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J 인스티튜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GS&J 인스티튜트'''는 조사연구사업, 각종 연구결과의 출판, 농업문제 및 농촌발전을 위한 학술회의 개최, 국내외 정부·연구기관·민간부문과의 정보교류 및 협력사업을 목적으로 이정환 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이 설립한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연구위원은 주로 농업경제학 전공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은퇴한 석학들이 연구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 사무실은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550, 현대지식산업센터 한강미사 A동 9층 005호에 있다.
 
== '''주요 연구''' ==
'''GS&J 인스티튜트'''는 우리나라의 농축산업의 장·단기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조사 및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관련 연구 결과물로서 '''GS&J 인스티튜트'''는 현재까지 100여 개가 넘는 연구과제를 진행하였으며, 또한 정기 간행물로서 《쌀가격동향》과 《한우동향》, 《시선집중》을 발간하고 있다. 추가로, 쌀 가격 예측 모형인 KORIS와 한우 가격 예측 모형인 KOCASS를 운용 중에 있다.
 
== '''시선집중''' ==
시선집중은 우리나라의 농정현안에 대하여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집필하는 리포트이며 격주로 발간되고 있다. 또한, '''GS&J 인스티튜트'''는 2015년부터 연초에 [https://www.gsnj.re.kr/report/board.php?code=pds&kind=REP&no=124534&stext=&stitle=&page=12&list_cnt=10&Category1= 한 해 동안 우리나라 농업과 농촌이 직면하게 될 가장 중요한 위협과 기회를 함축하는 주제]를 발표하고 있다.
 
44번째 줄:
* '지방소멸론’ : 실체, 비판, 대안  
 
=== '''연구 보고서''' ===
최근 5년 동안 '''GS&J 인스티튜트'''에서 수행한 주요 연구실적은 아래와 같다.
 
102번째 줄:
* 농식품 정책 혁신을 위한 지식정보 공유 확산
* 지속가능한 쌀 산업의 미래 연구
 
'''<big>2023년</big>'''
* 윤석열정부 농정비전 및 중장기 정책 방향
줄 116 ⟶ 115:
* 춘천시 푸드테크산업 종합육성계획 연구
 
== '''농업·농촌의 길''' ==
'''GS&J 인스티튜트'''는 우리나라 농정의 최대 쟁점 사항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는 '농업·농촌의 길' 심포지엄을 매년 11월 개최하고 있다. 가장 최근 농업·농촌의 길 심포지엄에서는 대통령 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촌진흥청,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농수축산신문이 주관기간으로 참여했으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농협중앙회, 농협경제지주, NH농협생명, NH농협손해보험, 교보 대산농촌재단,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의성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한국마사회, 농민신문사, 축산신문, 한국농어민신문이 후원기관으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