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7번째 줄:
 
== 약력 ==
* [[1945년]] [[충청남도|전]] 금산군) [[진산면]] 석막리 월명동에서석막리금산군동에서 출생
*[[1969년|196]] (1960년[[1969년|9]]충청남돌 화랑입)공 훈장, 인헌 훈장 등 4개 훈장 수여☃☃ [[1969년]] [[9월]] 화랑무공 훈장, 인헌 훈장 등 4개 훈장 수여<ref group="주">[[1966년]] [[8월]] [[베트남전]] 1차 참전(백마 9사단 : 현 [[대한민국 9보병사단]]), [[1967년]] [[10월]] 베트남 전쟁 2차 참전(백마 9사단)</ref>
* [[1981년]] [[3월]] MS선교회 창설(대표 취임), 애천교회 창립
* [[1983년]] [[11월]] 웨슬레 신학원 졸업, 전국 8개 도시 교회 설립
39번째 줄:
* [[2004년]] 《하늘말 내말》 2집, 3집, 4집 출간
* [[2005년]] 《구원의 말씀》 1집, 2집, 3집 출간, 《하늘말 내말》 5집, 6집 출간
* [[2008년]] [[기독교복음선교회]] 총재
* [[2011년|2009년]] 대법원 신도 성폭행 및 성추행으로 징역 10년 판결
* [[2011년]] 《한국시 대사전》에 시 10편 등재<ref group="주">[[2011년]] [[3월]]에 발간된 《한국시 대사전》 2717쪽에는 정명석 시인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대표시 '마음지세', '삶', '선악', '우리 사랑', '운명', '일편단심' 등 10편의 시가 수록돼 있다.</ref><ref>{{서적 인용|제목=한국시 대사전|날짜=2011|출판사=이제이피북|isbn=9788996612704}}</ref>
* [[2011년]] UWA퍼스국제아트페스티벌(UWA Perth International Arts Festival) 그림 《운명》 대표작 선정
* [[2012년]] 《하늘말 내말》 7집, 8집, 9집 출간
* [[2013년]] 영감의 시 3집 《시의 여인》, 영감의 시 4집 《시로 말한다》 출간<ref group="주">[[2013년]] [[7월]] 동시 발간된 《시의 여인》과 《시로 말한다》는 교보문고 시 분야 1,2위에 오르며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1996년]] 《영감의 시》 2집에 이어 17년 만에 발간된 이 시집들은 저자의 《영감의 시》 시리즈로 묶여 나온 것이다.</ref><ref name ="wave_poet">{{뉴스 인용
|제목 = 정명석 시인, ‘시의 여인’ ‘시로 말한다’ 감각적 구상 그림 돋보여
|url = http://www.newswave.kr/sub_read.html?uid=269557
|출판사 =NewsWave
|날짜 = 2013-09-30
|확인일자=2017-02-22
}}</ref>
* [[2016년]] 영감의 시 5집 《행복은 온다》 출간<ref>약력의 전반적인 사항은 기독교복음선교회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했다.</ref>
 
== 기독교복음선교회 ==
{{본문|기독교복음선교회}}
 
그가 설립한 기독교복음선교회(CGM)는 이전에 애천교회, 예수교 대한 감리회 진리측, 세계 청년대학생 MS 연맹, 국제크리스찬연합 등의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0년
 
==남은 의혹들==
=== 해외 도피 의혹 ===
[[1999년]] [[SBS]]는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정명석 총재의 성추문에 대해 보도하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얼마 후, 그가 해외선교를 떠나면서 도피 의혹이 제기되자, 언론은 관련 의혹을 기정사실화 하여 보도했지만, 그는 [[2000년]]과 [[2001년]] 귀국하여 검찰조사를 받은 후, 무혐의 종결되어 다시 해외선교를 떠났다.<ref name ="minjung">{{뉴스 인용
|제목 = JMS(기독교복음선교회) 정명석 총재는 왜? 누구를 위해서 십자가를 지는가?
|url = http://www.god21.net/Square/News/Center/View/15783?page=8
|출판사 = 민정 19호
|날짜 = 2010-02-15
}}</ref> 그러나 정 총재에 대한 성추문은 국내·외에서 지속되었고, 중국에 입국한 뒤 그의 행방이 묘연해지자 다시금 해외 도피 의혹이 제기됐다.
 
[[2006년]] [[8월]] 선교회는 한 월간지를 통해 성추문과 도피 의혹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선교회는 성추문과 관련한 소문과 사실은 전혀 다르며, 구약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요셉의 이야기가 정 총재의 현실과 닮았다고 했다.(요셉은 노예생활을 하는 동안 자기 주인에게 충성을 다했으나, 자신을 이성으로 유혹하는 주인 아내의 요구를 거부하여 성폭행의 누명을 받아 감옥에 갔다) 정 총재가 한국으로 들어와 진실을 밝히라는 목소리에 대해선, "군사로 다니는 자는 자기 생활에 얽매이는 자가 하나도 없나니..."라는 성경구절(디모데후서 2:4)을 들었다. 오히려 정당함을 밝히고 싶은 사람은 정 총재라며, 하나님의 사역자이기에 한걸음이라도 자기의 뜻대로 움직일 수 없는 분이라고 했다. 더욱이 세계 50여 개국에 복음을 전파하기에는 지금의 시간도 모자라며, 그 오해를 풀기 위해 시간을 소모하기 보다는 오해와 굴욕을 감수하더라도 더 많은 사람들을 위해 일하는 길을 택한 것이라고 밝혔다.<ref name ="weeklyfigure2">{{뉴스 인용
|제목 = 기독교복음선교회를 둘러싼 소문과 진상
|url = http://www.god21.net/Square/News/Center/View/15579?page=15
|출판사 = 주간인물 495호
|날짜 = 2006-08-26
}}</ref> 또한 [[2008년]] 이후, 정 총재는 “나는 죄를 범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래서 고소 건을 가볍게 보았다”, “늘 하나님의 뜻이 있다는 생각으로 해외선교에 애착을 보이며 집중해 왔다”, “한국에 와서 보니 심각성을 알게 되었다”는 진술을 하였다.<ref name ="minjung"/>
 
[[2007년]] [[5월 1일]] 중국공안은 그를 성폭행 혐의로 체포하여 관련 혐의를 조사한 후, [[2008년]] [[2월]] 한국으로 송환했다. 당시 대다수 언론들은 정 총재가 [[1999년]]부터 해외 도피를 지속해 오다가 중국에서 체포되어 한국으로 [[신병인도]] 됐다고 보도 했다. 그러나 정 총재는 두 차례 입국하여 검찰 조사를 받고 다시 출국한 사실이 있었고, 한국에서 제기된 고소에 대해 정 총재가 출두하지 않아 [[기소중지]]된 상태에서 또 다른 해외사건 발단으로 법무부가 [[신병인도]]를 요청해 중국이 받아들인 것이다.<ref name="minjung"/> 또한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중국 등지에서 제기된 성추문은 사실상 모두 [[해프닝]]으로 끝났으며, 대만의 경우 허위사실을 유포한 제보자가 벌금형을 받고 신문에 사과성명을 발표했다.<ref name="jungkyung2">{{뉴스 인용|url=http://www.god21.net/Square/News/Center/View/35899?page=6|제목=JMS 정명석 총재 사건 모두 무혐의 종결 - 지성이면 감천, 진실은 반드시 밝혀지는 것|날짜=2012-12|출판사=정경뉴스 153호}}</ref> [[2014년]] 이후 몇몇 언론들은 정 총재에 관하여 “외국으로 달아났다”, “밀항했다”, "성상납을 받았다"와 같은 취지의 보도가 사실과 다르고 당시 정 총재는 정상적인 해외일정을 소화했다며 오보를 바로잡았다.<ref name = "YTN">{{뉴스 인용
|url=http://ytn.co.kr/_ln/0103_201503161004314232
|제목= 정명석 총재 관련 보도에 대한 정정보도문
|출판사=연합뉴스
|날짜=2015-03-16
|확인일자=2017-02-22
}}</ref><ref name = "MBN">{{뉴스 인용
|url=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2165825
|제목= [정정보도문] 과거 종교집단 수사 저항…교주 ‘해외도피’
|출판사=MBN
|날짜=2015-01-13
|확인일자=2017-02-22
}}</ref><ref name = "sunday">{{뉴스 인용
|url=http://ilyo.co.kr/?ac=community&tac=bbs_view&cate_id=&tb=news_as&number=10
|제목= 바로잡습니다 - 1155호
|출판사=일요신문
|날짜=2014-07-07
|확인일자=2017-02-22
}}</ref>
 
=== SBS의 편파방송 ===
언론은 기독교복음선교회 교인들이 황 모양과 같이 수련원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 사건을 일명 ‘황양납치사건’으로 보도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SBS]], [[KBS]], [[MBC]]는 일제히 관련 기사를 특종으로 다뤘다. 한편 경찰저널은 경찰이 조사한 결과에 따라 납치사건이 아닌 단순 폭행사건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언론은 이 문제를 계속 확대시켜 총재가 교인들을 성추행하고 해외로 도피하여 홍콩에서도 문제를 일으킨다는 보도를 하였다. 특히 [[SBS]]의 《[[그것이 알고 싶다]]》는 교단 총재의 행각을 기정사실화 했고, 다른 매체들은 검증없이 받아쓰기 식으로 기사를 도배했지만, [[SBS]]의 방영은 명백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ref name = "daily1">{{뉴스 인용
|저자=김준호 기자
|url=http://www.news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8759
|제목= 기독교복음선교회(JMS)와 정명석 총재, 가려진 10년의 진실 <1부> S방송사 고발프로의 허위성
|출판사=뉴스데일리
|날짜=2010-02-12
|확인일자=2017-02-14
}}</ref>
 
* 첫째, 정 총재가 ‘여자하나를 전도해오라’는 설교대목이다. 당시 방송에 보도된 장면은 [[1995년]]도에 촬영된 주일예배 영상으로 ‘감사하는 생활’이라는 설교였다. 원래는 ‘생명의 십일조 열의 하나를 전도하라’는 내용이었으나, ‘열의 하나’ 부분에 의도적인 기계음을 삽입했고 자막에는 ‘여자하나’라고 표기하여 성적으로 문제가 있는 지도자라는 인식이 들 수밖게 없도록 편집했다.
* 둘째, 정 총재와 함께 있는 사람들이 모두 여성이었던 장면이다. 실제 비디오를 검토해보면 남녀가 같이 있었던 장면이었음에도 여자들만 나오는 장면만 편집하여 방영하여 여자만 상대하는 교주라는 오해를 사도록 했다.
* 셋째, 정 총재를 교주로 신봉한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선교회 회원들 간에 쓰던 애칭인 Jesus Morning Star(예수님의 새벽별)의 이니셜인 JMS를 정 총재의 영문이름 이니셜이며 선교회의 공식명칭인 듯이 방영했다. 그러나 실제 선교회는 JMS라는 명칭을 한 번도 공식적으로 사용한 적이 없었고, SBS가 취재하던 당시에도 단체명으로 '국제크리스천연합'을 사용하고 있었다.
* 넷째, 선교회의 월명동 수련원이 외부와 단절된 폐쇄적인 공간으로서 밀교의식이나 성추행 등이 일어나는 은밀한 장소인 것처럼 묘사했다. 그러나 실제 월명동 수련원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고 지역 주민들, 인접한 대둔산 등산객들, 외국인 관광객들이 자유롭게 왕래하는 곳이었다.
* 다섯째, 정 총재가 해외에서도 성추행을 일삼았다는 내용을 방송하면서 대만 검찰과의 인터뷰 내용을 조작했다. 방송에서는 인터뷰 내용을 “지금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일부 피해자의 진술을 확보한 상태입니다...”라고 번역했는데, 대만 검찰은 ‘피해자’ 라는 표현을 쓴 적이 없었다. 대만 검찰은 ‘상관인사’ 즉, 관련자라는 표현을 썼는데 방송은 한국어로 ‘피해자’라고 번역함으로써 대만에서의 성추행 의혹이 사실로 규명된 것처럼 호도했다. 그러나 대만 사건은 후에 무혐의로 밝혀졌고 대만 언론에 허위사실을 퍼뜨린 제보자는 신문에 사과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SBS]]는 반[[JMS]] 조직의 김도훈(가명), 김형수(가명)등의 제보내용에 기초하여 이같은 보도를 했다. 이에 법원은 [[화해권고결정]]을 내렸으며, 주 내용은 김도훈, 김형수의 일방적인 제보내용을 보도자료로 써서는 안 되며, 선교회에 대한 방송을 보도할 경우 48시간 전 고지할 것, 방송분의 5%를 [[반론 보도]]를 보장하라는 것이었다. 또한 이를 어길 시 건당 3,000만원을 배상하라는 결정이었다.<ref name="sbs2005">[[서울중앙지방법원]], 2005.08.02. 2004가합64765 [[손해배상]](기) 및 방송보도금지청구 </ref> 그러나 편파방송의 오류를 법적으로 인정한 사실은 시청자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이미 여론에 의해 범죄자로 낙인 찍힌 정 총재는 계속해서 언론의 도마질을 당했다. 법원의 결정 이후에도 문제의 내용은 3회 더 방영되어 [[2010년]] 9,000만원의 [[손해배상]]이 결정됐다.<ref name="sbs2010">[[서울고등법원]], 2010.05.26. [[손해배상]] </ref><ref name ="jungkyung2"/><ref name ="minjung"/>
 
=== 반JMS 관련 의혹 ===
기독교복음선교회의 대표적인 안티세력으로는 김도훈(가명)이 이끄는 반JMS(엑소더스)가 있다. 이 단체는 [[기자회견]]을 열어 언론에 정보를 제공하고 피해자들의 법적소송을 대행하는데 앞장서 왔다. 《[[그것이 알고 싶다]]》의 보도내용 상당수도 ‘반JMS’의 제보내용에 바탕하고 있다. 정명석 총재의 [[성추문]]과 관련된 법적공방에서는 반JMS가 금전적 보상을 노리고 여성들을 포섭하여 위증교사를 했을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법원은 해당 가능성을 일축, 피해를 당했다는 여성들의 진술을 증거 삼아 유죄선고를 내렸다.<ref name = "judgement2"> 서울고등법원 2009. 2. 10. 선고 2008노2199 판결 </ref> 그러나 언론은 반JMS를 이끈 김도훈의 수상한 정황을 포착하여 보도했다. 월간지 민정(구 경찰저널)에 소개된 기자의 경험담은 황양사건 당시 김 씨가 여론 선동을 시도한 정황을 제공하고 있으며, 김도훈이 정 총재에게 보낸 사과 편지와 선교회 관계자의 증언은 김 씨가 교단을 상대로 20억 상당의 합의금을 요구한 정황을 제공하고 있다.<ref name="minjung"/> [[2010년]] [[2월]] 몇몇 언론을 통해 소개된 관련 증거로는 반JMS 주동자들이 [[2005년]] [[11월 17일]]에 선교회에 20억을 달라고 요구했던 녹취록과 [[1999년]] [[11월 15일]] 작성한 반성문, [[2005년]] [[3월 17일]], [[7월 21]]일에 작성한 사과편지가 있다.<ref name="minjung"/><ref name ="jungkyung">{{뉴스 인용
|제목 = JMS 정명석 총재 사건 사회문제인가 종교전쟁인가 - 진실의 판명은 하나님의 심판에 맡기고 십자가의 길을 갈 뿐
|url = http://www.god21.net/Square/News/Center/View/14971?page=6
|출판사 = 정경뉴스 147호
|날짜 = 2012-05-31
}}</ref>
 
김 씨는 [[친고죄]]라는 점을 이용해 피해를 주장하는 여성들을 관리하며 그들로 하여금 고소하게 만들고 그 고소를 협박용으로 이용해 교단과 흥정한 후 고소인들 모르게 20억을 요구한 뒤, 합의를 끌어내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반의사불벌죄]]를 이용, 합의에 맞춰 소를 취하하려 했던 계획으로 보인다.<ref name ="minjung" /> 그러나 정 총재는 ‘절대 돈으로 하면 안 된다,’고 신신당부했으며, ‘진실은 진실로만 증명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여 김 씨는 기독교복음선교회 측으로부터 한 푼도 받지 못했다.<ref name = "daily3">{{뉴스 인용
|저자=김준호 기자
|url=http://www.news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9733
|제목= 기독교복음선교회(JMS)와 정명석 총재, 가려진 10년의 진실 <3부> 정명석 총재 알고 보니 피해자(?), K씨 20억 돈 요구
|출판사=뉴스데일리
|날짜=2010-03-31
|확인일자=2017-02-18
}}</ref> 결국 김 씨는 2006년 4월 18일, 피해를 주장하는 4명의 여성을 내세워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들은 정의의 편에서 노력한다는 김 씨의 말을 듣고자 노력했으며 김 씨는 ‘피해여성들이 심한 [[성폭행]]을 당해 걷기가 힘들 정도로 깊은 상처를 입어 하혈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사건 현장에 있던 [[CCTV]]를 살펴보면 피해자답지 않게 미소를 지었고, 걸음걸이 역시 전혀 불편해 보이지 않았다. 사건의 피해자 검사결과에서도 [[처녀막]]에 이상이 없었고, 정액검사에서도 음성이 나와 어떠한 성폭행 흔적도 찾을 수 없었다. 이같은 결과를 증명하는듯, 성폭행 피해를 입었다며 그동안 법정고소를 함께 해온 Y양이 위증을 했다고 말하며 고소를 취하했다. Y양은 어머니의 손을 붙잡고 나와 경찰과 검찰 진술을 번복하며 피해사실을 완전히 부정했지만, 김 씨는 Y양을 [[위증죄]] 혐의로 고발했다. 언론에서는 시대의 정의를 위한다는 김 씨가 기자회견에서 거짓진술을 한 것과 법정에서 양심선언한 Y양을 고발한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ref name ="minjung" /><ref name = "daily2">{{뉴스 인용
|저자=김준호 기자
|url=http://www.news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9216
|제목= 기독교복음선교회(JMS)와 정명석 총재, 가려진 10년의 진실 <2부> 성폭력 피해자라 주장하던 Y씨, 법정서 양심선언
|출판사=뉴스데일리
|날짜=2010-02-26
|확인일자=2017-02-18
}}</ref>
 
반JMS조직이 돈을 요구했다는 정황이 발견됨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 총재의 재판과 관련해 [[재심]]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 된 바 있다.<ref name="jungkyung"/><ref name = "break1">{{뉴스 인용
|저자=문일석 기자
|url=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122285&section=sc1
|제목= 월간지 記者 추적 “정명석 사건 재심필요”
|출판사=브레이크뉴스
|날짜=2010-02-15
|확인일자=2017-02-18
}}</ref> 정 총재 측이 새롭게 드러난 증거에 따라 무죄를 요구하기 위한 재심을 청구할 경우 새로운 판결이 나올 것으로 예측되나, 이미 검찰과 법원은 이미 김 모씨를 포함한 원고들의 제보 내용이 맞다고 승소 판결했기 때문에, 이 사건이 [[재심]]에서 번복될지의 여부는 미지수이다.<ref name = "break1"/>
 
=== 피대협 관련 의혹 ===
[[2011년]] [[11월]]부터 등장한 탈퇴자 조직 ‘JMS 피해보상대책협의회(피대협)’는 선교회와 정 총재를 상대로 집단피해보상을 요구했다. 피대협의 주장은 과거 반JMS의 주장과 대동소이하며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선교회 정명석 총재에게 측근들이 조직적으로 성상납을 해왔고, 현재도 성범죄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정 총재의 사주로 선교회가 조직적으로 반대자들을 테러해왔으며 정 총재가 현재도 테러를 사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피대협은 언론보도와 시위를 통해 사회문제로 여론을 조성하면서 선교회 측에 집단피해보상을 요구해왔으나 이에 선교회가 응하지 않자 다수의 [[고소]]·[[고발]] 건을 내놓았다. 그 사이 피대협의 주장을 보도한 몇몇 언론사는 [[정정 보도]] 및 [[반론 보도]]를 했다. 이 사건을 주로 보도하는 언론사는 일부 기독교 언론들이며, 메이저 언론사들은 신중하게 사건의 귀추를 주목했다. 피대협 주장을 뒷받침할 뚜렷한 증거가 없고, 몇 가지 모순점들이 눈에 띄기 때문이다.
 
김진형 씨는 과거 선교회 교인들을 상대로 사기사건을 일으켜, [[2011년]] [[12월 7일]] 법원에서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 받았다. 이 사건과는 별도로 김 씨는 선교회 교인들에게서 총 채무액 34억 원 이상, 피해자 70여 명에 달하는 사기사건에 고소 당했으나 [[2011년]] [[10월 12일]] [[채무]][[변제]]에 대한 합의를 하고 모든 고소가 취하되어 [[불기소처분]] 되었다. 그러나 김 씨는 합의로 인해 고소가 취하된 사실, 아직도 수십억 원의 [[채무]]가 존재하는 사실을 감추고, 무리하게 고소를 당했다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며 [[피해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씨는 [[2011년]] [[12월]]부터 인터넷 카페를 통해 피해사례를 접수하며 정 총재에게 “100건, 1000건도 고소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교도소에서 조사받느라 영원히 못나오게 할 수 있다.”고 공언했지만 실제로는 [[고소]]가 아니라 증거없는 [[진정]]과 [[고발]], [[여론몰이]]만을 계속했다. 오히려 김 씨가 유포한 자료들은 [[정보통신윤리강령]] 위반은 물론, 개인의 [[인권]] 및 [[초상권]]을 지속적으로 침해하고 있어 문제다.<ref name ="newsmaker">{{뉴스 인용
|제목 = 기독교복음선교회, 다시 주목받는 이유
|url = http://www.god21.net/Square/News/Center/View/18121?page=7
|출판사 = NewsMaker
|날짜 = 2012-04
}}</ref>
 
선교회 측은 자신의 잘못을 겸허히 인정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의 책임을 남탓으로 돌리려 하는 김 씨의 행동이 안타깝다고 했다. 또한 과거 엑소더스의 김도훈 씨가 20억을 요구한 정황을 언급하며, 이 또한 돈을 노린 행동이 아닌지 의심스럽고 법적으로 보면 [[업무방해]]와 [[공갈]][[협박]]이 확실하지만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기에 참고 있다고 했다.<ref name ="minjung2">{{뉴스 인용
|제목 = 예수님을 중심으로 모였습니다 - JMS는 이단도 아니고 사탄도 아닙니다
|url = http://www.god21.net/Square/News/Center/View/18119?page=8
|출판사 = 민정 22호
|날짜 = 2012-03-01
}}</ref> 김 씨가 제기한 [[고소]]·[[고발]]·[[진정]]건에 대해 [[2011년]] [[6월]]부터 진행된 10여건의 검경 수사는 이듬해 [[10월]]을 끝으로 모두 무혐의 종결되어, 정 총재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반대 조직의 주장은 힘을 잃고 내부분열로 뿔뿔이 흩어졌다.<ref name ="jungkyung2"/><ref name = "kbs">{{뉴스 인용
|저자=박원기 기자
|url=http://news.kbs.co.kr/news/view.do?ncd=2561640
|제목= 검찰, 'JMS 미성년자 성범죄 의혹' 무혐의 처분
|출판사=KBS
|날짜=2012-11-02
|확인일자=2017-02-22
}}</ref>
 
== 주해 및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