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각주 제거됨 m 모바일 웹
176번째 줄:
ㅊㅇ냠ㅇㅈ더ㅜ첟재
 
아니면면에에는는는는데데는요요는는요는는요 왜 왜 왜 왜 왜요 왜요 왜 왜요요 왜요 왜 왜 왜 왜요요 왜요 왜 왜요요 왜요 왜 왜 왜요 왜 왜요요요 왜요 왜 왜요 왜 왜요 왜 왜요 왜 왜요 왜 왜 왜요 왜 왜요 왜 왜요 왜 왜 왜요 왜 왜요요요요나나라요요요나요나 왜요요 왜요요요요요요요요요요요요요요요
== 사후 ==
* 묘소 《[[최익현선생묘]]》는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1982년 8월 3일 [[충청남도의 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었다.
* 최익현의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땅에 묻혔다가 해방 후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 소재 묘소에 다시 세워졌다.<ref>예산군청, [http://www.yesan.go.kr/culture/sub01_0203_02.jsp 최익현 선생 묘] {{웨이백|url=http://www.yesan.go.kr/culture/sub01_0203_02.jsp |date=20070927200212 }}</ref>
* 시호 없이 [[1928년]] [[이왕직]]에 의해 [[종묘]] 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그러나 시호가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 논란이 있었다.<ref>동아일보 1928년 5월 11일자 2면, 사회면</ref> 그러나 종묘에서 출향되지는 않았다.
*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 저서 ==