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순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개판이네
4번째 줄:
}}
'''경기 변동'''(景氣變動, Business Fluctuations) 또는 '''경기 순환'''(景氣循環, Business Cycle)이란 전체적인 [[경제 활동]] 수준이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현상이다.
 
== 경기 변동의 종류 ==
* 키친 파동 (단기 파동) : 40개월 주기, 재고투자가 원인
* 쥬글러 파동 (중기 파동) : 9 ~ 10년 주기, 설비투자가 원인
* 쿠즈네츠 파동 (장기 파동) : 20 ~ 25년 주기, 경제성장률 변화가 원인
* 콘드라티에프 파동 (장기 파동) : 40 ~ 60년 주기, 기술혁신 전쟁 등이 원인
 
== 경기 변동 이론 ==
경기변동이론은 이러한 경기변동이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으로서 주요 관심사는 보통 3가지로 요약된다.
# 경기변동을 유발하는 충격은 무엇인가?
# 충격이 발생하였을때 경기변동의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경기변동과정에서 거시경제변수들은 어떤 움직임을 보이는가?
 
=== 이론의 종류 ===
이러한 경기변동에 대한 원인과 그 결과에 대한 분석방법의 차이로 인해 여러 이론들이 존재하고 있다. 과거의 전통적인 경기변동이론은 [[사무엘슨]]의 [[동태적 경기변동이론]], [[힉스]]의 [[순환 제약이론]]등이 있으며, 최근의 이론은 [[새고전학파]]의 [[균형경기 변동이론]]과 [[새케인즈학파]]의 [[불균형 경기변동이론]]으로 나뉜다.
;균형경기 변동이론:균형 경기 변동이론은 경기변동의 사이클상에서 모든 상황이 균형상태라고 생각하며, 즉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하나의 균형에서 새로운균형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경기변동을 유발하는 충격이 무엇인가에 따라, 예상치 못한 통화량의 변화등과 같은 화폐적인 충격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화폐적 경기변동이론]]과 생산성변화 또는 노동시장 규모 변화등과 같은 실물적인 충격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실물적 경기변동이론]]이 있다.
;불균형 경기변동이론:불균형 경기 변동이론은 경기변동의 추세선이 균형상태라고 보고 경기변동은 이러한 균형상태에서 외부충격으로 인해 균형상태에서 벗어나 있으며, 다시 균형으로 돌아가는 과정으로 인해 경기변동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충격의 원인은 총수요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여 경제의 총산출량변화에 따라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 대한민국 ==
=== 경기순환주기 ===
다음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경기순환기 기준순환일(景氣循環期 基準循環日, Business Cycle Reference Date) 및 경기순환국면, 즉 '''경기순환주기'''(景氣循環週期)이다.<ref>[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54841 제9차 경기종합지수 개편 및 최근의 기준순환일 설정 결과]</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order"
|-
! rowspan="2" |
! colspan="3" | 기준순환일 || colspan="3" | 지속기간(개월)
|-
| 저점
| 정점
| 저점
| 확장기
| 수축기
| 순환기
|-
| 제1순환기
| 1972년 3월
| 1974년 2월
| 1975년 6월
| 23
| 16
| 39
|-
| 제2순환기
| 1975년 6월
| 1979년 2월
| 1980년 9월
| 44
| 19
| 63
|-
| 제3순환기
| 1980년 9월
| 1984년 2월
| 1985년 9월
| 41
| 19
| 60
|-
| 제4순환기
| 1985년 9월
| 1988년 1월
| 1989년 7월
| 28
| 18
| 46
|-
| 제5순환기
| 1989년 7월
| 1992년 1월
| 1993년 1월
| 30
| 12
| 42
|-
| 제6순환기
| 1993년 1월
| 1996년 3월
| 1998년 8월
| 38
| 29
| 67
|-
| 제7순환기
| 1998년 8월
| 2000년 8월
| 2001년 7월
| 24
| 11
| 35
|-
| 제8순환기
| 2001년 7월
| 2002년 12월
| 2005년 4월
| 17
| 28
| 45
|-
| 제9순환기
| 2005년 4월
| 2008년 1월
| 2009년 2월
| 33
| 13
| 46
|-
| 제10순환기
| 2009년 2월
| 2011년 8월
| 2013년 3월
| 30
| 19
| 49
|-
| 제11순환기
| 2013년 3월
|
|
|
|
|
|-
| 평균
| -
| -
| -
| 31
| 18
| 49
|-
|}
 
=== 경기종합지수 ===
'''경기종합지수'''(景氣綜合指數. CI, Composite Indexes of Business Indicators)와 '''경기종합지수 순환변동치'''(景氣綜合指數 循環變動値)는 [[통계청]]에서 매달 발표하는 지수이다.
 
* 경기선행종합지수(경기선행지수. 景氣先行綜合指數. Composite Leading Indicators/Index)
* 경기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 경기동행종합지수(경기동행지수. 景氣同行綜合指數. Coincident Composite Index)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
* 경기후행종합지수(경기후행지수. 景氣後行綜合指數. Lagging Composite Index)가 있다.<ref>[http://www.index.go.kr/ e-나라지표] '경기종합지수' 검색</ref><ref>[http://kosis.kr/ 국가통계포털] '경기종합지수' 검색</ref>
 
=== 경기순환시계 ===
[[통계청]]은 [[2009년]] [[12월 14일]]부터 '''경기순환시계'''(景氣循環時計. BCC, Business Cycle Clock)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상황에서 경제지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을 감안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하게 된 것이다.<ref>[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68638&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EA%B2%BD%EA%B8%B0%EC%88%9C%ED%99%98%EC%8B%9C%EA%B3%84 주요경제지표 순환 움직임 한눈에 "경기순환시계" 서비스 개시]</ref>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