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ie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jv:Gottfried Leibniz
글로벌세계대백과의 내용 옮김
1번째 줄:
{{토막글 미만}}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다. 도덕 철학 교수의 아들로서 [[중국라이프치히]]에서 출생했다. 어릴 때부터 조숙한 천재로서, 혼자 힘으로 방대한 서적을 익히고, '말에는 명석함을 사상(事象)에는 유효성을' 찾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14살에 [[라이프치히 대학교]] 법과에 입학, 20살인 1666년에 졸업했다. [[마인츠]]의 법전 수정 작업을 한 다음, 1672년 외교 사절로 파리에 가서, 1676년까지 체재했다. 이 사이 특히 수학을 연구,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발견하고, 위치해석의 새 방법에 학문에대한 조예가착상을 깊었다얻었다.
 
1676년, [[요한 프리드리히]]에게 초청되어, 하노버의 궁중 고문관 겸 도서관장이 되어 이 곳에 거처를 정했다. 요한 프리드리히의 후계자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의 딸이 프로이센 왕과 결혼했기 때문에 라이프니츠는 베를린과도 관련을 가지고, 그의 제안에 따라 1700년 설립된 베를린 학사원의 초대 원장이 되었다. 전 학문을 집성하는 백과학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여 광범한 연구 활동을 실시하고, 보편적 기호법, 보편 언어 등의 형성에 노력하였으며, 또한 기사로서도 계산기, 회중시계, 압축공기에 의한 동력의 강화 등 많은 업적을 남기는 한편, 사회적·정치적으로도 활약을 계속하여 각지에서 여러가지 영예와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만년에는 궁정과의 관계가 소원해졌기 때문에, 각 방면에서 냉대를 받았고, 통풍이 악화하여 [[하노버]]에서 급사했다.
 
이와 같이 다채로운 활동을 하면서도 그가 남긴 연구는 방대한 양에 달하지만, 분망한 생활 탓인지 그러한 연구는 서간이나 메모 등
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 많다. 철학만을 보더라도 생전에 발간된 것은 <변신론(辯神論)>(1710)뿐이며, 사후 출판된 것 가운데서도 그의 사상 전모를 전하는 정리된 저작은 별로 없었는데, 그의 철학의 최대 특징은 그 이전의 여러 가지 사상적 대립을 모두 자기 것으로 받아들여서 조화시킨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데카르트적 물체관(物體觀)과 가생디 류의 원자론, 기계관(機械觀)과 목적관, 섭리와 자유, 경험론과 이성론, 나아가서 근세사상과 스콜라 사상의 조화까지 그에게서 발견할 수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는 '예정조화' 사상이야말로 라이프니츠 철학의 기조를 이룬 가장 단적인 표명이라고 할 수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단자론> <형이상학 서설> <인간오성신론> 등이 있다.
 
{{Commons|Gottfried Wilhelm Leibniz}}
 
{{글로벌}}
 
{{토막글|철학자}}
줄 14 ⟶ 19:
[[분류:1716년 죽음]]
[[분류:독일의 철학자]]
[[분류:18세기 철학자]]
[[분류:독일의 수학자]]
[[분류:17세기독일의 수학자과학자]]
[[분류:18세기 수학자]]
 
[[af:Gottfried Wilhelm Leibn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