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irius2375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때에 따라서는 글자뿐 아니라 음이 비슷한 글자를 모두 피하기도 했다. 이 관습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하여 [[한국]], [[일본]] 등 주변의 한자문화권에 전파되었고 오랫동안 행해졌다. '''휘'''(諱)는 원래 군주의 이름을 일컫는 말이다.
 
이런 관습이 생겨난 것은 사람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이 예에 어긋난다고 여겼던 한자문화권의 인식 때문으로, [[자 (이름)|자]]나 [[호 (이름)|호]]와 같이 별명을 붙여 부르던 풍습('''실명경피속''')이나 부모나 조상의 이름을 언급할 때 “홍길동”이라 하지 않고 “홍 길자 동자”라고 조심하여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출처|역설적이게도 이런 풍습은 기독교가 한국에 전래되던 초기에 “세례명”을 자나 호처럼 여겨 [[기독교]]의 전래를 돕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게다가 일부 낱말도 쓰지 않는 예가 있고, 이름에 군주를 모욕하는 뜻을 넣지 않았는데, 이러한 경우도 피휘로 보기도 한다.
 
== 종류 ==
* '''국휘'''(國諱)는 군주의 이름을 피하는 것이다. 보통 황제는 7대 위, 왕은 5대 위의 지배자까지 그 이름을 피했다.
* '''가휘'''(家諱)는 집안 조상의 이름을 피한다피하는 것이다.
* '''성인휘'''(聖人諱)는 성인의 이름을 피한다피하는 것을 뜻한다.
* '''원휘'''(怨諱)는 원수지간인 사람의 이름을 피한다피하는것을 뜻한다. 대표적으로[[삼국시대]] 삼국지의[[촉]]의 장수 [[오의]]가 자신의정사 적인[[삼국지]]에는 [[사마의]]의 이름을 피휘해서 오일로 개명했다기록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나라 사이의 외교 문서나 집안 사이의 서신 등에서는 서로 피휘를 지켜 주었고, 군주의 이름에 쉬운 글자가 들어 있으면 나라 전체에 불편이 생기고 외교상의 문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군주와 그 일족의 이름은 잘 쓰지 않는 글자로글자를 지었으며택했으며 주로 한 글자로 이름을 지었다.
 
또한 피휘를 할 때
 
# 글자의 전체를 피하거나,피한다.(예: 한나라 경제의 이름이 유계(劉啓)였기 때문에 계칩(啓蟄)을 경칩(驚蟄)으로 바꾸었다.)
# 글자의 일부도 피한다. (예: 진시황의 이름 정(政)자의 일부인 正을 피하려고 정월(正月)을 단월(端月)로 바꾸었다.)
# 휘의 소리를 피하거나피한다. (예: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의 성씨 이(李)와 소리가 같은 이(鯉)가 뜻하는 “잉어”를 글로 쓰지 못하게 하였다.)
# 모양이 비슷한 글자를 피하기까지피하는 경우도 한다있다.(예: 황(皇)자와 고(辜)<ref name="go">흉이나 잘못을 뜻한다.</ref>자의 모양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고(辜)를 죄(罪)로 바꾸기도 하였다.)
 
== 방법 ==
32번째 줄:
== 중국의 피휘 ==
* [[진시황]]이 황(皇)자와 고(辜)<ref name="go"/>자의 모양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고(辜)를 죄(罪)로 바꾸었다.
* 진시황의 이름 정(政)자를 피하려고피하기 위해 [[정월]](正月)을 단월(端月)이라 고쳐 불렀다.
* [[한나라]] [[전한 경제|경제]]의 이름이 유계(劉啓)였기 때문에 계(啓)자를 쓰지 않기 위해 [[이십사절기]] 가운데 [[계칩]](啓蟄)을 [[경칩]](驚蟄)으로 바꾸었다.
* 한나라 [[후한 명제|명제]]의 이름이 유장(劉莊)이었기 때문에 장(莊)을 뜻이 같은 엄(嚴)으로 고쳤다.
* [[삼국시대 (중국)|삼국시대]] [[위 (삼국)|위나라]]에서는의 마지막 [[황제]]는 원래 이름이 [[조환|조황(曹璜)]]에서이었으나 조환(曹奐)으로 바뀌었다개명했다. ‘황’(璜)이라는 글자가 많은 사람들이 쓰는 글자라, 어쩔 수 없이 황제가사용하는 변경한글자였기 것이다때문이다.
* [[당나라]] [[당 고조|고조]]의 부친이부친의 이름은 [[이병]](李昞)이었다. 그 이름을 피하려고피하기 위해 [[육십간지]]에서 병(丙)을 모두 경(京)으로 바꿔야 했다.
* 당나라 [[당 태종|태종]] 이세민(李世民)은, 자신의 성씨성씨인 이(李)와 소리가 같은 이(鯉)가, 뜻하는 “잉어”를잉어)를 먹지 못하게 되었고,못하며 글로 쓰지쓰지도 못하게못하도록 되었다하였다. 그러자이에, 잉어를 이(鯉) 대신에 적선공(赤鮮公 : 붉은 물고기님)이라고 고쳐 썼다쓰게 되었다.
*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의 이름자 세(世)를 피하려고피하기 위해 世 자를 대(代)자로 바꿔 썼다. 예를 들면 (절세가인([絶世佳人)]을 절대가인([絶代佳人]으로)으로 바꾸었다.
*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의 이름자 세(世)를 피하려다 보니, 역사서 수서(隋書)를 편찬할 때 [[왕세충]](王世充)을 왕 충(王 充)이라고 세(世)자를 공백으로 남겨 놓았고, 이 탓에 [[전한]]의 [[왕충 (전한)|왕충]](王充)과 혼동하는 사람이 많았다. 또한 [[이세적]](李世勣)도 자를 뺀 이적(李 勣)이라고으로 바꾸어 기록했다개명했다.
* [[송나라]] [[휘종]]은 용(龍), 천(天), 군(君), 옥(玉), 제(帝), 상(上), 성(聖), 황(皇)의 여덟 자로 이름이나 자호를 짓지 못하게 하고, 이미 지은 이름과 자호도 고치게 ([[개명]]) 하였다.
* [[금나라]] 때에는 [[주공]]과 [[공자]]의 이름을 피하도록 하는 규정을 만들었다.
* [[청나라]] 때에는 [[강희제]]의 이름인 현엽(玄燁)을 피해 [[북경]] [[자금성]]의 북문인 [[현무문]](玄武門)을 [[신무문]](神武門)으로 바꾸었다.
* [[1777년]] [[청나라]]에서 [[왕석후]](王錫侯)라는 학자가 [[건륭제]]의 이름을 책에 써서쓴 죄로 본인을 포함해포함하여 수십관련된 명의 관련된수십 사람이명이 처형당한처형된 경우가사건이 있다있었다.
 
== 한국의 피휘 ==
* [[신라]] 시대 [[문무왕릉비]](文武王陵碑)와 숭복사비문(崇福寺碑文)에서 [[육십갑자]]의 [[병진]](丙辰)과 [[병오]](丙午)를 각각 경진(景辰)과 경오(景午)라고 썼다. 이것은 [[당나라]] 고조(高祖)의 아버지 휘 ‘병(昞)’의 음을 피하기 위해 ‘경(景)’을 썼기 때문이다.
* [[고려]] 시대의 역사서인 《[[삼국사기]]》에서 [[김부식]]은 《[[구당서]]》, 《[[신당서]]》 등의 중국 문헌에서 [[당 고조]] 이연(李淵)의 휘를 피하여,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성을 천(泉)으로 고쳐 쓴 것을 알지 못하고, ‘천개소문’이라 표기하였다.
* [[고려]] 시대 봉암사(鳳巖寺) 정진대사탑비문(靜眞大師塔碑文)에서 '문무양반(文武兩班)'을 '문호양반(文虎兩班)'이라고 썼다. 이것은 [[고려 혜종]]의 휘 "무"(武)를 피하기 위해 "호"(虎)를 썼기 때문이다. 중국 [[황제]]가 아닌 한국 [[왕]]의 [[휘]]를 피한 기록은 이것이 처음이다.
* [[고려]] 시대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고려 정종 (3대)|고려 정종]]의 휘 요(堯)를 피하기 위해 고(高)라고 표기하였으며, 고려 혜종의 휘 무(武)를 호(虎)로 바꿔 기록하였다.
57번째 줄:
 
== 특수한 경우 ==
* 중국인은 이름에 회(繪)자를 쓰지 않는데, 오늘날 중국의 대표적인 매국노 가운데 하나로 지탄받는 남송의 [[진회 (남송)|진회]](秦檜) 의 이름을 피하기 위함이다.
* 남송의 [[진회 (남송)|진회]] 때문에 중국 사람은 이름에 회(繪)자를 쓰지 않는다.
* 원래(原來)라는 말은 원래(元來)였으나, ‘원([[원나라]])이 온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한자 문화권]]에서는 원나라가 물러난 뒤에 원래(原來)로 바꾸었다. 오늘날에는 둘 다 쓰인다.
* 정사 삼국지의 저자 진수[[진수 (서진)|진수]](陳壽)는 촉의 장수 [[오의]](吳懿) 적국인이름을, 위나라의 장수 [[사마의]](司馬懿)의 이름을 피하기 위해 오일(吳壹)로 이름을 바꾸었다.
* 원나라를 이은 [[명나라]] 초기에 많은 관리가 원년(元年) 대신元자를 원년(原)으로 자로 고쳐썼다.
* 로마 시대엔 [[로마 숫자]] 4를 IV 대신 IIII로 썼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IV가 로마의 주신인 [[유피테르]](IVPPITER)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서양]]에서 유명한대표적인 피휘 중 하나이다.
 
== 바깥 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