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트 코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Volkov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mr:रॉबर्ट कॉख
+글로벌
25번째 줄:
== 생애 ==
[[독일]] 클라우스탈에서 [[광산]] 기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괴팅겐 대학교]]에서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야코프 헨레]] 밑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66년]] 졸업했는데, 의대생시절 [[파스퇴르]]의 [[미생물]]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어 [[베를린대학교]]에서 미생물연구를 하였다. [[의사]]자격시험에 합격,의사가 된 코흐는 시골에서 근무하다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당시 군의관으로 근무하였다. 종전후 볼슈타인(지금의 Wolsztyn)에서 지역 의사로 일하면서 [[탄저병]]에 대해 연구, [[1876년]]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자신의 연구결과를 [[가축]]실험으로 발표하였다. 코흐의 연구결과는 여러 나라에 알려져, [[미생물학]] 발전에 공헌하였다.
[[1881년]] [[베를린 국립 위생원]]으로 자리를 옮긴 그는 배양기를 개선,같은 종류의 [[세균]]만 분리해내었다. 이듬해 [[1882년]] 3월 24일 결핵균을 발견했으며, [[공기 (기체)|공기]]를 통해 전염된다는 것도 알았다. [[1883년]]에는 [[이집트]]를 거쳐 [[인디아]]까지 여행하면서 콜레라 병원균을 발견했다. [[1891년]]에는 베를린 국립전염병연구소 소장이 되었으며, [[190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생리학 부문 상을 받았다. 1910년 바덴바덴에서 별세.
 
[[1881년]] [[베를린 국립 위생원]]으로 자리를 옮긴 그는 배양기를세균의 개선,같은표본 종류의고정법·염색법·현미경 [[세균]]만촬영법을 분리해내었다창시하였다. 이듬해 [[1882년]] 3월 24일 결핵균을 발견했으며, [[공기 (기체)|공기]]를 통해 전염된다는 것도 알았다. [[1883년]]에는 [[이집트]]를 거쳐 [[인디아]]까지 여행하면서 콜레라 병원균을 발견했다. [[1891년]]에는1890년 베를린결핵균에 국립전염병연구소대한 소장이 되었으며,항원인 [[1905년투베르쿨린]] [[노벨 생리학·의학상]] 생리학 부문 상을 받았다. 1910년 바덴바덴에서 별세발견했다.
== 출처 ==
 
이 문서는 《유한준 과학이야기, 과학을 빛낸 사람들 3》/유한준 글, 신혜원 그림/도서출판 산하를 출처로 작성하였습니다.
[[1891년]]에는 베를린 국립전염병연구소의 초대 소장이 되었으며, [[190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생리학 부문 상을 받았다. 1910년 바덴바덴에서 별세.
 
== 참고 문헌 ==
이 문서는* 《유한준 과학이야기, 과학을 빛낸 사람들 3》/유한준 글, 신혜원 그림/도서출판 산하를 출처로 작성하였습니다.산하
 
{{글로벌}}
 
{{토막글|과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