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병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복무기간에 따른 시행 국가: 나중에 따로 징병제 문단 만들겠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04번째 줄:
* {{국기나라|쿠바}}
* {{국기나라|튀니지}}
 
== 복무기간에 따른 시행 국가 ==
 
=== 1년 이하 ===
* {{국기나라|그리스}}: 1년.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대체복무도 동일, [[예비군]]은 없다. 2004년부터 미필자 중 35세 이상은 8,505 [[유로]](한화 약 1,300만 원)을 납세하면 면제된다. 자원입대는 17세부터 가능하며, 19~45세 대상은 징병대상이다. 과거 육군은 9개월, 해군과 공군은 1년이었지만, 2021년 3월 육.해.공군 모두 1년으로 조정하였다.
* {{국기나라|러시아}}: 1년. 징모혼합제로 징병대상자가 적다. 군인들의 인권 유린문제가 거론되면서 향후 폐지가 거론되고 있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재임 기간에 1년 간의 복무기간을 유지하는 대신 [[병사 (군인 계급)|징집병]]을 전투에 투입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18~27세를 대상으로 징집되며, 17세부터 병적에 등록되어 [[예비군]]은 50세까지이다.<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rs.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31 |archive-date=2015-07-03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703195129/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rs.html |url-status=dead }}</ref> [[2020년]] 기준 군 병력의 90%를 [[모병제]]로 충원하였다. 대체복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기간은 24개월이다. 그 장소는 정부가 지정하는데, 교도소나, 건설현장, 의료·복지기관 등에 주로 배치된다.
* {{국기나라|멕시코}}: 1년. 선택적 징병제. 18세부터 징병된다. 신체검사 후 적격으로 판정된 인원 중 제비뽑기를 실시하여 검은 공을 뽑은 청년은 면제되고 흰 공을 뽑은 청년은 인근 부대에서 매주 [[토요일]] 하루만 근무하고 1년 후 종료.<ref>http://mma.go.kr/contents.do?mc=mma0000874&mc1=usr0000251&num=2</ref> 16세는 별도의 승인이 있어야 입대 가능하다. 여성도 직업군인으로 근무할 수 있다. 확률은 검은 공이 60%, 흰 공이 40%라고 한다.
* {{국기나라|몰도바}}: 1년. 18세부터 징병/모병된다. 16세의 [[남성]]은 병적에 등록해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md.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4-25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425182435/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md.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볼리비아}}: 1년. 18~49세를 대상으로 남녀 모두 1년 간 징병. 시민권 필요, 자원입대는 17세부터 가능.<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bl.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4-20 |archive-date=2018-12-25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225154232/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bl.html%20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브라질}}: 9개월 ~ 1년. 징집 대상자라 하더라도 연간 징집 인원이 초과되어 대부분이 병역의무를 면제받고 있다. 징집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객관적인 사유만 입증할 수 있으면 어렵지 않게 병역을 면제받을 수 있다. 브라질의 젊은이들 가운데는 징집 인원 초과로 병역을 면제받은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약 95% 이상이 면제받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mma.go.kr/contents.do?mc=mma0000876&mc1=usr0000251&num=2|제목=브라질의 병역제도 - 징병제 국가의 병역제도 - 외국의 병역제도 - 병무청 소개 - 병무청 소개 - 병무청|성=|이름=|날짜=|웹사이트=mma.go.kr|출판사=|확인날짜=}}</ref>
* {{국기나라|몽골}}: 1년. 군 병력 혹은 [[경찰]] 병력으로 징집된다. 몽골은 통합군으로서 육군, 공군 구별이 없으며 내륙국 특성상 해군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18~25세 대상으로 징병된다. 직업군인은 육군 기준 2.5%이며 여군은 해외로 파병될 수 없다. 한편 500[[투그릭]] 이상(한화 약 70만 원)의 병역세를 내면 면제받을 수 있다. 생업에 종사하는 사람, [[대학생]], 징병검사를 통한 심신 상태나 자질 문제가 있는 사람은 병역이 면제된다.
* {{국기나라|알제리}}: 1년.
* {{국기나라|우즈베키스탄}}: 1개월 ~ 1년, 남성에 한하여 징병. 입대가능자가 적어 경쟁률이 높다. 병역세로 복무기간을 대체하여 1개월까지 단축가능하다. 1달 당 복무값은 대략 180만 솜(환율로 대략 80만 원).<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uz.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4-30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430081626/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uz.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카타르}}: 18~35세를 대상으로 징병. 18∼35세 남성에게 4개월간, 대학원 졸업생의 경우 3개월.
* {{국기나라|튀르키예}}: 21~41세 남성을 대상으로 징병. 자원에 한하여는 18세. 4년제 대학 졸업자는 6개월 ~ 1년, 4년제 대학 미만은 1년 복무. 징병대상자는 20세 때 등록, 21세 때 복무한다. 여성은 육군 장교로만 복무 가능하다. 41세까지 [[예비군]]. 외국에서 유학하거나 취업한 27세 이상 남성은 18,000리라(약 896만원)를 내면 병역 의무가 면제된다.<ref>http://media.daum.net/v/20141203181410922</ref> 2020년대 안에 [[모병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 {{국기나라|튀니지}}: 1년. 자원입대는 18세, 징병은 20세부터 가능.
* {{국기나라|파라과이}}: 징병/모병 혼합. 육군은 1년, 해군은 2년. 18세부터 대상, 공군으로서의 모병은 22세 미만과 중등교육 이수 필요.<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pa.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4-20 |archive-date=2015-11-04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1104205444/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pa.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핀란드}}: 전투병은 병과에 따라 6개월/9개월/1년. 대체복무의 경우 1년. 이후 병 출신은 50세까지, 부사관 및 장교 출신은 60세까지 예비역의 의무가 있다.
 
=== 1년 ~ 18개월 ===
* {{국기나라|라오스}}: 1년 6개월.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징병.<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la.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10-12-2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29000748/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la.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베냉}}: 선택적 징병제. 남녀 모두 1년 6개월.
* {{국기나라|벨라루스}}: 1년 ~ 1년 6개월. 학력에 따라 다름. 18~27살 남성을 대상으로 징병.<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bo.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4-30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430160950/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bo.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에리트레아}}: 1년 4개월. 남녀 모두 징병. 18~40세 대상.
* {{국기나라|우크라이나}}: [[육군]] 및 [[공군]] 1년, [[해군]] 1년 6개월. 18~25세 대상.<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up.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31 |archive-date=2016-07-0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709035611/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up.html |url-status=dead }}</ref> [[빅토르 유셴코]]가 [[율리아 티모셴코]]의 징병제 폐지 법안을 통과시켜 [[2015년]] 이후 폐지할 계획이었지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었다.
* {{국기나라|이란}}: 1년 6개월. 징병은 19세부터 시행되며, 여성은 군에 입대할 수 없다. 한편 15세부터 [[동원예비군]], 16세부터 자원입대, 17세부터 [[의무경찰]]에 입대할 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ir.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5-18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8204512/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ir.html |url-status=dead }}</ref> 운동선수 중 올림픽 3위 이내, 세계선수권 2위 이내, 아시안게임 1위 달성자는 병역특례를 부여한다.
* {{국기나라|카보베르데}}: 1년 2개월. 선택적 징병제.
* {{국기나라|콜롬비아}}: 18~24세를 대상으로 징병 (중졸 이하 18~24개월, 고졸 12개월, 지원병 및 농업 종사자 12~18개월로 복무 기간에 차이가 있다.군 복무기간은 연금을 납부한 기간으로 인정해 준다고 한다. 기혼자, 성직자, 아버지가 사망해 생계를 책임지는 남성은 병역을 면제해준다.)
* {{국기나라|키르기스스탄}}: 1년 6개월.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징병.
* {{국기나라|키프로스}}: 18~50세 그리스 남성에 한하여 14개월. 대체복무 시 18개월.<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cy.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18-12-2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226020655/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cy.html |url-status=dead }}</ref>
 
=== 18개월 이상 ===
* {{국기나라|기니비사우}}: 2년. 18~25세 대상 선택적 징병제 실시. 공군은 지원제.<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pu.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10-12-28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1228200903/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pu.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니제르}}: 2년. 선택적 징병제 실시. 17~21세 대상, 니제르 시민권자이며 미혼인 자만 징병하고 있다. 여성은 간호분야에만 직업으로 근무 가능하다.
* {{국기나라|대한민국}}: 여성은 면제이며 군복무 기간은 18개월~3년(육군/해병대/의무경찰 18개월, 해군/의무소방 20개월, 공군/사회복무요원 21개월, [[양심적 병역거부자]](신앙 사유 한정)에 대한 대체역은 3년)이다. 정확히는 국군에서 징병권을 가지고 있는 군은 육군뿐이고 나머지 해군, 공군, 해병대는 지원해서 가야 하므로 사실상 징모혼합제에 가깝다.
{{본문|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종류별 복무 기간}}
* {{국기나라|리비아}}: 2년. 18세부터 징집 및 [[모병제|모집]]이 가능하다.<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ly.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4-20 |archive-date=2019-09-1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912232334/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ly.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말리}}: 2년. 18세 대상. 징모혼합제.
* {{국기나라|모잠비크}}: 2년. 선택적 징병제. 18~35세 대상. 직업군인도 18세부터 가능하며, 동시에 18세 이상 모든 남녀는 병적에 등록해야 한다.
* {{국기나라|버뮤다}}: 3년 2개월. [[복권]]식 선택적 징병제로 파트타임 복무. 심사를 거쳐 징병을 거부할 수 있음. 다만, [[영국]]의 식민지여서 군대는 없고, 이 때는 영국군에 징병된다.
* {{국기나라|베트남}}: 18~24개월. [[육군]]과 [[방공군]]은 1년 6개월, [[해군]]과 [[공군]]은 2년. 18~25세를 대상으로 징병한다. 선택적 징병제로, 징병 대상자가 비교적 적다. 다만 18~45세의 남성과 18~40세의 여성은 예비군과 자위군([[민방위]])로 복무해야 한다. 공부를 해야 하는 대학생은 증명서만 있으면 병역이 면제되며 사회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장애인이나 병약자, 가정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도 군대에 가지 않는다.<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cv.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8-3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831042056/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cv.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세네갈}}: 2년. 자원입대는 18세, 징병은 20세부터 시행함. 선택적 징병제. [[2008년]]부터 여자도 입대가능.<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sg.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8-3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831041253/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sg.html |url-status= }}</ref>
* {{국기나라|수단}}: 1~2년. 18~33세의 남녀 모두 징병된다. 징모혼합제이다.
* {{국기나라|싱가포르}}: 2년. 징병제. 입영연기 제도가 없다. [[도시국가]]인 이유로, 섬에서 받는 [[기초군사교육]]을 제외하면 출퇴근 근무가 가능하다. 적어도 주말에는 외박을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정 날짜에는 반드시 쉬어야 한다"는 종교의 교리에 따르는 병사는 해당일에 훈련을 받을 수 없는 경우 일단 열외시켰다가 다른 부대에서 동일한 훈련을 할 때 파견 형식으로 참가시킨다. 또한 훈련병은 36만 원, 이등병은 40만 원 가량을 받는다. 병역을 이행하지 않으면 [[공무원]]이 될 수 없고 공기업에도 취업할 수 없다. 18~21세 남성을 징집한다. 자원입대는 16세부터 가능하다. 특이하게 영주권자들도 징병 대상이 된다. [[예비군]] 복무는 [[부사관]]과 [[병사 (군인 계급)|병]]은 40세까지, [[장교]]는 50세까지이다.<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sn.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19-01-07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107065141/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sn.html |url-status=dead }}</ref><ref>[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2&num=139310 유용원의 군사세계<!--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2&num=139311 유용원의 군사세계<!-- 봇이 따온 제목 -->]</ref>
* {{국기나라|아랍에미리트}} 16개월이나, 중졸 이하의 학력자는 3년. 18∼30세의 UAE 남성은 의무적으로 병역 대상으로 등록해야 하며, 군, 국방부, 내무부, 국가안보청 등의 국가기관에서 군 복무를 하게 된다. 정당한 사유 없이 29세까지 군 복무를 하지 않으면 1개월∼1년의 징역형이나 1만∼5만 디르함(약 300만∼1,500만 원)의 벌금을 물고서 30세가 넘더라도 군 복무를 해야 한다. 군 복무를 마친 국민에게는 정부 기관이나 민간 기업 취업 시 우선권이나 결혼 보조금·주택 보조금·장학금 수령 시 추가 지원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 {{국기나라|아르메니아}}: 2년. 18~27세를 대상으로 징/모병시행. 17세부터 사관생도 입대가능. 2013년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대체복무제도 도입. 대체복무제는 3년 6개월 복무해야 함.<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am.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10-07-1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719074837/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am.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아제르바이잔}}: 18~24개월. 대학 졸업자는 1년.
* {{국기나라|앙골라}}: 2년. 시민권자만 징병함. 민병제, 비무장, 비전투병 지원제도 실시.
* {{국기나라|이스라엘}}: 남성 2년, 여성 1년 8개월.[[여성]]은 비전투병으로만 복무하며, 전투병은 2년으로 더 길다. 여성은 또한 출산 등을 이유로 면제받을 수 있다. 현재 남성 2년, 여성 18개월로 단축하는 중이다. [[유대교]]와 [[드루즈교]] 신자만 징병되며,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신자 및 체르케스인은 자원에 한하여 입대 가능하다. 즉 유대교와 드루즈교 신자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모병하나 해당 군종장교도 운영한다. 단 힌두교는 이스라엘군에서 인정하지 않는다. 장교는 4년이며, 파일럿은 9년 간 복무해야 한다. 전역 후 [[예비군]]으로는 각각 남성은 41~51세, 여성은 24세까지 복무해야 한다. 또한 비폭력주의 등 비종교적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할 경우 심사를 거쳐 대체복무를 부과한다.
* {{국기나라|이집트}}: 소속별 14개월 ~ 3년.<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eg.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18-12-2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226020747/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eg.html%20 |url-status=dead }}</ref> 이후 9년 간 [[예비군]]으로 소집된다. [[대학]] 재학 이상은 1년, [[고등학교]] 중퇴 이상은 3년간 복무. [[전투경찰]], [[해양경찰]], 보안군, [[국경]]경비대로의 전환복무도 시행하고 있다. [[이슬람교]] 신자만 입대가 가능하여, [[오리엔탈 정교회]]인 [[콥트 교회]] 신자는 입대할 수 없다. 외아들 역시 병역이 면제된다. [[병역]]을 필하지 않으면 사회 진출이 극히 제한된다. 과거 [[중동전쟁]]으로 인하여 [[아프리카]] 대륙 국가 중 [[병력에 따른 나라 목록|제일 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 {{국기나라|적도 기니}}: 2년. 18세부터 선택적 징병제.
* {{국기나라|북한}}: 14세가 되는 해 징병대상자로 등록 후, 16세 때 [[징병검사]]를 하여, 이듬해 17세에 정식으로 입대한다. 복무기간은 남성 보병부대 10년 특수부대 13년, 여성 보병부대 5년 특수부대 7년. 복무 중 의무적으로 [[경제활동]]에 투입되는데,<ref name="autogenerated7" /> [[조선인민군]]은 농업과 공기업 기능도 겸하고 있다. 이들은 국가에서 제일 거대한 생산집단이며, 동시에 소비집단이다. 전역 후 [[군인계급|계급]]에 상관없이 60세까지 예비역으로 복무한다. 다만 2000년대 들어서부터 병무행정이 원활히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 {{국기나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2년. 선택적 징병제.
* {{국기나라|차드}}: 남성 3년, 여성 1년. 단 여성은 선택적 징병제로서 향토방위에도 종사할 수 있다.
* {{국기나라|쿠바}}: 2년.
* {{국기나라|타이}}: 2년이지만 자원입대 시 6개월. 모병으로 충원된 인원이 부족한 경우에 한하여 제비뽑기로 선발하여 10%만이 징병된다. 제비는 구체를 많이 넣은 상자에서 구체를 뽑아 실시하며 흑구(黑球)를 뽑으면 면제, 적구(赤球)를 뽑으면 현역 입영 대상이 된다. 자원입대는 18세부터 가능하다.
* {{국기나라|타지키스탄}}: 2년. 18세부터 징병됨.<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ti.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20-05-1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9084310/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ti.html |url-status=dead }}</ref>
* {{국기나라|투르크메니스탄}}: 2년. 4년제 대학생은 1년간 복무. 18~27세 남성을 징집. 자원입대는 20세, 군사학교는 15세부터 입학가능.<ref>{{웹 인용 |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tx.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5-03-27 |archive-date=2007-06-1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612214157/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tx.html |url-status=dead }}</ref>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