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마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기타: 내용 수정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병리학: 내용 수정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36번째 줄:
 
== 병리학 ==
[[파일:Polio_spine.png|왼쪽|섬네일|허리척수 전면부의 [[동맥]]에 소아마비로소숫숫숫 인한 혈전이 발생했다.]]
폴리오바이러스는 입을 통해 신체로 침투하여 처음 만나는 세포인 [[인두 (해부학)|인두]]와 [[위장관]] [[점막]]을 감염시킨다. [[바이러스 침입]]은 세포막에 있는 폴리오바이러스 수용체인 CD155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ref name="He">{{저널 인용|title=Complexes of Poliovirus Serotypes with Their Common Cellular Receptor, CD155|journal=[[Journal of Virology]]|year=2003|volume=77|issue=8|pages=4827–35|doi=10.1128/JVI.77.8.4827-4835.2003|pmc=152153|pmid=12663789|vauthors=He Y, Mueller S, Chipman P, etal}}</ref> 이후 [[숙주]] 세포의 내부 소기관들을 통해 [[바이러스 복제|복제]] 및 조립을 하기 시작한다. 폴리오바이러스는 위장관에서 대략 일주일간 증식한 뒤 [[편도]]에 있는 [[배중심]]에 존재하는 [[여포성수상돌기세포]]로 전파하고, 이후 [[파이어판]], 목심부림프절, 하부장간막 림프절의 [[M세포]] 등 위장관 주변 [[림프계통|림프절]]에 감염되 다시 증식한다. 이후 혈액으로 이동한다.<ref name="Baron">{{서적 인용|title=Baron's Medical Microbiology|year=1996|editor=Baron S|edition=4th|publisher=Univ of Texas Medical Branch|chapter=Picornaviruses: The Enteroviruses: Polioviruses|isbn=978-0-9631172-1-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07154734/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mmed.section.2862|archivedate=7 December 2008|url-status=live|vauthors=Yin-Murphy M, Almond JW|display-editors=etal|chapter-url=https://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mmed.section.2862|df=dmy-all}}</ref>
 
이처럼 바이러스가 혈액 속에 존재하는 경우를 [[바이러스혈증]]이라 하는데, 이로써 몸 구석구석으로 전파될 수 있다. 폴리오바이러스는 혈액과 림프액 등 [[순환계통]]에서 무려 17주까지 생존할 수 있다.<ref>{{웹 인용|url=http://textbookofbacteriology.net/themicrobialworld/Polio.html|title=Polio|author=Todar K|year=2006|work=Ken Todar's Microbial World|publisher=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427041918/http://textbookofbacteriology.net/themicrobialworld/Polio.html|archivedate=27 April 2010|url-status=dead|accessdate=23 April 2007|df=dmy-all}}</ref> 드문 경우지만 [[갈색지방]], [[단핵식세포계|단핵식세포]] 조직, 근육 등의 장소에서도 전파되어 증식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title=Pathogenesis of poliomyelitis; reappraisal in the light of new data|journal=[[사이언스|Science]]|author=Sabin A|year=1956|volume=123|issue=3209|pages=1151–57|bibcode=1956Sci...123.1151S|doi=10.1126/science.123.3209.1151|pmid=13337331}}</ref> 이로써 바이러스혈증은 더욱 심각해지고,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증상도 나타나게 된다. 더욱 드문 경우지만 중추신경계통으로 침투한 바이러스가 [[염증반응]]을 일으켜 [[수막염]]을 국소적으로 유발할 수도 있는데, 대부분 비마비성 무균성 수막염(nonparalytic aseptic meningitis)의 형태로 나타난다.<ref name=Chamberlin_2005>{{서적 인용| veditors = Chamberlin SL, Narins B | title = The Gale Encyclopedia of Neurological Disorders | url = https://archive.org/details/isbn_9780787691516 | url-access = registration | publisher = Thomson Gale | location = Detroit | year = 2005 | pages = 1859–70| isbn = 978-0-7876-9150-9}}</ref> 중추신경계통에 침입합으로써 바이러스가 얻는 이익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으며, 단순히 위장관 감염의 부수적 현상으로 추정될 뿐이다.<ref name="Mueller">{{저널 인용|title=Poliovirus and poliomyelitis: a tale of guts, brains, and an accidental event|journal=Virus Research|year=2005|volume=111|issue=2|pages=175–93|doi=10.1016/j.virusres.2005.04.008|pmid=15885840|vauthors=Mueller S, Wimmer E, Cello J}}</ref> 중추신경계통으로 전파되는 기작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성별, 나이, 사회경제적 위치와 무관한 것으로 보아 이 역시 우연히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ref name="Mueller"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