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트 폭력: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29번째 줄:
 
이와 유사하게 데보라 카팔디는<ref>"quoted in Sacks, Glenn. (2009) [http://www.huffingtonpost.com/glenn-sacks/researcher-says-womens-in_b_222746.html Researcher Says Women's Initiation of Domestic Violence Predicts Risk to Women]." on HuffingtonPost.com, 6 July 2009. URL retrieved 9 September 2009.</ref> 13년 동안의 연구 결과, 전체 폭력의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공격성 역시 남성의 폭력에 대한 경향만큼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카팔디의 연구는 위험 대상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 전체 여성을 다루지 않았기에 전체 인구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특성==
 
===감정적 폭력===
* 그/그녀는 그/그녀와의 데이트를 두렵습니다.
* 그/그녀는 데이트에서 화를 내는 것을 두려워하며, 심지어 데이트에 동의할 수도 없습니다.
* 그/그녀의 데이트는 공개적으로 그/그녀를 당혹스럽고 창피하게 했습니다.
 
===심리적 폭력===
* 데이트 상대가 그/그녀에게 폭력을 행사하겠다고 위협하거나 자신에게 폭력을 행사하겠다고 위협합니다. (예컨대, “나를 떠나면, 나는 자살하겠다.” 등)
===성적 폭력===
{{참고|데이트 강간}}
* 데이트 상대가 그/그녀의 파트너와 그/그녀가 성관계를 갖도록 강요합니다.
* 그/그녀는 성행위를 요구하는 그/그녀에게 ‘아니오’라고 말하기가 두렵습니다.
* 데이트 상대가 그/그녀를 존중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데이트 상대는 오직 그/그녀 자신의 성적 욕구를 충족하는 데만 관심을 가집니다.
* 데이트 상대가 성행위의 결과에 신경쓰지 않거나, 어떻게 그/그녀의 파트너가 성행위에 대해 느끼지는 관심이 없습니다.
 
===물리적 폭력===
* 그/그녀는 신체적 공격을 그/그녀의 파트너에게서 받았습니다.
* 데이트 상대는 그/그녀를 누르거나, 밀거나, 때리거나, 차거나, 던집니다.
 
===통제 행위===
{{본문|통제 행위}}
* 데이트 상대가 그/그녀가 친구들을 만나는 일을 막았습니다.
* 그/그녀가 그/그녀의 가족에 연락하는 일을 제한합니다.
* 그/그녀가 심지어 데이트 상대와 그/그녀의 가족·친구들 가운데 선택하도록 강요합니다.
* 데이트 상대는 그/그녀가 어디에 있는지 언제나 알기를 바라며, 그/그녀가 하는 모든 일이 정당함을 증명하도록 요구합니다.
* 데이트 상대는 그/그녀가 다른 남성/여성과 대화하면 매우 성냅니다.
* 데이트 상대는 그/그녀가 그/그녀 자신의 건강관리를 하기 전에 데이트 상대에게 허락 받기를 기대합니다.
* 데이트 상대는 공개적으로 그/그녀가 무엇을 입어야 하는지, 그/그녀가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를 지시합니다.
 
== 대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