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태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삭제 신청 반려: 문서 토론 선행 필요
아골타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출처 필요|날짜=2013-11-19}}
{| class="plainlinks ombox ombox-speedy" role="presentation"
[[파일:Wanggiyan Aguda.jpg|섬네일|금 태조 완안아구다]]
| class="mbox-empty-cell" |
[[파일:Wanyan Aguda.jpg|250px|오른쪽|섬네일|[[중화인민공화국|중국]] [[하얼빈 시|하얼빈]] 시내에 있는 완안 구다의 동상.]]
| class="mbox-text" |<div style="font-size: 1.6em; margin-bottom: 0.3em;">'''이 문서에 삭제가 신청되었습니다.'''</div><div style="font-size: 1.2em;">
: '''신청자''': weipangxio
 
: '''신청 이유''': '''독자연구:'''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는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발표하는 곳이 아닙니다.|위키백과는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발표하는 곳이 아닙니다]]. [[위키백과:확인 가능|확인 가능]]한 [[위키백과:출처 밝히기|출처를 제시]]하지 않으면 삭제됩니다.
'''금 태조'''(金太祖, [[1068년]] [[8월 1일]] ~ [[1123년]] [[9월 19일]])는 [[금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금 태조의 [[여진]]식 휘는 '''완안 아구다'''(完顔 阿骨打, {{llang|juc|wo-on (g)ia-an Akuta}})이고, 중국식 휘는 '''왕민'''(王旻)이다. 묘호는 '''태조'''(太祖, {{llang|juc|/tai-su/}})이고 시호는 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應乾興運昭德定功仁明莊孝大聖武元皇帝)이다. 줄여서 '''태조원황제'''(太祖元皇帝, ({{llang|juc|/tai-su tʃao-xa un xuaŋ-di/}}) 혹은 '''원제'''(元帝)이다. 생전 존호는 대성황제(大聖皇帝)다.
</div>[[파일:OOjs_UI_icon_error-destructive.svg|링크=|25x25픽셀]] <span style="font-size: 1.2em; margin-bottom: 0.3em;">'''즉시 삭제 신청은 신중하게 해야 합니다.''' [[도움말:삭제 신청할 때 고려할 점|삭제 신청할 때 고려할 점]]을 읽어 보시고 대안을 고려해 보세요.</span>
 
[[파일:OOjs_UI_icon_helpNotice-ltr-progressive.png|링크=|25x25픽셀]] <span style="font-size: 1.2em; margin-bottom: 0.3em;">'''제가 기여한 문서에 삭제가 신청되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황하지 마세요. [[도움말:삭제 신청에 대한 대처|삭제 신청 대처]]를 읽어보시고, 이 문서에 왜 삭제가 신청되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고 문서를 보강해 주세요.</span><div style="font-size: 1em; margin-bottom: 0.3em;"><nowiki>잘못된 삭제 신청이거나, 삭제 신청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면 삭제 틀을 떼도 됩니다. 단, 자신이 만든 문서에 대한 삭제 신청은 스스로 틀을 떼어서는 안 됩니다. 삭제 신청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할 경우, 삭제 신청 틀 아래에 {{</nowiki>[[틀:삭제 신청 이의|삭제 신청 이의]]<nowiki>}}를 추가하고, 아래의 버튼을 통해 이 문서의 </nowiki>[[토론:금 태조|토론 문서]]에 삭제 신청에 대한 의견을 남길 수 있습니다.</div><inputbox>
《[[금사]]》에 따르면, [[여진 문자]]는 [[1119년]]에 금태조 아구다의 명에 의하여 완안희우(完顔希于)가 만들었고, [[1145년]]에 반포되었다고 한다.
type=commenttitle
default=2020년 6월 11일의 삭제 신청 이의
preload=틀:삭제 신청 이의/일반
editintro=틀:삭제 신청 이의/미리 보기
hidden=yes
page=토론:금 태조
buttonlabel=삭제 신청 이의 남기기
break=no
</inputbox>
----<span class="plainlink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A%B8%88_%ED%83%9C%EC%A1%B0&action=history 문서 역사]</span>를 참고하여 해당 문서의 작성자나 주 편집자의 사용자 토론 문서에 아래 내용을 넣어 삭제 신청 사실을 알려 주세요.
 
: <div style="font-size:90%"><code><nowiki>{{풀기:</nowiki>[[틀:삭제 신청 알림|삭제 신청 알림]]|금 태조|'''독자연구:''' [[위키백과:위키백과에 대한 오해#위키백과는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발표하는 곳이 아닙니다.|위키백과는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발표하는 곳이 아닙니다]]. [[위키백과:확인 가능|확인 가능]]한 [[위키백과:출처 밝히기|출처를 제시]]<nowiki>하지 않으면 삭제됩니다.}} -- </nowiki></code></div>
== 이름 ==
그의 성은 '''완안'''(完顔, {{llang|juc|[[파일:Wo-on_gia-an.png|60px]]}} {{IPA|/wo-on (g)ia-an/}})<ref>金启孮,《女真文辞典》,文物出版社, 1984, 132쪽</ref>이고, 아구다라는 이름은 웨일드 자일스 표기법에 '''A-ku-ta'''로 표기되었다.<ref>And, thus, appears in this form in more old-fashioned literature in English, e.g. Herbert Franke's account in ''[https://books.google.com/books?id=iN9Tdfdap5MC&pg=PA221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ref> 대체 철자인 '''Akutta'''는 아주 적은 수의 책에서 등장한다.<ref>Chi-ming Tung, Jiming Dong, ''[https://books.google.com/books?id=KzvoAAAAIAA An outline history of China], p. 144</ref><ref>{{서적 인용|title=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Chinese-English Edition|author=Institute of Linguistic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authorlink=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isbn=978-7-5600-3195-8}}</ref>
 
== 생애 ==
아구다는 완안부의 추장 [[핵리발]]의 둘째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나라(拏懶)부의 추장의 딸이었다. 1068년 [[헤이룽장 성]] [[하얼빈 시]]의 아시허(阿什河) 근처에서 태어났다.<ref>苏金源, ''[http://www.cnki.com.cn/Article/CJFDTotal-SHXZ198202007.htm 论完颜阿骨打的政治、经济改革], p. 1.</ref>
 
그는 그의 부족 내에서 용맹함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요나라|거란]]에 적대적인 여진 부족에 대항하는 수많은 전투에 참전했었다. 1109년, 광범위한 기근이 한창일 때, 아구다는 자신의 부족을 강화하기 위해 다른 여진 부족으로부터 굶주린 전사들을 흡수하여 그의 아버지를 도왔다. 이후 다른 여진 부족과 전쟁을 벌였고, 완완부의 지휘 아래 모든 [[생여진]] 부족들을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1113년 아구다는 형 [[오아속]]의 뒤를 이어 부족의 지도자로 즉위했다. 다른 추장들처럼 아구다는 부패한 거란 관리들에 의해 부족들의 착취당하는 것을 혐오했다. 1112년 거란의 군주인 [[천조제]]가 여진 영역에서 낚시를 할 때, 모든 추장들에게 그를 위해 춤을 추라고 명령했다. 아구다는 그 명령을 거역한 유일한 사람이었고, 추장들 사이에서 유명해졌다.<ref>Herbert Franke and Hok-lam Chan, "Studies on the Jurchens and the Chin Dynasty", Variorum Collected Series Studies: CS591, Ashgate, 1997, pp.153-154.</ref>
 
1114년 초 아구다 거란 영토에 첩자를 파견하고, 부패했다고 여긴 거란 정권에 대한 반란을 준비했다. 그의 조언자는 완안 종한(完顏宗翰)과 완안 희윤(完顏希尹)이었다.<ref>Herbert Franke and Hok-lam Chan, "Studies on the Jurchens and the Chin Dynasty", Variorum Collected Series Studies: CS591, Ashgate, 1997, pp.154.</ref>
 
여진족은 [[1115년]] [[1월 28일]]에 스스로 [[금나라]]를 세웠고, 황제가 된 아구다는 여세를 몰아 요동 지역의 황룡부(黃龍府)를 함락시켰다. 당시 요나라의 황제인 [[천조제]](天祚帝) 야율연희(耶律延禧)는 70만의 대군을 편성하여 금나라를 공격했으나 도리어 대패를 당했다.
 
그는 [[요나라]]를 물리치고 요동으로 진출했다. 금나라는 [[송나라]]와 [[요나라]]를 공격하자는 동맹을 맺었다(해상의 맹약).
 
[[1120년]] 요나라의 수도인 [[상경 임황부]](上京臨潢府), [[1121년]]말에는 중경 대정부(中京大定府)를 함락했다. 강남에서 일어난 [[방랍의 난]]으로 인해 그해에 겨우 [[북송]]은 북방에 출병하여 요나라의 [[천조제]]가 있는 [[연경]]을 공격했다. 송나라 군대는 요군에 연패를 당하고, 성과를 올릴 수 없자 송군의 지휘관 동관은 금에 원군을 요청. 해상의 맹에 의해 금나라는 장성 이남에 출병하지 않기로 약속하였지만, 송나라의 요청에 의해 출병하여 순식간에 연경을 함락시켰다. 이 결과 맹약대로 연운16주 중 연경 이남의 6주는 송나라에 할양되었지만, 금군은 연운 이북을 약탈하고 연운 16주의 백성들도 금나라로 이주시켰다.
 
그 때문에 이곳에서는 세수를 징수할 수 없는 상태에 빠졌다. 또한 금은 연경 출병의 대가로 은 20만냥, 비단 30만 필, 전 100만관, 군량 20만석을 요구했고, [[북송]]은 이것을 수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1123년]] [[9월 19일]]에 병에 걸려서 [[회령부]]로 가던 중에 객사했다. 후사는 [[금 태종]]이 계승하였다.
 
== 가족관계 ==
=== 조부모와 부모 ===
* 조부 : 추존 황제 경조(景祖) [[완안오고내|완안 오고내]](完顔 烏古迺, [[1021년]] ~ [[1074년]])
* 조모 : 추존 황후 소숙황후 당괄씨(昭肅皇后 唐括氏)
* 부친 : 추존 황제 세조(世祖) [[완안핵리발|완안 핵리발]](完顔 劾里鉢, [[1039년]] ~ [[1092년]])
* 모친 : 추존 황후 익간황후 나라씨(翼簡皇后 拿懶氏, ? - 1085)
 
=== 황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비고
|-align="center"
| 정실(正室) || 성목황후(聖穆皇后) || 당괄씨(唐括氏) || || (추존) || || <small>금나라 건국 전에 사망.<br>[[금 희종|희종]]이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존.
|-align="center"
| 황후(皇后) || 흠헌황후(欽憲皇后) || 흘석렬씨(紇石烈氏) || <small>태황태후(太皇太后)<br>경원궁태후(慶元宮太后) || ? ~ [[1123년]] || ? ~ [[1136년]] ||
|-align="center"
| 비(妃) || 광의황후(光懿皇后) || 배만씨(裴滿氏) || || (추존) || || <small>[[금 해릉양왕|해릉왕]]이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존.
|-align="center"
| 덕비(德妃) || 선헌황후(宣獻皇后) || 복산씨(僕散氏) || || (추존) || || <small>[[금 세종|세종]]이 즉위하면서 황후로 추존.
|}
 
=== 후궁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봉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원비(元妃) || 오고론씨(烏古論氏) || || ||
|-
| 숭비(崇妃) || 소씨(蕭氏) || <small>태비(太妃) || ? ~ [[1150년]] ||
|-
| 낭자(娘子) || 독노가(獨奴可) || || ||
|}
 
=== 황자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 -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align="center"
| 1 || <small>양송국왕(梁宋國王) || || <small>완안 알본(完顔 斡本)</small><br>[[완안종간|완안 종간]](完顔 宗幹) || ? ~ [[1141년]] || 광의황후 배만씨 || <small>요충렬왕(遼忠烈王) || <small>[[금나라]] 제4대 황제 [[금 해릉양왕|해릉왕]](海陵王)의 아버지.
|-align="center"
| 2 || 송왕(宋王) || 환숙(桓肅) || <small>완안 알로보(完顔 斡魯補)</small><br>완안 종망(完顔 宗望) || ? ~ [[1127년]] || 흠헌황후 흘석렬씨 || <small>위왕(魏王)<br>허왕(許王)<br>진왕(晉王)<br>요연국왕(遼燕國王) ||
|-align="center"
| 3 || 국왕(國王) || || <small>완안 승과(完顔 繩果)</small><br>[[완안종준|완안 종준]](完顔 宗峻) || ? ~ [[1124년]] || 성목황후 당괄씨 || || <small>[[금나라]] 제3대 황제 [[금 희종|희종]](熙宗)의 아버지.
|-align="center"
| 4 || 허왕(許王) || 양목(襄穆) || <small>완안 와리타(完顔 訛里朶)</small><br>[[완안종요|완안 종요]](完顏 宗堯) || [[1096년]] ~ [[1135년]] || 선헌황후 복산씨 || <small>노왕(潞王)<br>기왕(冀王) || <small>제5대 황제 [[금 세종|세종]](世宗)의 아버지.
|-align="center"
| 5 || 심왕(沈王) || 충렬(忠烈) || <small>완안 올출(完顔 兀朮)</small><br>완안 종필(完顔 宗弼) || ? ~ [[1148년]] || 원비 오고론씨 || <small>월왕(越王) ||
|-align="center"
| 6 || 연왕(兗王) || || <small>완안 와로관(完顔 訛魯觀)</small><br>완안 종준(完顔 宗雋) || ? ~ [[1139년]] || 흠헌황후 흘석렬씨 || <small>진왕(陳王) ||
|-align="center"
| 7 || 풍왕(豊王) || || <small>완안 오열(完顔 烏烈)</small><br>완안 종조(完顔 宗朝) || || 성목황후 당괄씨 || ||
|-align="center"
| 8 || 위왕(衛王) || || <small>완안 아로(完顔 阿魯)</small><br>완안 종강(完顔 宗強) || ? ~ [[1142년]] || 원비 오고론씨 || <small>기왕(紀王) ||
|-align="center"
| 9 || 조왕(曹王) || || <small>완안 아로보(完顔 阿魯補)</small><br>완안 종민(完顔 宗敏) || ? ~ [[1150년]] || 원비 오고론씨 || <small>촉왕(蜀王) || <small>[[금 해릉양왕|해릉왕]]의 의해 암살당함.
|-align="center"
| 10 || 조왕(趙王) || 효도(孝悼) || <small>완안 몰리야(完顔 沒里野)</small><br>완안 종걸(完顔 宗傑) || ? ~ [[1127년]] || 성목황후 당괄씨 || <small>월왕(越王) ||
|-align="center"
| 11 || 기왕(紀王) || || 완안 습니렬(完顔 習泥烈) || || 숭비 소씨 || ||
|-align="center"
| 12 || 식왕(息王) || || 완안 영길(完顔 寧吉) || || 숭비 소씨 || ||
|-align="center"
| 13 || 심왕(瀋王) || || 완안 와로(完顔 訛魯) || || 흠헌황후 흘석렬씨 || ||
|-align="center"
| 14 || 빈왕(豳王) || || 완안 와로타(完顔 訛魯朶) || || 선헌황후 복산씨 || ||
|-align="center"
| 15 || 거왕(莒王) || || 완안 연손(完顔 燕孫) || || 숭비 소씨 || ||
|-align="center"
| 16 || 업왕(鄴王) || || 완안 알홀(完顔 斡忽) || || 낭자 독노가 || ||
|}
 
=== 황녀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align="center"
! -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align="center"
| 1 || 공주(公主) || 완안 올로(完顔 兀魯) || || || ||
|-align="center"
| 2 || 필국공주(畢國公主) || || || || ||
|-align="center"
| 3 || 공주(公主) || || || || || 포찰 석가노(蒲察 石家奴)의 부인.
|}
 
== 기년 ==
{{본문|중국의 연호 목록#금(金)}}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ffffff;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태조!!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11년
|-
|[[서력]]<br>(西曆)||[[1113년]]||[[1114년]]||[[1115년]]||[[1116년]]||[[1117년]]||[[1118년]]||[[1119년]]||[[1120년]]||[[1121년]]||[[1122년]]||[[1123년]]
|-
|[[간지]]<br>(干支)||[[계사]](癸巳)||[[갑오]](甲午)||[[을미]](乙未)||[[병신]](丙申)||[[정유 (간지)|정유]](丁酉)||[[무술 (간지)|무술]](戊戌)||[[기해]](己亥)||[[경자]](庚子)||[[신축]](辛丑)||[[임인]](壬寅)||[[계묘]](癸卯)
|-
|연호<br>(年號)||-||-||[[수국 (연호)|수국]](收國)<br>원년||2년||[[천보 (금)|천보]](天輔)<br>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
|}
 
== 각주 ==
{{각주}}
 
{{전임후임|앞이름=전 대|뒤이름=후 대|
전임자= (초대) |
직책 = [[금나라|금]] 황제|대수= 1|
임기= [[1115년]]~[[1123년]] |
후임자= [[금 태종]]|
}}
 
{{금나라의 역대 황제}}
 
[[분류:1068년 태어남]]
[[분류:1123년 죽음]]
[[분류:금나라의 황제]]
[[분류:김용의 소설 등장인물]]
[[분류:12세기 중국 사람]]
[[분류:12세기 중국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