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불교}}
 
'''득'''(得, {{llang|sa|[[:en:prāpti|<span style="color: black">prāpti</span>]]}}, [[:en:prāpta|<span style="color: black">prāpta</span>]])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BE%97&rowno=16 得(득)]". 2013년 1월 8일에 확인|quote=<br>"得(득): 【범】 prāpta 불상응법(不相應法)의 하나. 발라발다(鉢羅鉢多)라 음역. 사람들에게 유형ㆍ무형의 것을 매달리게 하는 작용. 이를테면, 악한 사람이 선인이 될 때에 내 몸에 악인의 자격을 떼어 버리고, 그 대신 선인의 자격을 갖추게 하는 것. 이러한 작용을 득(得)이라 한다."}}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4번째 위(位: 그룹)인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가운데 하나이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2c05 T26n1542_p0692c05 - T26n1542_p0692c0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quote=<br>"心不相應行云何。謂若法心不相應。此復云何。謂得無想定滅定。無想事命根眾同分。依得事得處得生老住無常性。名身句身文身。復有所餘如是類法。與心不相應。總名心不相應行。"}}{{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2 2 / 448].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quote=<br>"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이란 무엇인가? 어떤 법이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49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174)</sup> 행(行, saṃskāra)은 조작(造作){{.cw}}천류(遷流)라는 뜻이며 유위법(有爲法), 변화하는 현상제법(現象諸法)을 가리킨다. 유위법은 연(緣)을 따라 모여 일어나고 만들어지며, 또한 항상 변화하여 생멸하기 때문이다.
<br><sup style="color: blue">175)</sup> 불상응행법이 실유(實有)가 아님을 나타낸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c10 T31n1614_p0855c10 - T31n1614_p0855c1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quote=<br>"第四心不相應行法。略有二十四種。一得二命根。三眾同分。四異生性。五無想定。六滅盡定。七無想報。八名身九句身十文身。十一生十二老。十三住十四無常。十五流轉。十六定異。十七相應。十八勢速。十九次第。二十方。二十一時。二十二數。二十三和合性。二十四不和合性。"}}{{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644, T.1614|loc=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3&startNum=2 2-3 / 3].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quote=<br>"넷째의 마음과 상응하지 않는 법이 대략 스물네 가지가 있다. 얻음이 그 하나이고, 생명의 뿌리[命根]가 그 둘이고, 중동분(衆同分)이 그 셋이고, 범부의 성품[異生性]이 그 넷이고, 생각 없는 선정[無想定]이 그 다섯이고, 아무것도 없는 선정[滅盡定]이 그 여섯이고, 생각 없는 과보[無想報]가 그 일곱이고, 명신(名身)이 그 여덟이고, 구신(句身)이 그 아홉이고, 문신(文身)이 그 열이고, 나는 것이 그 열하나이고, 늙는 것이 그 열둘이고, 머무는 것이 그 열셋이고, 무상(無常)한 것이 그 열넷이고, 유전하는 것이 그 열다섯이고, 결정코 다른 것이 그 열여섯이고, 상응하는 것이 그 열일곱이고, 형세의 빠른 것이 그 열여덟이고, 차례가 그 열아홉이고, 방위가 그 스물이고, 때[時]가 그 스물 하나이고, 수(數)가 그 스물 둘이고, 화합하는 성품이 그 스물 셋이고, 화합하지 않는 성품이 그 스물 넷이다."}}
 
'''득'''(得)은 음역하여 '''발라발다'''(鉢羅鉢多)라고도 한다.
 
'''득'''(得)은 온갖 [[법 (불교)|법]]을 [[유정 (불교)|유정]]의 [[상속상]](相續相)에 [[획득]]하게 하고 [[획득]]한 것을 상실하지 않게 하는 원리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2a09 T29n1558_p0022a09 - T29n1558_p0022a26]. 득(得)과 비득(非得)|quote=<br>"於中且辯得非得相。頌曰。<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