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ie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nl:Schaap (dier)
Smartar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다른 뜻}}
 
{{생물 분류
|이름=양
줄 17 ⟶ 15:
}}
 
'''양'''(羊)은 소과의소과에 동물로,속하며 학명은 Ovis vignei 이다. 소과에 속하며 학명은 Ovis vignei 이다. 기원전 8000-6000년경에 서아시아에서 가축화가 시작되어 현재는 품종이 1000여 종에 이른다. 양의 사육 목적은 털([[양모]])·[[고기]]·젖·모피 등으로 나누어진다.
 
== 양의 몸 ==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대형인 것은 몸길이가 수컷이 1.2m, 암컷이 90-100cm이고, 어깨높이는 수컷이 1m, 암컷이 90-100cm, 몸무게는 수컷이 115kg, 암컷이 95kg 정도이다. 양은 외양이 염소와 비슷하지만 실은 염소와 다른 점이 많다. 양은 수염소처럼 수염이 없고, 독특한 냄새도 나지 않는다. 양은 발가락 사이에 분비선이 있는데, 염소는 없다. 수양의 뿔은 항상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뿔은 암수 모두 없는 것, 암수 모두 있는 것, 수컷에만 있는 것 등 여러 가지인데, 대개 수컷의 뿔이 크다. 주둥이는 좁고 털이 있다. 꼬리는 야생종은 짧고 가축인 양은 길며, 꼬리가 굵어 지방을 저장하는 품종도 있다. 양은 두 갈래로 갈라진 발굽으로 걷는다. 발목은 날씬하지만, 넓적다리는 근육이 많아서 빠르고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앞니와 송곳니는 아래턱에만 8개 있고 위턱에는 없다. 위아래 턱의 뒤쪽에 어금니가 6개 있다. 털 한 개의 표면은 작고 예리한 비늘이 빽빽이 늘어서 있어 압축하면 서로 얽혀서 [[펠트]](felt)가 된다. 털 한 가닥의 굵기는 품질이 좋은 레스터가 약 1/500cm, 잭슨메리노가 약 1/2,000cm 정도이다. 빛깔은 흰색·검은색·갈색·적갈색·얼룩무늬 등이 있다.
 
==양의 생활==
무리를 이루어 살며, 높은 곳에 오르기를 좋아한다. 성질은 온순하며, 풀·나뭇잎·나무껍질 등의 식물질을 먹는다. 1년에 1회, 가을철에 교미기가 돌아오는데 이 시기에 암컷은 17일을 주기로 발정기를 맞는다. 임신기간은 152일 정도이다. 봄철에 한배에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낳은 새끼는 눈을 뜨고 양모상의 털이 있으며, 얼마 후 일어선다. 처음에는 어미의 젖만 먹지만 생후 1개월이 되면 먹이를 먹고, 3-4개월이 되면 젖을 뗀다. 두 살이 되면 출산이 가능하고, 수명은 7-10년 정도이다.
 
==야생의 양==
야생의 양은 활기차며 용기가 있고 독립적이다. 겨울의 무서운 폭풍도 겁내지 않고, 높은 산에도 오른다. 이들은 북반구에 있는 산맥과 고원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야생의 양은 [[무플런]]·[[아르갈리]]·[[비그혼]] 등이 대표적인데, '''무플런'''은 몸높이가 70cm 정도이다. 수컷의 뿔은 크고 나선 모양으로 꼬여 있고 암컷은 뿔이 없거나 있어도 매우 작다. [[사르데냐]], 아시아의 [[카프카스]], [[인도]] 등지에 걸쳐서 야생한다. [[아르갈리]]는 대형으로 몸높이가 120cm 정도이다. [[몽고]]·[[중국]]·북부·[[네팔]] 등지에 걸쳐서 분포한다. '''비그혼'''은 [[고산지대]]의 야생종으로 어깨 높이는 95cm 정도이다.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까지 분포한다.
 
==가축의 양==
가축양은 야생 양을 오랜 기간에 걸쳐 사람들의 필요에 맞게 개량한 것이다. 처음엔 가죽과 젖을 얻기 위해 야생양을 사육했고, 점차 짐 운반용으로 쓰기도 했다. 예로부터 양털은 중요하게 인식되었는데, 품종개량으로 야생 양의 거친 겉털은 오늘날의 부드러운 양털로 바뀌었다. 최근 200년 동안에는 주로 좋은 고기를 얻기 위해서 품종을 개량했는데, 오늘날에는 전세계에 800여 가지의 품종과 변종이 있다.
 
==양과 사람==
오늘날 전세계 모든 나라에서 양을 사육하고 있는데, [[오스트레일리아]]가 양축산업의 선두 국가이다. 양에서는 털·고기·가죽과 접착제·기름·비누·비료·화장품 및 테니스 라켓용 줄의 원료, 재료를 얻는다. 특히 양털은 모직물·편물용 털실·이불 등을 만드는 데 이용한다. 양털은 다른 섬유에 비해 습기를 빨아들이는 힘이 강하고 곱슬기가 있어 탄력성이 좋다. 나일론이나 면에 비해 불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양털로 짠 옷은 보온성이 우수하여 겨울철 추위를 막는 힘이 강하다. 양고기는 섬유질이 가늘고 고기의 질이 연하여 소화가 잘 된다. 어린양의 고기는 맛이 좋다. 특히 생후 1년 미만인 것을 [[램]](lamb)이라 하여 [[유럽]]과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고급식품으로 취급하고 있다.
 
== 양의 품종 ==
줄 32 ⟶ 45:
* [[별자리]]에서 [[양자리]]는 [[황도대#황도대의 별자리|황도 십이궁]]의 하나이다.
* [[성경]]에서 양은 [[제사]]용 희생으로 사용되었으며, 종종 온순하고 어리석은 백성에 비유되었다.
 
== 축산 ==
* 양모는 울({{lang|en|wool}})이라 불리며 [[옷]]을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 [[이슬람]]·[[유대교]] 문화권에서는 [[토라|율법]]으로 [[돼지]] 고기를 금하기 때문에 양고기를 이용한 음식이 발달하였다.
* 양의 젖으로 [[치즈]]를 만들기도 한다.
 
{{글로벌세계대백과}}
 
{{commons|Ovis aries}}
{{글로벌세계대백과}}
{{토막글|포유류}}
 
{{Link FA|he}}
{{Link FA|ca}}
{{Link FA|en}}
 
[[분류:소목]]
[[분류:소과]]
[[분류:가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