데|인간유두종 바이러스 16(HPV 16)의 게놈구조]]
 
<br />
 
<big><big><big>HPV DNA의 일부 유전자의 역할</big></big></big>
줄 40 ⟶ 44:
 
E7 : RB(retinoblastoma)와 상호작용하여 RB를 분해한다. 이를 통하여 RB에 의해 저해되고 있던 전사촉진 인자인 E2F를 방출시킨다. 게다가, 세포주기 S기에 작용하는 사이클린 E(cycilin E)와 사이클린 A(cycilin A)를 활성화시켜 숙주세포의 세포주기를 활성화시킨다.
<br />
 
이 두 유전자의 활성을 통하여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가 감염되었을 때, [[자궁경부암]]으로 야기될 수 있다. 하지만 HPV에서 그 이외의 E1, E2, E4같은 유전자들은 암을 발생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br />
 
L1 : 자기들 스스로 조립되어 오량체의 캡소머를 형성한다. 이 캡소머들은 인접한 L1 분자들과의 이황화결합을 통하여 캡시드를 형성하여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DNA를 패키지한다.
줄 49 ⟶ 55:
L1과 L2는 in vitro에서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만들기 위한 백신으로 사용된다.
 
<br />
 
<big><big><big>감염과정</big></big></big>
<br />
 
L1과 세포막에 존재하는 당(sugar)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가 세포막에 결합한다. 이후 세포막의 알파6-베타4 인테그린(α6-β4 integrin)같은 수용체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엔도좀(endosome)의 형태로 세포 내부에 도입된다. 캡시드 단백질인 L2는 엔도좀의 형태로 들어오는 것을 방해하여 바이러스 게놈이 L2를 따라 숙주세포의 핵으로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