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담의 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전쟁 정보
| 분쟁 = 비담의 난
| 전체 =
| 그림 =
| 설명 =
| 날짜 = 647년 1월
| 장소 = [[경주 명활성|명활성]] · [[경주 월성|월성]] 일대.
| 결과 = 왕군의 반란군 진압
| 교전국1 = 신라
| 교전국2 = 비담의 반란군
| 지휘관1 = '''정부수반'''<br/>[[선덕여왕]]<br/>[[김춘추]]<br/>'''지휘부'''<br/>[[김유신]] 등
| 지휘관2 = '''반란 주동자'''<br/>[[비담]]<br/>[[염종]] 등
| 병력1 = 불명
| 병력2 = 불명
| 사상자1 = 불명
| 사상자2 = 주력병력 와해<br/>비담 생포.
| 기타 =
| 전역상자 =
}}
'''비담의 난'''(毗曇-亂)은 [[645년]] [[상대등]]에 오른 [[비담]]이 권력을 장악하여 [[647년]] [[1월]], "{{윗주|女主不能善理|여주불능선리}}(여자 임금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라는 명분<ref>『삼국사기』 권5, 「신라본기」5, 선덕왕 16년(647) 1월; 『삼국사기』 권41, 「열전」1, 김유신 상</ref>을 내걸고 [[염종]]의 군사와 함께 출정하여 일으킨 [[선덕여왕]] 대의 [[반란]]이다. 이로 [[비담]]은 도망치다가 [[김유신]]에 의해 처참한 최후를 맞고 그의 9족<ref name=a>『삼국사기』 권41, 「열전」1, 김유신 상</ref>과 30명<ref name=b>『삼국사기』 권5, 「신라본기」5, 진덕왕 1년(647) 1월 17일</ref>이 모두 숙청당했다.
준서는 똥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