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회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백과:봇 편집 요청/2023년 2월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강화룽
{{문화재 정보
| 이름 = 경복궁 경회루<br />景福宮 慶會樓<br /><small>Gyeonghoeru Pavilion of Gyeongbokgung Palace</small>
| 그림 = 경복궁 경회루 (2020).jpg | 그림크기 = 300
| 그림설명 = 경복궁 경회루_전경과 수양벚나무
| 국가 = {{KOR}}
| 유형 = [[대한민국의 국보 (제201호 ~ 제300호)|국보]]
| 번호 = 224
| 지정 = [[1985년]] [[1월 8일]]
| 해지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 [[경복궁]] (세종로)
| 시대 = 조선 고종 4년(1867)
| 소유 = 국유
| 관리 = {{국기나라 그림|Emblem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vg}} [[대한민국 문화재청|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 참고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면적 =
| 수량 = 1동
| 전승지 =
| 전승자 =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꼬리표 = [[국립민속박물관|서울 종로구]]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좌표 = {{좌표|37|34|47.1|N|126|58|33.2|E|type:landmark|display=inline,title}}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1,02240000,11
}}
 
'''경회루'''(慶會樓)는 [[경복궁]]에 있는 [[누각]]으로, [[조선시대]]에 [[연회]]를 하거나, 외국의 사신(나라의 명을 받고 다른 나라로 파견되는 신하)을 접견하던 곳으로, 지금의 [[청와대]] [[영빈관]]에 해당된다. [[1985년]] [[1월 8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24호로 지정되었다.
 
== 현지 안내문안나물 이찬욱 바보 멍청이 ==
{{인용문|경복궁 근정전 서북쪽 연못 안에 세운 경회루는, 나라에 경사가 있거나 사신이 왔을 때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ref name="현지">현지 안내문 인용</ref>
 
줄 40 ⟶ 12:
경복궁 경회루는 우리 나라에서 단일 평면으로는 규모가 가장 큰 누각으로, 간결하면서도 호화롭게 장식한 조선 후기 누각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소중한 건축 문화재이다.<ref name="현지"/>}}
 
== 역사와 구조 이찬욱 ㅗ ==
=== 임진왜란 이전 ===
원래의 경회루는 경복궁 창건 당시 서쪽 습지에 연못을 파고 세운 작은 누각이었는데, 태종 12년(1412)에 연못을 넓히고 건물도 다시 크게 짓도록 명하여 공조판서 [[박자청]](朴子靑)이 완성하였다. 초기의 모습은 《[[궁궐지]]》, 《[[태종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서 전한다.<ref name=":0">{{서적 인용|url=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8801&bbsId=BBSMSTR_1021&pageIndex=381&pageUnit=10&searchCnd=&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mn=NS_03_08_01|제목=慶會樓 實測調査및修理工事報告書|성=文化財廳, 우리건축사무소|날짜=2000-08|출판사=文化財廳}}</ref>{{Rp|6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