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21.166.176.41(토론)의 32930022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에 감사드리지만, IP님의 편집은 중립성에 어긋나 되돌리게 되었습니다. 위키백과의 내용은 중립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어느 나라나 개인의 견해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선 안됩니다. IP님의 편집은 IP분 자신의 견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더 질문할 것이 있다면 제 사용자토론으로 연락해주세요. (mobileUndo v2.0.0)
태그: 편집 취소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30번째 줄:
}}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의 수도였던 [[서울]]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이다. 흔히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ref>[https://www.google.com/trends/explore#q=%EC%88%AD%EB%A1%80%EB%AC%B8%2C%20%EB%82%A8%EB%8C%80%EB%AC%B8&cmpt=q&tz=Etc%2FGMT-9 구글 트렌드] 숭례문과 남대문의 관심도 변화 비교 그래프. 2016년 3월 21일 확인.</ref> 남대문이라는 명칭을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붙인 이름이므로것이라는 그렇게설<ref>{{뉴스 불러서는인용|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921066203&cp=nv|제목=우리역사 안된다잘못된 상식 바로잡기|날짜=2008-10-17|출판사=국민일보|확인날짜=2010-02-11}}{{깨진 링크|url=http://news.남대문은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921066203&cp=nv }}</ref>이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숭례문을 남대문이라 칭한 기사가 다수 실려 있다.<ref group="주">《태조실록》에는 홍화문은 속칭 동소문(東小門), 흥인문은 속칭 동대문(東大門), 광희문은 속칭 수구문(水口門), 일본이숭례문은 만든속칭 이름으로남대문(南大門), 우리소덕문은 조상이속칭 지은서소문(西小門)이라 이름인하였다고 숭례문이라고적혀 써야된다있다.</ref> 서울 4대문 및 [[보신각]](普信閣)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仁: 동), 의(義: 서), 례(禮: 남), 지(智: 북), 신(信: 중앙)의 5덕(五德)을 표현한 것이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ref>{{서적 인용|제목 = 다시찾는 우리역사|저자 = 한영우|페이지 = 277|인용문 = 숭례문은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로써 610년의 역사를 자랑하였다.}}</ref> 숭례문의 편액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설이 많다. [[1396년]]([[조선 태조|태조]] 5년)에 [[최유경]]의 지휘로 축성하였다.<ref name="1396축성">[http://sillok.history.go.kr/id/kaa_10509024_002 《태조실록》] 태조 10권 5년 9월 24일. 2번째 기사. 성 쌓는 일이 끝나자 인부들을 돌려 보내다. 각 문의 이름 ,[https://ko.wikisource.org/wiki/%ED%83%9C%EC%A1%B0%EA%B0%95%ED%97%8C%EB%8C%80%EC%99%95%EC%8B%A4%EB%A1%9D/5%EB%85%84#.EC.84.B1_.EC.8C.93.EB.8A.94_.EC.9D.BC.EC.9D.B4_.EB.81.9D.EB.82.98.EC.9E.90_.EC.9D.B8.EB.B6.80.EB.93.A4.EC.9D.84_.EB.8F.8C.EB.A0.A4_.EB.B3.B4.EB.82.B4.EB.8B.A4._.EA.B0.81_.EB.AC.B8.EC.9D.98_.EC.9D.B4.EB.A6.84 〈위키문헌〉]</ref><ref name=":0">1396년 상량문, “洪武二十玖年丙子十月初六日 判事嘉靖大夫中樞院使崔有慶 正 憲大夫全羅道觀察黜陟使李茂 推忠翊戴開國功臣資憲大夫完山府尹孫 興宗 副判事前嘉善大夫開城府尹李之浩 前嘉善大夫戶曹典書石崇 使 前中直大夫司僕卿尹乙休 副使前司僕少卿景廉 判官前中郞將張仁哲 前中直大夫司僕卿朴理 前書雲副正張璡 前中郞將權乙奇 司損司直兪 英俊 前中郞將金建 前中郞將鄭壽山 前中郞將崔興國 前中郞將任富 前中郞將金渚 前中郞將金允甫 前中郞將庚鼇山 常務錄事 都評議錄 事前別將孫興夏 都評議錄事前別將張籍 別監役 前南部令朴貴生 石 手 某主 ○○ 鄭化 ○○…○賢布 富議 ○同…○天湜 金豆彦 王 持…○○ 軍人 全羅道完山府 任領內 合陸仟捌伯拾柒名” 『韓國古建築上樑記文集』(考古美術同人會, 1964) 7~8쪽</ref> [[1447년]]([[세종대왕|세종]] 29년)과 [[1479년]]([[조선 성종|성종]] 10년) 고쳐 지었다.<ref name="cha.go.kr">{{웹 인용
|url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010000,11&flag=Y
|제목 = 문화재청 - 숭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