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태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uddndfnzk(토론)의 30055577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Duddndfnzk (토론 | 기여)
우리나라 태풍 영향을준 태풍 표시 했습니다
13번째 줄:
}}
이 문서에서는 [[2019년]]에 발생하는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19년]] [[1월 1일]] 발생한 태풍 파북을 시작으로 29개의 태풍이 발생하였다. 이는 [[1971년|1971]]~[[2000년]]의 1년 태풍 발생 평균 기록인 26.7개보다 높은 수치이다.
 
대한민국 태풍 영향을준 태풍 * 기록 으로 표시 되었다
 
== 통계 ==
줄 176 ⟶ 178:
[[파일:Lekima and Krosa 2019-08-08 0505Z.jpg|섬네일|250px|태풍 레끼마와 크로사]]
 
 
* 2019년 태풍 중에는 제 8호 태풍 '''[[태풍 프란시스코 (2019년)|프란시스코]]'''와 제 9호 태풍 '''[[태풍 레끼마 (2019년)|레끼마]]''', 제 10호 태풍 '''[[태풍 크로사 (2019년)|크로사]]''' 가 동시에 활동하였다. 그리고 더 신기한 점은 이 세 태풍 모두가 대한민국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이때 프란시스코는 많이 약화된 상태였고, 8월 6일 중부 지방은 폭염이 계속되었다. 8월 7일 한반도가 영향에 들고 태평양으로 진출해 소멸하였다. 이후 레끼마는 중국을 거쳐 서부 지방의, 크로사는 일본 규슈를 거쳐 동부 지방의 폭염을 식혀 폭염특보가 모두 해제되었다. 그런데 일부 지역은 대기의 불안정으로 약한 비가 내렸는데 이 비가 그 지역의 폭염을 식혔고 열이 남은 부분은 레끼마와 크로사가 식혔다.
 
 
 
 
 
* 대한민국 태풍 미탁 타파 하기비스 프란시스코 스팟 다나스 레끼마 크로사 링링 풍윙 10개 영향 대한민국 영향을준 태풍 기록 되었다
* 2019년 태풍 중에는 제 8호 태풍 '''[[태풍 프란시스코 (2019년)|프란시스코]]'''와 제 9호 태풍 '''[[태풍 레끼마 (2019년)|레끼마]]''', 제 10호 태풍 '''[[태풍 크로사 (2019년)|크로사]]''' 가 동시에 활동하였다. 그리고 더 신기한 점은 이 세 태풍 모두가 대한민국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이때 프란시스코는 많이 약화된 상태였고, 8월 6일 중부 지방은 폭염이 계속되었다. 8월 7일 한반도가 영향에 들고 태평양으로 진출해 소멸하였다. 이후 레끼마는 중국을 거쳐 서부 지방의, 크로사는 일본 규슈를 거쳐 동부 지방의 폭염을 식혀 폭염특보가 모두 해제되었다. 그런데 일부 지역은 대기의 불안정으로 약한 비가 내렸는데 이 비가 그 지역의 폭염을 식혔고 열이 남은 부분은 레끼마와 크로사가 식혔다.
 
* 제 9호 태풍 '''레끼마'''와 제 10호 태풍 '''크로사'''(사진)가 거의 동시에 한반도에 영향을 주었다. 레끼마는 중국 동해안을 따라서, 크로사는 일본 [[혼슈]] 섬을 통과했는데도 말이다. 그로 인해 레끼마는 서부 지방, 크로사는 동부 지방의 폭염을 식혀서 그때 발효되었던 폭염 특보가 대부분 해제되었다.
줄 273 ⟶ 282:
{{-}}
 
=== 제3호 태풍 스팟 * ===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310 ⟶ 319:
{{-}}
 
=== 제5호 태풍 다나스 * ===
{{본문|태풍 다나스 (2019년)}}
{{태풍 정보 (소)
줄 365 ⟶ 374:
{{-}}
 
=== 제8호 태풍 프란시스코 * ===
{{본문|태풍 프란시스코 (2019년)}}
{{태풍 정보 (소)
줄 381 ⟶ 390:
|최대강풍반경(KMA)=250
|태풍 사망자=1명 사망}}
2019년 '''제8호 태풍 프란시스코(FRANCISCO)'''는 [[8월 2일]] 9시에 중심기압 998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330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동쪽 약 1,12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며 천천히 발달하다가 [[일본]] [[큐슈]] 상륙 직전에 급발달해서 [[8월 5일]] 21시에 [[일본]] [[가고시마]] 동쪽 약 25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 hPa, 최대풍속 36 m/s, 강풍 반경 330 km(북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으로 [[8월 6일]] 새벽에 [[일본]] [[큐슈]]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에 상륙한 이후 급약화된 상태로 북북서진하면서 [[대마도]]와 [[대한해협]]을 통과한 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6일]] 20시 20분에 중심기압 998 hPa, 최대풍속 18 m/s의 세력으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상륙한 뒤, [[8월 6일]] 21시에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북북서쪽 약 10 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ref name=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6일]] 22시에서 23시 사이에 중심기압 998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170km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의 열대 폭풍으로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부근 육상에 상륙한 뒤, [[8월 7일]] 0시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부근 육상을 지나서, [[8월 7일]] 3시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 부근 육상을 중심기압 1000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170 km의 세력 '약', 크기 '소형'의 열대 폭풍으로 통과하였고, [[8월 7일]] 6시에 [[대한민국]] [[강원도]] [[정선군]] 부근 육상을 통과하였다. [[대한민국]] [[강원도]] [[정선군]] 부근 육상을 통과한 뒤에 [[동해]]상으로 진출한 이후 약화되어서 [[8월 7일]] 9시에 [[대한민국]] [[강원도]] [[양양군]] 남동쪽 약 31 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1000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2019년]] [[10월 2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사후해석에 따르면 [[동해]]안([[울산광역시]])에 태풍이 상륙한 것으로 인정되어서 2019년 '''제8호 태풍 프란시스코(FRANCISCO)'''는 [[일본]]을 거쳐 [[동해]]안으로 상륙한 첫 번째 태풍이 되었다. 최성기 시기에 카테고리 1등급 태풍임에도 불구하고 눈이 조금 뚜렷하게 보이기도 하였다. 프란시스코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남자의 이름이다. 2019년 프란시스코로 인한 비는 8월 6일에 남부지방에 내리고 중부지방에 폭염이 이어지다가, 8월 7일에는 전국으로 확대돼 내려 노을이 질 때쯤 그쳤고, 8월 7일의 프란시스코는 많이 약화되었다.
{{-}}
 
=== 제9호 태풍 레끼마 * ===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400 ⟶ 409:
|태풍 사망자=90명 사망<br>피해총액 92억 8,000만 달러}}
2019년 '''제9호 태풍 레끼마(LEKIMA)'''는 [[8월 4일]] 15시에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650 km(남쪽 반경), 크기 '대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13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태풍 크로사 후보 열대저압부와 후지와라 효과로 인해 남남서진 및 거의 정체하다가 [[일본]] [[오키나와]]에 근접하면서 서북서~북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8월 8일]] 21시에 [[중화민국]] [[타이베이]] 동남동쪽 약 35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25 hPa, 최대풍속 54 m/s, 강풍 반경 560 km의 세력 '맹렬한',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서진하면서 [[8월 10일]] 1시에서 2시 사이에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타이저우 시]]에 중심기압 940 hPa, 최대풍속 46 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상륙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산둥 반도]]와 [[보하이 만]]을 지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2일]] 21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칭다오]] 북서쪽 약 180 km 부근 해상([[보하이 만]])에서 중심기압 990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3일]] 3시에 [[중화인민공화국]] [[칭다오]] 북서쪽 약 101 km 부근 육상([[산둥 반도]])에서 중심기압 992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레끼마는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강풍 반경이 한 때 700km에 달하기도 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넓은 강풍 반경으로 인해 [[대한민국]] 서쪽 지방을 중심으로 폭염을 식히는데 도움을 주었다. 레끼마는 중국에 매우 큰 피해를 입게 되어 제명되었다. 레끼마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과일 나무의 한 종류이다.
 
{{-}}
 
=== 제10호 태풍 크로사 * ===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
줄 456 ⟶ 466:
{{-}}
 
=== 제13호 태풍 링링 * ===
{{본문|태풍 링링 (2019년)}}
{{태풍 정보 (소)
줄 472 ⟶ 482:
|최대강풍반경(KMA)=390
|태풍 사망자=8명 사망<br>피해총액 2억 3,600만 달러}}
2019년 '''제13호 태풍 링링(LINGLING)'''은 [[9월 2일]] 9시에 중심기압 1000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80 km(북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56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북동진하며 서서히 발달하다가 [[일본]] [[사키시마 제도]]에 근접하면서 북진하며 급발달하는 도중인 [[9월 5일]] 13시 10분에 [[일본]] [[미야코지마시]]에 중심기압 945 hPa, 최대풍속 46 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일본]] [[미야코지마시]]를 관통한 뒤 [[동중국해]]에 진출한 [[9월 5일]] 15시에 [[일본]] [[오키나와]] 서남서쪽 약 32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 hPa, 최대풍속 46 m/s, 강풍 반경 390 km(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면서 [[동중국해]]에서 북진하면서 북위 30도를 지나면서 서서히 약화되어가며 이동 속도가 빨라졌고, 동경 125도를 따라가면서 계속 북진하다가 서서히 북북동진을 하였다. [[9월 7일]] 6시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서쪽 약 140 km 부근 해상을 최성기 세력에서 어느 정도 약화된 중심기압 965 hPa, 최대풍속 39 m/s, 강풍 반경 560 km(남동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의 태풍으로 통과하였다. [[서해]]상을 빠른 속도로 북~북북동진하며 서서히 약화되어가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7일]] 14시 30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주시]] [[남서쪽]] 약 30km 부근 육상([[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옹진군]])에 중심기압 970 hPa, 최대풍속 35 m/s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7일]] 15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옹진군]]에 중심기압 970 hPa, 최대풍속 36 m/s([[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세력으로 상륙하였다. [[북한]] [[황해남도]] [[옹진군]] 상륙 뒤 빠른 속도로 북~북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8일]] 9시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서쪽 약 160 km 부근 육상([[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무단장 시]] [[둥닝 현]])에서 중심기압 985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8일]] 오전 9시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북북서쪽 약 437 km 부근 육상([[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자무쓰 시]] [[화촨 현]])에서 중심기압 984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링링으로 인해 [[일본]] [[미야코지마시]] [[미야코 공항]]에서 [[9월 5일]] 12시 22분에 순간최대풍속 61.2 m/s를 기록하였고, [[일본]] [[미야코지마시]] 공식 관측소에서 [[9월 5일]] 12시 15분에 순간최대풍속 59.6 m/s를 기록하였다. 또한 14시에 최저해면기압 940.5 hPa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한 [[일본]] [[미야코지마시]] [[시모지 섬]]에서 [[9월 5일]] 12시 49분에 순간최대풍속 58.1 m/s를 기록하였고, 13시에오후 1시에 최대풍속도 46.5 m/s를 기록하였다. 또한 [[9월 7일]] 6시 28분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에서 순간최대풍속 54.4 m/s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태풍 링링은 태풍 [[태풍 볼라벤 (2012년)|볼라벤]]을 뛰어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제일 강한 태풍으로 올라왔다. 태풍 링링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소녀의 애칭이다.
{{-}}
 
줄 491 ⟶ 501:
|태풍 사망자=10명 사망<br>피해총액 7,620만 달러}}
 
2019년 '''제14호 태풍 가지키(KAJIKI)'''는 [[9월 3일]] 3시에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440 km(북동쪽 반경),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10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남남서진하면서 [[9월 3일]] 6시에 [[베트남]]의 [[다낭]] 북쪽에 있는 트어티엔후에 지역에 상륙하였고, [[9월 3일]] 9시에는 [[라오스]]까지 진출하였다가, 동북동진하며 다시 [[남중국해]]로 진출하였으나 급약화되어서, 추가 발달 없이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3일]] 21시에 [[베트남]] [[다낭]] 북동쪽 약 135 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98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ref>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베트남]] [[다낭]] 서북서쪽 약 180 km 부근 육상([[라오스]] 사보나헷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ref> 가지키는 하룻동안 활동했다. 가지키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 중 [[황새치자리]]를 의미한다. 가지키는 하루만에 활동했다.
{{-}}
 
줄 509 ⟶ 519:
|최대강풍반경(KMA)=240
|태풍 사망자=3명 사망<br>피해총액 81억 2,000만 달러}}
2019년 '''제15호 태풍 파사이(FAXAI)'''는 [[9월 5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80 km(북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북동쪽 약 1,36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며 건조역으로 인해 천천히 발달하다가 [[일본]] [[혼슈]] 상륙 직전에 북동진으로 전향하며 급발달해서 [[9월 8일]] 21시에 [[일본]] [[도쿄]] 남남서쪽 약 19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5 hPa, 최대풍속 44 m/s, 강풍 반경 280 km(동쪽 반경)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빠르게 북동진하며 [[도쿄 만]]을 가로질러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9월 9일]] 5시에 최성기 세력에서 다소 약화된 중심기압 960 hPa, 최대풍속 41 m/s, 강풍 반경 220 km(남동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소형'의 태풍으로 [[일본]] [[지바현]] [[지바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지바현]] 관통 이후 빠르게 북동~동북동진하면서 [[일본]] 동쪽 해상에 진출하였고,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9월 10일]] 15시에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94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4 hPa) 태풍 파사이로 인해 [[일본]] [[지바현]] [[지바시]] 공식 관측소에서 [[9월 9일]] 4시 28분에 순간최대풍속 57.5 m/s를 기록하였다.

파사이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숙녀의 이름이다. 결국 파사이는 일본 기상청에일본기상청에 의해 제명되었다.

이 태풍은 [[지바현]]을 중심으로 큰 피해를 가져왔다. 그래서 [[일본 기상청]]은 이 태풍을 "'''레이와 원년 보소반도 태풍''' (令和元年房総半島台風)" 라고 명명했다.<ref>{{웹 인용|url=https://tenki.jp/forecaster/t_yoshida/2020/02/19/7534.html|제목=令和元年房総半島台風、令和元年東日本台風と命名(日直予報士)|언어=ja|확인날짜=2020-09-26}}</ref><ref>{{웹 인용|url=https://www.jma.go.jp/jma/press/2002/19a/20200219_typhoonname.html|제목=令和元年に顕著な災害をもたらした台風の名称について|성=|이름=|날짜=気象庁|報道発表資料|웹사이트=|출판사=|언어=JA|확인날짜=2020-09-26}}</ref>
 
파사이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숙녀의 이름이다.
{{-}}
 
줄 528 ⟶ 542:
|최대강풍반경(KMA)=250
}}
2019년 '''제16호 태풍 페이파(PEIPAH)'''는 [[9월 15일]] 21시에 중심기압 1000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80 km(동쪽 반경),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북동쪽 약 57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서~북북서진하다가 높은 연직 시어로 인해 약화되어서, [[9월 16일]] 21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22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 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페이파는 [[일본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애완용 물고기의 한 종류이다. 작년 9월 16일 낮에 북서에서 북북서 방향으로 이동했다.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에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2018년의 제23호23호 태풍 바리자트처럼 얼마 못 가 소멸했다. 페이파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애완용 물고기의 한 종류이다.
{{-}}
 
=== 제17호 태풍 타파 * ===
{{태풍 정보 (소)
|태풍이름=타파
줄 547 ⟶ 561:
|최대강풍반경(KMA)=360
|태풍 사망자=3명 사망<br>피해총액 790만 달러}}
2019년 '''제17호 태풍 타파(TAPAH)'''는 [[9월 19일]] 15시에 중심기압 994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500 km, 크기 '대형'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47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며 천천히 발달해서 [[9월 21일]] 9시에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2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 hPa, 최대풍속 33 m/s, 강풍 반경 650 km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며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을 통과하고, [[동중국해]]에 진출한 뒤 북위 29도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였다. 전향한 뒤 북북동진하면서 [[9월 22일]] 6시에 [[대한민국]] [[제주도]] [[서귀포]] 남쪽 약 330 km 부근 해상에 위치하였고, 중심기압 970 hPa, 최대풍속 33 m/s, 강풍 반경 560 km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의 태풍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기상청]]에 따르면 제주 일부에는 시간당 30 mm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다고 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joins.com/article/23583225|제목=태풍 타파 제주도 접근…700 mm '물폭탄'에 산사태·침수 우려|성=강찬수|이름=|날짜=2019-09-22|뉴스=|출판사=중앙일보|확인날짜=2019-09-22}}</ref> 그리고 [[9월 22일]] 18시에 중심기압 975 hPa, 최대풍속 31 m/s, 강풍 반경 650 km(남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대형'의 강한 열대 폭풍(세력은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대한민국]] [[제주도]] [[서귀포]] 동쪽 약 150 km 부근 해상에서 [[제주도]]에 최근접했고, [[9월 22일]] 22시에 중심기압 980 hPa, 최대풍속 31 m/s, 강풍 반경 650 km(남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대형'의 강한 열대 폭풍(세력은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동쪽 약 95 km 부근 해상([[대한해협]])에서 [[부산광역시]]에 최근접하였다. [[대한해협]]을 통과한 이후 [[동해]]상에서 빠른 속도로 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9월 23일]] 9시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 동북동쪽 약 27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타파로 인해 [[2019년]] [[9월 22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일강수량이 262.5 mm를 기록하였고, [[2019년]] [[9월 22일]] 18시 28분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순간최대풍속 42.2 m/s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태풍 타파는 한국 기상청과 일본 기상청 기준으론 강한 태풍급에 속하는데, 미국 기준으론 1등급 태풍에열대폭풍에 속한다. 타파는 한반도에 상륙하지 않았지만 대형의 크기라서 한반도는 타파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타파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메기]]과의 [[민물고기]]이다. 타파는 한반도에 상륙하지 않았지만 대형의 크기라서 한반도는 타파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
 
=== 제18호 태풍 미탁 * ===
{{본문|태풍 미탁 (2019년)}}
{{태풍 정보 (소)
줄 566 ⟶ 580:
|최대강풍반경(KMA)=330
|태풍 사망자=22명 사망<br>피해총액 8억 1,600만 달러}}
2019년 '''제18호 태풍 미탁(MITAG)'''은 [[9월 28일]] 9시에 중심기압 1002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390 km, 크기 '중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1,21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하며 [[9월 30일]] 20시 35분에 [[일본]] [[요나구니 섬]]을 통과한 뒤 [[9월 30일]] 21시에 [[중화민국]] [[타이베이]] 동남동쪽 약 15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 hPa, 최대풍속 39 m/s, 강풍 반경 500 km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북진하면서 [[동중국해]]에 진출 한 뒤 진로가 많이 서편한 상태로 [[10월 1일]] 15시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타이저우 시]] 동쪽 해상을 상당히 근접해서 지났고, [[10월 1일]] 21시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저우산 시]] 동쪽 해상을 상당히 근접해서 지나가면서 중국 육지와의 마찰로 인해 중심기압 980 hPa, 최대풍속 31 m/s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급약화되었다.<ref>중국 기상청은 [[10월 1일]] 21시 30분경에 태풍 미탁이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 [[저우산 시]]에 상륙하였다고 해석하기도 했다.</ref> 그리고 급약화 된 이후 북위 29도에서 서서히 북동진으로 전향하기 시작하였다. 북위 30도를 넘어가며 빠른 속도로 북동진하면서 [[10월 2일]] 15시에 중심기압 985 hPa, 최대풍속 25 m/s, 강풍 반경 440 km(동쪽 반경)의 세력 '중', 크기 '중형'의 강한 열대 폭풍(세력은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 [[대한민국]] [[제주도]] [[서귀포]] 서쪽 약 170km 부근 해상에서 [[제주도]]에 최근접하였다. [[제주도]] 최근접 이후 빠르게 북북동진하며, [[10월 2일]] 21시 40분에 중심기압 990 hPa, 최대풍속 23 m/s(한국 기상청 해석은 중심기압 985 hPa, 최대풍속 24 m/s), 강풍 반경 440 km(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남쪽 약 30 km 부근 육상(북위 34.5도, 동경 126.5도, [[전라남도]] [[해남군]] 육상)에 상륙하였다.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에 상륙한 이후 [[10월 3일]] 0시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부근 육상을 중심기압 990 hPa, 최대풍속 23 m/s, 강풍 반경 440 km(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의 세력(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통과하였고, [[10월 3일]] 3시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고령군]]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 hPa, 최대풍속 21 m/s, 강풍 반경 440 km(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으로 더 약화되었다. 계속 북동진해서 [[10월 3일]] 6시에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을 통과하였다.(진로와 세력 모두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을 통과한 뒤 북동진하며 [[10월 3일]] 9시에 중심기압 992 hPa, 최대풍속 21 m/s, 강풍 반경 390 km(동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의 세력으로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북서쪽 약 57 km 부근 해상([[동해]])에 진출한 뒤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3일]] 12시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북북서쪽 약 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3일]] 15시에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북동쪽 약 58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8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미탁의 중심이 통과한 [[일본]] [[요나구니 섬]]에서는 [[9월 30일]] 18시 39분에 순간최대풍속 42.2m/s를 기록하였고, [[9월 30일]] 20시 31분에 최저해면기압 965.2 hPa을 기록하였다. 태풍 미탁의 중심 부근에 들어간 [[일본]] [[이시가키 섬]]에서는 [[9월 30일]] 19시 23분에 순간최대풍속 43.2 m/s를 기록했다.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2019년]] [[10월 2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의 일강수량이 332.9 mm를 기록하며 10월 역대 최다 일강수량 기록을 경신하였다. 타파와 달리 미탁은 한반도에 상륙해 내륙을 관통했다. 미탁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의 이름이다. 타파와 달리 미탁은 한반도에 상륙해 내륙을 관통했다.
{{-}}
 
=== 제19호 태풍 하기비스 * ===
{{본문|태풍 하기비스 (2019년)}}
{{태풍 정보 (소)
줄 590 ⟶ 604:
[[10월 12일]] 새벽에 북위 30도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빠른 속도로 북~북북동진하며 급약화되어서 [[10월 12일]] 19시에 중심기압 955 hPa, 최대풍속 41 m/s(한국 기상청 해석은 중심기압 950 hPa, 최대풍속 43 m/s), 강풍 반경 650 km(동쪽 반경)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의 태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시]]에 상륙한 이후로는 빠르게 북동~북북동진하며 [[일본]] [[간토 지방]]을 관통했고, [[10월 13일]] 1시에는 중심기압 970 hPa, 최대풍속 33 m/s, 강풍 반경 600km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의 태풍(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남서쪽 약 11 km 부근 육상([[일본]]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북위 37.3도, 동경 140.9도)을 통과하였다.
[[후쿠시마현]] 통과 뒤 [[10월 13일]] 2시에 북서태평양으로 진출한 이후에는 빠르게 북동~북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3일]] 9시에 [[일본]] [[삿포로]] 남동쪽 약 44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13일]] 12시에 [[일본]] [[삿포로]] 남동쪽 약 519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ref name= '일본 기상청'/>.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공식 관측소에서 [[10월 12일]] 20시 32분에 순간최대풍속 43.8 m/s를 기록했고, [[일본]] [[도쿄]] 공식 관측소에서 [[10월 12일]] 21시 14분에 순간최대풍속 41.5 m/s를 기록했다. [[일본]] [[가나가와현]] [[하코네]]에서는 [[2019년]] [[10월 12일]] 일강수량이 922.5 mm가 기록되었다. 일본에 큰 영향을 주어 제명되었다. 하기비스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빠름을 의미한다. 하기비스는 일본에 극심한 피해를 남겼기 때문에 제명되었다.
{{-}}
 
줄 626 ⟶ 640:
|최대강풍반경(KMA)=400
}}
2019년 '''제21호 태풍 부알로이(BUALOI)'''는 [[10월 19일]] 21시에 중심기압 1000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150 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남동쪽 약 1,05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하며, [[10월 22일]] 새벽에 [[사이판]]에 근접해서 통과한 뒤 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0월 22일]] 21시에 [[미국]] [[괌]] 북북서쪽 약 65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 hPa, 최대풍속 51 m/s, 강풍 반경 330 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중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높은 연직시어로 인해 서서히 약화되었고, 북위 27도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하는 과정에서 [[10월 24일]] 10시에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에 속한 [[일본]] [[도쿄도]] [[오가사와라촌]] [[지치지마 섬]] 남서쪽 약 21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0 hPa, 최대풍속 46 m/s, 강풍 반경 280 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의 세력으로 [[일본]] [[도쿄도]] [[오가사와라촌]] [[지치지마 섬]]에 최근접하였다.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를 통과한 이후에는 빠르게 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5일]] 21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93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4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5일]] 21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940 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ref name= '일본 기상청'/> 태풍 부알로이로 인해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에 속한 [[일본]] [[도쿄도]] [[오가사와라촌]] [[지치지마 섬]]의 공식 관측소에서 [[10월 24일]] 9시 20분에 순간최대풍속 52.7 m/s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2020년 사후해석으로 부알로이의 세력이 4등급에서 5등급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부알로이는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태국]]의 [[디저트]]의 한 종류이다.
그리고 2020년 사후해석으로 부알로이의 세력이 4등급에서 5등급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
 
줄 721 ⟶ 736:
{{-}}
 
=== 제27호 태풍 풍웡 * ===
{{태풍 정보 (소)
|종류=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