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사실관계수정(토론)의 36204982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43번째 줄:
[[1935년]] [[9월 8일]]([[음력 8월 11일]]),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청송군)|안덕면]]에서 아버지 김영한(金永漢)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무경(洪戊庚)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김익동(金益東, 19331930. 34. 527. ~ 20002022. 45. 1923.) [[경북대학교]] [[총장]], 제헌 귀족원 [[김복동 (1933년)|김복동]](金復東, 1933. 3. 5. ~ 2000. 4. 19.)이 친오빠다. 증조부 김광규(金光圭, 1845.6.21. ~ 1922.5.6.(향년 76세)는 경상도 안동대도호부(現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으로 1891년([[대한제국 고종]] 28년) 증광시 진사시에 3등 138위로 입격했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가정교육학]]에 진학하였다가 노병수(盧秉壽)의 아들 노태우와 결혼해 중퇴하고 그들의 집안인 [[교하 노씨]](交河 盧氏)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55번째 줄:
영부인은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매스컴에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은 인물이기도 하다. 2002년, 남편이 암으로 투병 생활을 시작하게 되면서 영부인은 그저 불편한 거동으로 남편을 극진히 간호하며 여생을 보냈다.
 
그렇게 2021년 10월 26일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 3일차에 자녀들의집사들의 부축을 받으며 빈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아들 [[노재헌]](盧載憲)은 어머니께서 남편인 노태우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왔다가다 하면서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영부인은 남편의 장례식 중에도 빈소에 상주하지 않고 연희동 자택과 병원을 왕래했다.
64번째 줄:
* 부계(父系)
{{김옥숙 가계도}}
* 시계(媤系)
{{노태우 가계도}}
 
== 참고 문헌 ==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 그외 것들 ==
* [[경순왕]](敬順王, 927. 11. ~ 935. 12. 12.) [[신라]] [[황제]]의 재종질 [[김선평]](金宣平, 930. ~ ?.) [[태사]]의 직계후손이다.
 
* 2021년 10월 26일, [[노태우]](盧泰愚, 1932. 12. 4. ~ 2021 10. 26.) 대통령 서거 이후 [[노태우]] 전 [[대통령]]이 2006년 병상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실과 더불어 남편을 따라 2021년 4월 경,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노태우 대통령 입관식은 오웅진 신부 주례 하에 천주교 예식으로 진행되었다.
 
* 1988년 2월 25일, 대관한 당일 취임식 직후 광주광역시를 찾아 극비리에 망월동 [[5.18]] 구묘역을 방문하여 학살된 자들에 대한 숭고한 희생에 대하여 참배했다.
 
* 모교인 경북여자고등학교에 고액을 기부했다.
 
* 2021년 10월 27일, [[국장 (장례)|장례 국장]] 중 한 시민이 사위 [[최태원 (기업인)|최태원]]에게 [[정상배]]라는 말을 하며 소리를 지르던 사건이 있었다. 이에 영부인의 경호진들이 시민을 끌고 갔다.
 
== 대중 매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