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도리사 극락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각주 수정
메이 (토론 | 기여)
각주 고침. 2016-10-21, 특수:차이/17441343 참조. {{각주}} 틀로 바꿈. {{Notelist-ua}} 틀을 추가.
37번째 줄:
}}
 
'''구미 도리사 극락전'''(龜尾 桃李寺 極樂殿)은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1996년 11월 20일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31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66호로 재지정지정되었다.<ref name="경상북도 고시 제2013경상북도도보제5722호-경상북도고시제2013-141호" />경상북도 고시 제2013{{efn-141호, 《경상북도 지정문화재 ua|name=등급조정 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 도보 제5722호, 13면, 2013-04-08</ref>되었다.}}
 
== 개요 ==
극락전은 도리사의도리사{{efn-ua|name=도리사}}의 부속 암자인 금당암의 법당으로 19세기 초에 세운 것으로 추정한다.<ref name="문화재청" />
도리사를 세운 시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신라 최초의 절로 알려져 있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내부에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시고 있으며, 벽면에는 벽화를 그려 놓았다.<ref name="문화재청" />
극락전은 도리사의 부속 암자인 금당암의 법당으로 19세기 초에 세운 것으로 추정한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내부에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시고 있으며, 벽면에는 벽화를 그려 놓았다.
 
== 같이 보기 ==
* [[도리사]]
 
== 각주 ==
; 내용
<references/>
{{Notelist-ua|refs=
{{efn-ua|name=등급조정 | 경상북도의 문화재자료 제318호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66호<ref name="경상북도도보제5722호-경상북도고시제2013-141호" /> }}
{{efn-ua|name=도리사 | 도리사를 세운 시기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신라 최초의 절로 알려져 있다.<ref name="문화재청" />}}
}}
 
; 출처
{{각주|refs=
<ref name="경상북도도보제5722호-경상북도고시제2013-141호">{{웹 인용 | url=http://www.gb.go.kr/Common/board/download.jsp?B_STEP=21595855&B_ORDER=1 | 제목=경상북도 고시 제2013-141호(경상북도 지정문화재 등급조정 고시) | 저자=경상북도지사 | 쪽=13-19 (中 14) | 날짜=2013-04-08 | 기타=경상북도도보 제5722호 | 확인날짜=2016-10-21 }}</ref>
<ref name="문화재청">{{문화재청 문화재|21,04660000,37|구미 도리사 극락전}}</ref>
}}
== 참고 자료 ==
* {{문화재청 문화재|21,04660000,37|구미 도리사 극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