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5번째 줄:
측우기는 유럽보다 약 200년 앞서서 만들어졌으며, 당대 조선의 과학기술력을 짐작할 수 있는 증거이다.
 
이 바보들
== 제작 및 제도의 시행 ==
=== 제작 ===
조선 초기에는 농업 등에 참조하기 위해 각 지방의 강우량을 측정하여 보고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이는 비온 후에 고여 있는 빗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흙에 스며드는 정도가 서로 달라 [[1441년]](세종 23년) [[음력 8월]] 장영실을 시켜 [[서운관]](書雲觀)에서 빗물을 측정할 수 있는 그릇을 처음 제작하게 하였고, [[서울|한양]]을 중심으로 관측에 활용하였다. 1442년(세종 24년)에는 측우에 관한 제도를 정하여 서운관에서 빗물의 깊이를 측량·기록하게 했으며, 지방에서는 각 관가의 뜰에 설치하여 수령 자신이 측량·기록하게 했다. 처음에는 쇠로 만들었으나 뒤에는 구리로 만들기도 하였고, 이외에 자기·도기로 대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이탈리아의 가스텔리보다 약 200년 앞선 것이다.<ref name="이재수102"/>
 
측우기는 흔히 [[장영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알려졌는데, 세종실록 23년 4월 을미(양력 1441년 5월28일) '근년 이래로 세자(훗날 문종)가 가뭄을 근심하여 비가 올 때마다 비 온 뒤에 땅을 파서 젖어 들어간 깊이를 재었으나 정확하게 푼수를 알 수 없었으므로 구리로 만든 원통형 기구를 궁중에 설치하고, 여기에 고인 빗물의 푼수를 조사했다'는 기록은 [[문종]]에 의해 발명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측우기는 문종,장영실,세종대왕, [[호조]](戶曹)의 관료등이 뜻을 모아 세계최초로 제작한 규격품임을 잘 알 수 있다.
 
=== 제도의 시행 ===
측우기가 규격화되고 제도화된 것은 [[호조]]에서 우량을 측정하는 일에 관해 보고한 [[1442년]](세종 24년) [[6월 15일]]([[음력 5월 8일]]) 이전으로 여겨진다. 이때부터 《[[조선왕조실록]]》에서 측우기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쇠]]로 제작된 측우기는 길이 1척 5촌(약 32cm), 지름 7촌(약 15cm)이며, 비가 그친 후 [[주척]](周尺)을 써서 푼(分) 단위까지 재고, 비가 내리기 시작한 [[시간]]과 그친 시간을 기록하게 하였으며, 전국적으로 강우량을 측정하도록 했다.<ref>《세종실록》 96권, 5월 8일자 기사</ref><ref>(위키문헌-세종 24년5月 8日 호조에서 우량을 측정하는 일에 관해 아뢰다○丁卯/戶曹啓: “測雨事件, 曾已受敎。 然有未盡處, 更具條列。 一, 京中則鑄鐵爲器, 名曰測雨器, 長一尺五寸、(經)〔徑〕七寸, 用周尺。 作臺於書雲觀, 置器於臺上, 每當雨水後, 本觀官員親視下雨之狀, 以周尺量水深淺, 具書下雨及雨晴日時、水深寸分數, 隨卽啓聞置簿。) https://ko.wikisource.org/wiki/%EC%84%B8%EC%A2%85%EC%9E%A5%ED%97%8C%EB%8C%80%EC%99%95%EC%8B%A4%EB%A1%9D/24%EB%85%84#%ED%98%B8%EC%A1%B0%EC%97%90%EC%84%9C_%EC%9A%B0%EB%9F%89%EC%9D%84_%EC%B8%A1%EC%A0%95%ED%95%98%EB%8A%94_%EC%9D%BC%EC%97%90_%EA%B4%80%ED%95%B4_%EC%95%84%EB%A2%B0%EB%8B%A4</ref>
 
== 측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