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210.218.42.9(토론)의 편집을 211.114.120.73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군인 정보
|이름 = 남자현
|현지어표기 = 南慈賢
|그림 = 남자현.jpg
|그림크기 =
|설명 =
|출생일 = {{출생일|1872|12|7}}
|출생지 = {{국기나라|조선}} [[경상도]] [[안동시|안동대도호부]] [[일직면|일직현]] (현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33|8|22|1872|12|7}}
|사망지 = {{국기그림|만주국}} [[만주국]] [[하얼빈]] (현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 {{국기나라|조선}}<br />{{국기나라|대한제국}}<br />{{국기나라|일제 강점기 조선}}
|충성 =
|본관 = [[영양 남씨|영양]]
|별명 =
|종교 =
|정당 =
|부모 = 부: [[남정한]]
|배우자 = 김영주
|자녀 = 김성삼
|친척 = 남매 2명
|학력 =
|복무 =
|복무 기간 =
|최종 계급 =
|근무 = [[서로군정서]]
|지휘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무토 노부요시]] 암살 작전
|서훈 내역 = [[파일:건국훈장2대통령장.png|x10px]]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2)
|기타 이력 =
|서명 =
|웹사이트 =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2&pageTitle=Merit&mngNo=1693 남자현(독립유공자 공훈록)]
}}
'''남자현'''(南慈賢, [[1872년]] [[12월 7일]] ~ [[1933년]] [[8월 22일]])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3·1 운동]]에 참여하고 [[만주]]로 망명해 [[서로군정서]]에 참가하였으며 [[사이토 마코토]] 조선 총독의 암살을 기도(시도)하는 등 여러 가지 독립운동을 진행했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에 비견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ref>권은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310&aid=0000032250 진취적 삶을 살았던 경북여성 1호 조명]. 여성신문. 2014년 7월 17일.</ref><ref>성하훈.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094238 강인국은 방응모, 염석진은 노덕술? '암살'은 진행형]. 오마이뉴스. 2015년 8월 5일.</ref><ref>고재완.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783545 1000만 순항중인 '암살'에서 놓쳐서는 안될 몇 가지]. 스포츠조선. 2015년 8월 6일.</ref> [[2015년]] 영화 [[암살 (2015년 영화)|암살]]의 주인공인 안옥윤(배우:[[전지현]])의 모델이 되었다. 남만주에서 북만주로 가는 동안 기독교인이 된 남자현은 반공주의자이며, 만주에 12개의 교회를 설립하기도 했다.
 
== 생애 ==
남자현은 1872년 12월 7일 아버지 남정한(南珽漢)과 어머니 진성이씨(이원준(李元俊)의 딸) 사이에서 1남 3녀 가운데 막내딸로 태어났다.<ref>{{서적 인용|url=|제목=남씨동보 (4권)|성=남씨종회|이름=|날짜=1999|출판사=|확인날짜=}}</ref>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영양(英陽)이다. 남자현의 유년시절을 알려주는 자료는 수학과정에 관련된 기록뿐이다.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부친 남정한이 일찍부터 글을 가르쳤는데, 7세에 [[한글]]을, 8세에 [[한문]]을 터득하고, 12세에 소학과 [[대학 (책)|대학]]을 읽었으며, 14세에는 사서(四書)를 독파하고, 한시를 지었다.”는 기록이다.<ref>{{서적 인용|url=|제목=남자현 여사 약전|성=박영랑|날짜=1956|출판사=|확인날짜=}}</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