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ㅋㅋㄹㅃㅃ
태그: 되돌려진 기여 한글 자모가 포함된 편집 요약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3번째 줄:
{{중립 필요|날짜=2019-12-3}}
'''경제개발 5개년 계획'''(經濟開發五個年計劃)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62년부터 1996년까지 총 7차에 걸쳐 실행된 경제 발전 계획을 말한다. 4차부터 경제사회개발이라 수정되었고, 5차부터는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經濟社會發展五個年計劃)(1981~1996)으로 명칭이 바뀌어 진행되었다한다.<ref name="글로벌_1">통상·산업/한국의 산업경제/한국경제의 전개과정/광복 이후,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전개 ==
장면내각 당시 Caharles Jr Wolf박사가 The Oregon Advisory Group in korea (1961)를 통해 도움을 주었고 각개 전문가가 참여하여 만들어진 5개년 계획은 5.16 이후 부흥부의 새 명칭인 건설부의 이름 아래 시안으로서 발표되는데 이는 장면내각 부흥부 산하 산업개발위원회에서 만들어왔던 것이기 때문에 장면내각의 정책적 방향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ref>박태균,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시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ref> 이는 불균형성장론 채택과 계량적 기법 도입을 최초로 하였다는 점에서 박정희 정부 노선의 시초가 된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는 유원식을 앞세워 독자적인 종합경제재건계획안을 내놓거나 최고회의를 통해 계획을 수정하는 등 1차산업 증산 및 1차 산품 수출 증대에 따른 외화 조달, 내포적공업화 노선 채택을 시도하나, 미국의 원조 중단 위협 끝에 종합제철소 계획 백지화, 재정안정계획의 복원 등을 하면서 공산품 수출지향의 노선으로 회귀해 [[1962년]] [[1월 13일]]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1962년에 시작되어 [[1997년]] 폐지될 때까지 총 7회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단행되었다.
 
{| width="450px"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5px;"
|- style="background-color: #cccccc;"
! 명칭
! 시작 년도
! 종료 년도
! 비고
|-
|align=center|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1962년]] [[1월 13일]] || [[1966년]] || 경공업 중심
|-
|align=center|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1967년]] || [[1971년]] || 중공업 중심
|-
|align=center|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1972년]] || [[1976년]] || 중화학 중심
|-
|align=center|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1977년]] || [[1981년]] || 자력성장(목표)
|-
|align=center|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 [[1982년]] || [[1986년]] || -
|-
|align=center|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 [[1987년]] || [[1991년]] || -
|-
|align=center|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 [[1992년]] || [[1996년]] || -
|-
|}
 
== 성과 및 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