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오래된 빌런이 한 짓입니다.
편집 요약 없음
124번째 줄:
*<span style="color:#CC0033;">●</span> 9402번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4거리 - 정자동주민센터 - [[계원예술고등학교]] - 한솔마을 - 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촌([[서현역]]) - 백현마을 - 낙생육교([[판교역 (성남)|판교역]]) - [[판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한남 나들목]] - [[한남대교]] - [[한남동]]((舊) [[단국대학교]], 순천향대병원) - [[남산1호터널]] - [[을지로3가역]](중앙시네마) → 청계2가 → [[종각역]] → [[인사동]]([[조계사]]) → [[안국동]] → [[광화문]]([[광화문역]], [[세종문화회관]], [[정부중앙청사]]) → [[시청역 (서울)|시청역]]([[서울특별시청]], 삼성프라자) → [[서울역]]([[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숭례문]]([[남대문시장]], [[YTN]]) → [[을지로입구역]] → [[을지로3가역]](중앙시네마)([[2005년]] [[8월 5일]] 폐선((舊) 9000번, [[광역버스]])<ref>단, [[광주시 (경기도)|광주시]] 소재 [[경기고속]]의 9000번([[오리역]] - [[광화문역]])은 계속 운행중이며, [[2008년]] [[9월 20일]] [[광화문 광장]] 조성공사로 인해 [[을지로입구역]] 경유로 변경되었으나 [[을지로입구역]] 1대의 과다한 차량 정체로 인해 결국 [[2010년]] [[1월 4일]] 원래 노선이었던 [[광화문역]] 경유로 재환원 되었다. 현재의 9401B번((舊) 9409번)과 노선이 동일하다.</ref>)([[광주시 (경기도)|광주시]] 소재 [[경기고속]]과 [[공동배차]] 운행, (舊) 9401B번((舊) 9409번)과 노선 동일)
*<span style="color:#CC0033;">●</span> 9406번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4거리 - 정자동주민센터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촌([[서현역]]) - [[이매동]]([[이매역]]) - [[분당차병원]] - [[야탑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 - 여수동4거리 - 시흥동4거리 -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 안골마을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신사역]]([[2005년]] [[6월 21일]] 폐선)((舊) 910번, (舊) 739-1번, [[광역버스]])(이 노선은 [[서울시]] 소재 [[대성운수 (서울)|대성운수]]에서 양도 받았던 노선)
*<span style="color:#CC0033;">●</span> 9409번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 내대지마을2단지(201동~202동) - [[죽전도서관]] - 금강프라자 - 죽전4거리([[죽전역 (용인)|죽전역]])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4거리 - 정자동주민센터 - [[계원예술고등학교]] - 한솔마을 - 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촌([[서현역]]) - 백현마을 - 낙생육교([[판교역 (성남)|판교역]]) - [[판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양재 나들목]]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신사역]] - [[한남대교]] - [[한남동]]((舊) [[단국대학교]], 순천향대병원) - [[한강진역]](시립한남직업전문학교) - 북한남4거리 - [[하얏트 호텔]] - 남산체육관 - 용산2가동주민센터 - [[남산도서관]] → 백범광장 → [[숭례문]]([[회현역]], [[남대문시장]]) → [[서울특별시청]]([[시청역 (서울)|시청역]], 삼성프라자) → [[청계광장]] → [[광화문]]([[광화문역]], [[세종문화회관]], [[정부중앙청사]]) → [[서울특별시청]]([[시청역 (서울)|시청역]], 삼성프라자) → [[서울역]]([[숭례문]], [[YTN]]) → [[숭례문]]([[회현역]], [[남대문시장]]) → [[남산도서관]]([[2012년]] [[2월 28일]]([[화요일]]) [[광역버스]] 9401B번으로 변경((舊) 7007번))
*<span style="color:#CC0033;">●</span> 9412번 : 송파공영차고지 - [[산성역]] - [[한국폴리텍대학|한국폴리텍대학 성남기능대학]]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성남)|신흥역]]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반포역]] -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건축물)|센트럴시티]])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국립현충원]]) - [[흑석동 (서울)|흑석동]]([[흑석역]], [[중앙대학교]]) - [[노들역]] - [[노량진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역]] → [[신길역]]([[2006년]] [[12월 20일]] [[지선버스]] 4423번과 통합하여 [[간선버스]] 462번으로 형간 전환. ((舊) 916번, (舊) 736번))
 
; 개편 전 노선
* 36번([[도시형버스]], 1기 노선) : [[단대동]] - [[신흥동 (성남시)|신흥동]]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동 (성남시)|태평동]] - [[경원대학교]] - [[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동]]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교보타워4거리 - [[논현동 (서울)|논현동]] - 영동시장 -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건축물)|센트럴시티]]) - 구반포 - 신반포 -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국립현충원]]) - [[흑석동 (서울)|흑석동]] - [[노량진본동]] - [[노량진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동]]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1990년 2월]]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단축. 이후 [[1992년]] [[8월 20일]]([[목요일]]) [[강남역]] - 교보타워4거리 - [[논현동 (서울)|논현동]] - 영동시장 경유에서 [[서울교대]] 경유로 변경)
* 36번([[도시형버스]], 2기 노선) : [[양지동]]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성남)|신흥역]]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뱅뱅4거리 - [[남부터미널역]]([[서울남부버스터미널]]) - [[교대역 (서울)|교대역]]([[서울교육대학교]]) -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건축물)|센트럴시티]])(개편 후 [[지선버스]] 4423번으로 운행하였으나 [[2006년]] [[12월 20일]]([[수요일]]) [[광역버스]] 9412번과 통합되어 [[간선버스]] 462번으로 통합하면서 폐선)<ref>[[서울시]] 발표상으로는 4423번의 경우 "9412번과 통합 및 462번으로 변경"이지만 4423번 노선의 독자 구간인 [[서울교대]] 구간이 완전히 없어진 것이므로 "폐선"이라고 표현한다.</ref>
* 36-1번([[도시형버스]]) : [[양지동]]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성남)|신흥역]] - (舊) [[성남시청]](신흥1동주민센터)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수서차량사업소]] - [[수서역]] - 궁마을 - [[일원역]]([[삼성의료원]]) - [[일원터널]]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 [[휘문고등학교]] - [[삼성역]]([[코엑스]], [[무역센터]], [[한국도심공항]]) - [[봉은사]]([[봉은사역]]) - [[청담역]](개편 후 [[지선버스]] 4419번으로 변경되었으나 [[2005년]] [[6월 28일]]([[화요일]])자로 [[압구정동]]까지 연장)
* 66번([[도시형버스]], 1기 노선) : [[양지동]]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성남)|신흥역]]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동]]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교보타워4거리 - [[논현동 (서울)|논현동]] - [[신사역]] - [[한남동]] - [[장충동]] - [[광희동]] - [[동대문운동장역]] → [[을지로5가]] → [[동대문운동장]] → [[광희동]]([[1986년]] [[서울시]] 소재 [[대성운수 (서울)|대성운수]]에 매각. [[1987년]] 과다중복노선 정리차원에서 [[도시형버스]] 239번을 흡수 통합. [[1990년 2월]] 다시 인수. [[1996년]] [[12월 9일]]([[월요일]])자로 [[신사역]]으로 단축)
* 66번([[도시형버스]], 2기 노선) : [[양지동]]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성남)|신흥역]]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안세병원 → [[학동역]] → [[논현역]](개편 후 [[지선버스]] 4421번으로 변경되었으나 [[2005년]] [[6월 28일]]([[화요일]]) 폐선)
* 66-1번([[도시형버스]], 1기 노선) : [[단대동]] - [[신흥동 (성남시)|신흥동]]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동 (성남시)|태평동]] - [[경원대학교]] - [[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동]]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교보타워4거리 - [[논현동 (서울)|논현동]] - 영동시장([[1986년]] [[서울시]] 소재 [[대성운수 (서울)|대성운수]]에 매각. [[1987년]] 과다 중복 노선 정리차원에서 [[도시형버스]] 239-1번에 흡수통합되어 폐선)
* 66-1번([[도시형버스]], 2기 노선) : [[서현동]] - [[한국도로공사]] - [[고등동 (성남시)|고등동]] - [[여수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동]]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교보타워4거리 - [[논현동 (서울)|논현동]] - [[신사역]] - [[한남동]] - [[장충동]] - [[광희동]] - [[동대문운동장역]] → [[을지로5가]] → [[동대문운동장]] → [[광희동]]([[1993년]] [[양재역]]으로 단축. 이후 [[1999년]]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경유로 변경. 이후 [[신갈동]]으로 연장)
140번째 줄:
* 916번(舊.736번)([[좌석버스]]) : [[양지동]]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성남)|신흥역]] - (舊) [[성남시청]](신흥1동주민센터)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반포역]] -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건축물)|센트럴시티]])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동작역]]([[국립서울현충원|국립현충원]]) - [[흑석동 (서울)|흑석동]]([[흑석역]], [[중앙대학교]]) - [[노들역]] - [[노량진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現 [[간선버스]] 462번. 개편 후 [[광역버스]] 9412번으로 변경되었으나 [[2006년]] [[12월 20일]] [[지선버스]] 4423번과 통합하여 [[간선버스]] 462번으로 형간 전환)
* 6006번(舊.[[도시형버스]] 66-1번)([[직행좌석버스]]) : [[신갈동]] - 신갈5거리 - [[죽전동 (용인시)|죽전동]]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계원예술고등학교]] - 파크타운 - 분당구청 -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동]]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개편 후 [[광역버스]] 9404번으로 변경. 기존의 [[논현역]] 회차를 [[신사역]] 회차로 1부 연장. [[2008년]] [[2월 20일]] 기존 [[신갈동]] 기점에서 [[하갈동]] 기점으로 연장되었다. [[2013년]] [[6월 5일]] [[하갈동]] 기점에서 [[오리역]] 기점으로 대폭 단축. 회차지를 기존의 [[신사역]] 회차에서 [[압구정동]] - [[신사역]] 루프 회차 방식으로 변경. [[2013년]] [[12월 30일]] [[압구정동]]~[[신사역]] 루프 회차 방식에서 종전 [[신사역]] 단독 회차 방식으로 변경)
* 7007번([[직행좌석버스]])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 내대지마을2단지(201동~202동) - [[죽전도서관]] - 금강프라자 - 죽전4거리([[죽전역 (용인)|죽전역]])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4거리 - 정자동주민센터 - [[계원예술고등학교]] - 한솔마을 - 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촌([[서현역]]) - 백현마을 - 낙생육교([[판교역 (성남)|판교역]]) - [[판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양재 나들목]]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신사역]] - [[올림픽대로]]직통 - [[여의도]](개편 후 [[광역버스]] 9409번으로 변경되었으나 [[2010년]] [[1월 8일]]([[금요일]]) 기존의 [[올림픽대로]] 경유 [[여의도]] 회차를 [[한남대교]] 경유 [[한남동]] 회차로 변경. 이후 [[2010년]] [[8월 21일]]([[토요일]])에 남산순환로 경유를 조건으로 [[서울역]]으로 연장되었다. [[2012년]] [[2월 28일]]([[화요일]]) [[강남대로]] - [[한남동]] - 남산순환로 경유에서 [[경부고속도로]] 직통으로 대폭 개편하면서 노선 번호를 [[광역버스]] 9401B번으로 변경. [[2005년]] [[8월 5일]]([[금요일]]) 폐선된 [[광역버스]] 9402번(舊.9000번)과 동일하게동1하게 변경되었다. 이후 [[2014년]] [[7월 16일]]([[수요일]])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는 [[직행좌석버스]] 및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 운행 금지 시행으로 인하여 [[서울시]] 소재 남성교통, [[동성교통]] 9401번과 동일한동1한 경로로 통합되었으며, 변경과 동시에 [[서울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하게 됨)
* 9000번([[직행좌석버스]]) : [[오리역]] - 무지개마을 - 대원4거리 - 정자동주민센터 - [[계원예술고등학교]] - 한솔마을 - 양지마을 - 파크타운 - 효자촌 - 시범단지 - 이매촌([[서현역]]) - 백현마을 - 낙생육교([[판교역 (성남)|판교역]]) - [[판교 나들목]] - [[경부고속도로]] - [[한남 나들목]] - [[한남대교]] - [[한남동]]((舊) [[단국대학교]], 순천향대병원) - [[남산1호터널]] - [[을지로3가역]](중앙시네마) → 청계2가 → [[종각역]] → [[인사동]]([[조계사]]) → [[안국동]] → [[광화문]]([[광화문역]], [[세종문화회관]], [[정부중앙청사]]) → [[시청역 (서울)|시청역]]([[서울특별시청]], 삼성프라자) → [[서울역]]([[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숭례문]]([[남대문시장]], [[YTN]]) → [[을지로입구역]] → [[을지로3가역]](중앙시네마)(개편 후 [[광역버스]] 9402번으로 변경되었으나 [[2005년]] [[8월 5일]] 폐선됨)<ref>단, [[광주시 (경기도)|광주시]] 소재 [[경기고속]]의 9000번([[오리역]] - [[광화문역]])은 계속 운행중이며, [[2008년]] [[9월 20일]] [[광화문 광장]] 조성공사로 인해 [[을지로입구역]] 경유로 변경되었으나 [[을지로입구역]] 1대의 과다한 차량 정체로 인해 결국 [[2010년]] [[1월 4일]] 원래 노선이었던 [[광화문역]] 경유로 재환원 되었다.</ref>([[광주시 (경기도)|광주시]] 소재 [[경기고속]]과 [[공동배차]] 운행. [[2012년]] [[2월 28일]]부터 [[2014년]] [[7월 15일]]까지 존재하던 (舊) 9401B번((舊) 9409번)과 노선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