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gyoon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응 다 지웠어 ㅂㅅ아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다.
 
대한민국은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한국 전쟁]]을 겪은 이후 적대적인 관계로 현재까지도 군사대치 중에 있으며 많은 사회적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한편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을 주도적으로 지원했던 [[미국]]과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사실상 전신이 되는 [[대한제국]]을 멸망시키고 식민 지배하였던 [[일본]]과는 [[1965년]]에 수교한 이후 국교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한국 전쟁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며 개입하였던 [[러시아]](구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과는 탈냉전 이후에야 외교관계를 맺게 되었다.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의 주변국들과의 관계는 지정학적·역사적 중요성을 바탕으로 한국외교의 핵심적 사항으로 자리 잡아 왔고, 한국의 독립과 정부 수립, [[한국 전쟁]], 그리고 그 이후에 펼쳐진 세계적인 [[냉전]] 구조의 형성과 와해 과정은 한국과 이들 4국 사이의 관계에 그대로 투영되어 왔다.<ref name="한국 외교 60년 제1장">{{서적 인용 |저자 = 외교통상부 |제목=한국 외교 60년 |url = 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091230/10480_file_2009%20dip60_3.pdf |장=제1장 주변 4국 및 지역외교 |꺾쇠표=예|쪽=54}}</ref>
 
[[대한민국 정부]]는 [[2012년]] 기준으로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마케도니아 공화국|마케도니아]], [[시리아]], [[쿠바]] 4개국과 외교관계가 없으며, 이중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승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190개국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유엔 비회원국인 [[서사하라]], [[중화민국]], [[팔레스타인]]도 외교 관계가 없는데, [[대한민국 정부]]는 이들 3개 국가를 승인하지 않는다. 이중 [[중화민국]]의 경우에는 1992년 8월 23일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함에 따라 단교되었다. 또, 대한민국은 [[2008년]]에 독립한 [[코소보]]를 승인했으나 아직 외교관계는 수립되지 않았으며, [[2011년]]에 독립한 [[남수단]]은 승인과 함께 현재 외교관계가 수립된 상태이며, [[2013년]] 2월에는 [[쿡 제도]]와 수교했지만, [[니우에]]와는 아직 수교하지 않았다.
 
[[유엔]]에는 1991년에 북한과 동시에 가입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에서 외무에 관한 업무는 [[외교부]]가, 통상에 관한 업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관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 외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