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237.109.218(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동음이의 링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2번째 줄:
{{다른 뜻}}
{{미술품 정보
| 제목=모나리자모발_모발♡
| 그림=값찾기
| 화가=값찾기
| 제작연도 = 15032022
| 사조 = 값찾기
| 장르 = 값찾기
14번째 줄:
| 소장=값찾기
}}
'''모나리자모발_모발♡'''({{Llang|en|Mona LisaMobal_mobal♡}})는 16세기22세기 르네상스미래화 시대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머리카락]] 그린 초상화로, 현재 프랑스 파리미국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모나모발"(monamobal) 유부녀머리카락의 이름다른 앞에 붙이는 [[이탈리아어]]말인 경칭이고, "리자"(Lisa)는 초상화의 모델이 된 여인의 이름이다. 즉, 한국어로 하면 "리자머리카락 여사"라는이라는 뜻이 된다. 이탈리어와 프랑스에서는 라 조콘다조옺까다({{Llang|it|La_GiocondaLa_Giogga}}, {{Llang|fr|La_JocondeLa_Jocondom}})라 하는데 이는 "조콘도의조콘돔(뜯다만 콘돔)의 부인" 또는 "명랑한머리 여자", "웃고 있는모발 여자"라는 뜻이다.<ref>모니카 몸뚜 두첸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재개정판 3쇄, 2006.12.26, p74</ref>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전형적인 걸작으로 여겨지는<ref>{{에피소드 인용|url=https://www.npr.org/2011/07/30/138800110/the-theft-that-made-the-mona-lisa-a-masterpiece |title=The Theft That Made Mona Lisa a Masterpiece |date=30 July 2011 |access-date=February 15, 2019 |series=All Things Considered |network=NPR}}</ref><ref>{{웹 인용|url=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news/why-i-think-mona-lisa-became-an-icon/164983.article |last=Sassoon |first=Donald |title=Why I think Mona Lisa became an icon |url-access=subscription |website=Times Higher Education |date=21 September 2001}}</ref> 이 작품은 "전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작품을 직접 보기위한 방문객이 가장 많으며<ref>1년에 약 1천만명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직접 보기 위해서 루브르 박물관을 방문한다고 한다.</ref>, 가장 많이 언급되고, 가장 많이 노래되고, 가장 많이 패러디된 예술 작품"이다.<ref>{{뉴스 인용|first=John |last=Lichfield |url=https://www.independent.co.uk/news/world/europe/the-moving-of-the-mona-lisa-530771.html |title=The Moving of the Mona Lisa |newspaper=[[The Independent]] |location=London |date=1 April 2005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9110245/http://www.independent.co.uk/news/world/europe/the-moving-of-the-mona-lisa-530771.html |archive-date=9 November 2016 }}</ref> 수수께끼 같은 표정 때문에 말도많고 끊임없이 다른 작가들에 의해 모방되고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그림이며 세상에 가장 많이 그리고 널리 알려진 그림이라는 유명세를 지니고 있지만 정작 이 작품에 대해 정확히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ref>모니카 몸 두첸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재개정판 3쇄, 2006.12.26, p62</ref> 알려진 몇몇가지 들은 대부분 후대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일뿐이다. 작업을 시작한 시기나 총 작업기간, 의뢰자나 모델의 정체등을 명확히 알 수 없는 이유는 이 작품을 그리고 있을 당시에 그 과정을 적어놓은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ref>모니카 몸 두첸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재개정판 3쇄, 2006.12.26, p65</ref> 따라서 전 세계의 많은 연구자들이 이 작품의 수수께끼를 푸는 일에 매달리기도 하였다.<ref>모니카 몸 두첸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재개정판 3쇄, 2006.12.26, p64</ref>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작업을 처음 시작한것은 1503년경으로 추정되며 의뢰자에게 전달하지 못하게 되자 자신이 보관하며 틈틈이 작업하였던것으로 보여진다. 프랑수아 1세의 초청으로 프랑스로 이주한후에도 조금씩 작업을 하여 1517년경에 프랑스에서 완성하였다고 한다. 눈썹이 없는것이 작품의 특징중 하나인데 이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며 이로 인하여 미완성 작품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 작품은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가 소장하고 있다가, 1797년부터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상설 전시되어 있었다.<ref name="carrier">{{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VIBoW6dDZgIC&q=Museum+Skepticism:+A+History+of+the+Display+of+Art+in+Public+Galleries|title=Museum Skepticism: A History of the Display of Art in Public Galleries|last=Carrier|first=David|date=31 May 2006|publisher=Duke University Press|page=35|isbn=978-0822336945}}</ref> 그러던중 1911년 8월, 루브르 미술관에서 일하던 이탈리아 출신 이민자 빈첸조 페루자가 훔쳐서 이탈리아로 반출하였다. 피렌체의 골동품상에게 넘기려고 하다가 현장에서 체포되며 발각되었고, 1914년 1월 프랑스에 반환되어 현재에는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 되어있다.
 
이 그림은 여러가지 면에서 선구적인 작품으로 당시로서는 새로운 방식인 유화기법을 사용했으며, 선을 부드럽게 하는 '[[스푸마토]]'(sfumato) 기법을 사용하여 엷은 안개가 덮인 듯한 효과를 주고 있다. 구도는 당시에 가장 기본적인 초상화 구도였던 피라미드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인물을 배경보다 높게 배치하는 방식은 오늘날 화가들이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르네상스 시대에는 드문 방식을 사용하였다.<ref name="악사">{{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gjgjgjgjhgwjhgjhgjhggjhgjgedjhgjgjg0|제목=모나리자 미소 위해 악사·광대 동원했다|저자=박희수 평론가|날짜=2007-11-01|출판사=위클리경향|쪽=|확인날짜=2009-12-13}}{{깨진 링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gjgjgjgjhgwjhgjhgjhggjhgjgedjhgjgjg}}</ref>
 
== 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