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 탄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31번째 줄:
뭘보시냐고
 
뭘꼴봐
=== 화학적 특성 ===
이산화 탄소는 화학적으로 활성이 낮은 기체이다. 이산화 탄소가 관여하는 대표적인 반응은 다음과 같다.<ref name="sajun">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이산화탄소〉, 《화학대사전》(Vol. 7), 서울: 世和, 2001, 338~339쪽.</ref>
* 물에 녹아 약한 산성을 띠는 [[탄산]]을 생성한다. 1atm의 이산화 탄소에 수용액이 접해있을 경우의 pH는 3.7이다.
* 고압의 조건에서 포화 수용액을 냉각하면 수화물 CO<sub>2</sub>·8 H<sub>2</sub>O가 생성된다.
* 고온에서는 가역적으로 [[일산화 탄소]]와 산소로 분리된다.
* [[수소]]와 가역적으로 반응하여 일산화 탄소와 물을 생성한다. 적당한 조건과 [[촉매]]를 갖추고 있을 경우 [[메테인]], [[폼산]], [[메탄올]]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다.
*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과 반응하면 환원되어 탄소와 [[포름산염]]을 생성할 수 있다. [[아연]], [[철]]과 같은 다른 금속과도 반응하여 일산화 탄소를 생성하는 경우가 많다.
* [[황화 수소]]와 함께 가열된 금속관을 통과하면 일산화 탄소와 [[황]]을 생성한다. [[사염화 탄소]]와 통과할 경우 [[포스젠]]을 생성한다.
* 많은 금속 [[산화물]]이나 [[수산화물]]과 반응하여 [[탄산염]]을 생성한다. 특히 [[수산화 칼슘]]과 반응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진행된다.
::[[수산화 칼슘|Ca(OH)<sub>2</sub>]] + CO<sub>2</sub> → [[탄산 칼슘|CaCO<sub>3</sub>]] + [[물|H<sub>2</sub>O]]
::[[탄산 칼슘|CaCO<sub>3</sub>]] + [[물|H<sub>2</sub>O]] + CO<sub>2</sub> ⇄ [[탄산 수소 칼슘|Ca(HCO<sub>3</sub>)<sub>2</sub>]]
:[[탄산 칼슘]]은 물에 잘 녹지 않지만, [[탄산 수소 칼슘]]은 물에 녹는다. 따라서 이산화 탄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위의 두 반응 중 두 번째 반응의 평형이 생성물 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탄산 칼슘이 반응을 일으켜 탄산 수소 칼슘이 되어 물에 녹게 된다. 반대로 이산화 탄소의 분압이 낮아지면 평형은 반응물 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탄산 칼슘이 [[석출]]된다. 이 반응은 [[석회동굴]]의 생성과 관련되어 있다.
 
이산화 탄소는 [[무극성 분자]]이다.<ref name="완자">{{서적 인용|저자= 김봉래 외 2 |제목= 완자 화학 Ⅰ(1권)|날짜= 2006-07-01 |판= 초판 |출판사= 비유와상징|쪽= 9}}</ref>
 
== 제법 ==
줄 151 ⟶ 138:
CaCO<sub>3</sub>+2HCl → CaCl<sub>2</sub>+H<sub>2</sub>O+CO<sub>2</sub>
 
공업적으로 이산화 탄소는 주로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ref name="sajun">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이산화탄소〉, 《화학대사전》(Vol. 7), 서울: 世和, 2001, 338~339쪽.</ref><ref name="encychem">Considine, G. D. et al., "CARBON DIOXIDE", Van Nostrand's encyclopedia of chemistry, 5th edition, Hoboken : Wiley-Interscience, 2005, pp. 290~291.</ref>
*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연소시킬 때 얻을 수 있다.
* [[대기]] 중에 존재하는 분량을 채취하여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