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Ygbest1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2번째 줄:
[[유관 (해부학)|유관]]을 따라 모유를 분비하는 입방세포가 줄지어 있고, [[근상피세포]]가 입방세포들을 둘러싼 꽈리 형태를 하고 있다. 이 꽈리들은 여러 개가 모여 각각의 [[엽]]을 이루고, 엽의 중심이 되는 유관을 따라 젖이 [[유두]]의 출구로 내보진다. 근상피세포가 [[옥시토신]]의 자극을 받아 수축하면 꽈리에 저장되어있던 모유가 분출된다. 모유가 유두 밖으로 나가기 전에는 유두 안쪽에 있는 유관동에 모인다. 아기가 빨기 시작하면 옥시토신 반응에 의해 "[[사출반사]]"가 일어나고 어머니의 모유가 분출되어 아기가 빨아먹을 수 있게 된다.
 
== 유방의 성장 ==
주 메뉴 열기
위키백과
검색
숨기기
동유럽 에디터톤이 1월 29일부터 2월 26일까지 진행됩니다.
"유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 이전 편집다음 편집 →
유방 (편집)
2022년 1월 13일 (목) 23:01 판
2,063 바이트 추가됨, 20일 전
편집 요약 없음
== 유방의 성장 ==
유방은 2차 성징의 영향으로 12~13세 경부터 발달하기 시작한다. 점점 젖꼭지와 가슴이 커지기 시작한다.
.발달 초기의 유방은 살짝 봉긋해지며 성장으로 인한 통증을 수반한다.
14세 (중학교 1학년)까지는 개인차에 따른 성장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브래지어 착용이 필요한 시점이나 개인에 따라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다분하다<gallery
</gallery>15세에 이르면 유방이 어느정도 부풀어 오르며 유륜또한 발달한게 눈에 띄게 나타난다.
15~16세 무렵 소녀들의 유방은 겉으로 보기엔 성인과 유사한 정도까지 발육한다.
이 무렵의 가슴 크기가 보통 성인까지 이어지므로 건강한 가슴 성장을 위한 생활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
브래지어의 선택 또한 중요한데 건강한 유방을 만들기 위해 가슴 성장 정도에 따른
성장기 전용 브래지어를 착용하여야 한다.
크기가 커졌더라도 성장은 여전히 진행중으로 유방의 형태가 위와 같이 덜 발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gallery>유방은 17~18세 무렵 성장을 마친다. 유방의 형태가 성숙해지며 크기또한 성인 수준으로 발달한다.
유두와 유륜의 색깔은 보통 연분홍빛을 띄나 성경험과 무관하게 개인차에 따라 어두운 색을 띄기도 한다.
F컵의 유방은 500ml 생수병을 양가슴에 매고다니는것과 비슷한 무게이다
<gallery>
파일:2차성징의 발현 가슴성장 15세.jpg|15세 (성장중기)
파일:2차성징의 발현 가슴성장 15세2.jpg|16세 (성장중기)
파일:2차성징의 발현 가슴성장 16세 2.jpg|16세 (성장중기)
파일:2차성징의 발현 가슴성장 18세 2.jpg|17세 (성장말기)
파일:2차성징의 발현 가슴성장 18세.jpg|18세 (성장말기)
파일:2차성징의 발현 브래지어를 착용한 17세.jpg|성숙한 유방과 브래지어 착용
</gallery>유방은 17~18세 무렵 성장을 마친다. 유방의 형태가 성숙해지며 크기또한 성인 수준으로 발달한다.
== 유방 질환 ==
익명 사용자
118.223.12.165
위키백과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 약관데스크톱
 
== 유방 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